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次疇晦九日韻(차주회구일운)
손주 주석과 희석의 구월구일 시에 차운하다
佳節飜驚剝五陽(가절번경박오양)
좋은 계절에 다섯 양효가 깎여 나가는 것에 놀라
更無餘興引壺觴(경무여흥인호상)
더 이상 남아 있는 흥이 없으니 술병을 당기네
可是輿廬昭象戒(사시여려소상계)
수레와 농막집으로 그 상을 밝게 하여 경계할수 있으니
莫令龍戰到玄黃(막령룡전도현황)
용이 싸워서 그 피가 검고 누렇게 되지 않도록 하거라
'56) 우암 송시열(1607)'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哭鄭善叔慶欽(곡정선숙경흠) 선숙 정경흠의 죽음을 슬퍼하며 울다 (0) | 2025.02.05 |
---|---|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戱吟示疇孫(희음시주손) 재미삼아 읊고 손자 주석에게 보여주다 (0) | 2025.01.28 |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自 省(자 성) 스스로 반성하다 (0) | 2025.01.20 |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次崔子敬愼韻 1(차최자경신운 1) 자경 최신의 시에 차운하다 (0) | 2025.01.12 |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感 吟(감 음) 느끼는 바를 읊다 (1) | 2025.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