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전명화 109

작가 : 문백인(文백仁). 제목 : 계산선관도(溪山僊館圖)

작가 : 문백인(文백仁)아호 : 오봉(五峰)제목 : 계산선관도(溪山僊館圖)언제 : 明재료 : 족자 종이에 수묵담채규격 : 180 x 63.3 cm소장 : 미국 개인 해설 : 문백인은 문징명의 조카로. 자는 덕승(德承). 호는 오봉(五峰)이다. 그는 문가(文嘉). 육치(陸治)와 더불어 문징명의 산수화풍을 계속 이어 후기 오파의 양식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 그림은 비교적 조기(早期)의 작품으로 선관(僊館)이라는 제목에 어울리는 이상한 모양의 원산이 솟아있고. 그 밑은 여러 개의 폭포수. 그리고 나무와 집들로 꽉 들어찬 산의 모습이 연결된다. 준법과 태점은 왕몽의 영향을 보여주며. 나무의 모습과 담백한 색조는 문징명 산수화의 특징을 나타낸다. 모든 요소들이 하나하나 선명하게 그려졌지만 전체적으로 ..

중국고전명화 2024.06.25

작가 : 진헌장(陳憲章). 제목 : 만옥도(萬玉圖)

작가 : 진헌장(陳憲章)아호 : 여은거사(如隱居士)제목 : 만옥도(萬玉圖)언제 : 明재료 : 족자 비단에 수묵규격 : 111.9 x 57.5 cm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진헌장은 이름은 원래 녹(錄)인데. 자인 헌장(憲章)으로 더 많이 알려졌다. 호가 여은거사(如隱居士)인 그는 회계(悔稽) 출신으로. 영종 정통 연간에 활약하였다. 묵매. 송. 죽. 난 등을 잘 그렸고. 특히 매화는 그와 동향인이며 원말명초에 매화 그림으로 유명했던 왕면(王冕)의 작품과 흡사하다. 화면 위에서 휘어져 내려온 매화가지 위에 만개한 흰 꽃송이들이 마치 눈송이처럼 화면을 덮고 있다. 부드러우면서도 탄력있는 필치로 굵고 가는 가지들을 묘사했고. 짙은 먹점으로 늙은 매화임을 나타냈다. 윤곽선 안에 백분(白粉)으로 칠한 꽃송..

중국고전명화 2024.06.24

작가 : 왕불(王紱). 제목 : 기위도(淇渭圖)

작가 : 왕불(王紱)제목 : 기위도(淇渭圖)언제 : 明재료 : 족자 종이에 수묵규격 : 78.2 x 34.5 cm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왕불은 산수화뿐만 아니라 묵죽에서도 원사대가의 양식을 충실히 답습하였다. 이 묵죽은 예찬 보다 오진의 양식에 더 가까운 것을 볼수 있으나. 오진 보다는 좀더 자연주의 경향에 치우친다. 이 그림의 제목은 기수(淇水)와 위수(渭水)의 이름을 합쳐라 하였는데. 기수는 위수의 지류(支流)로 이들 두 강은 하남성(河南省) 동북쪽에 위치한다. 예로부터 이 지방은 아름다운 대나무가 무성하게 자라는 것으로 유명하며. 시경(詩經)을 비롯한 중국의 시문(詩文)에도 자주 언급되어 왔다. 즉 이그림의 아름다운 대나무 한 그루는 기수와 위수 가의 경치를 실감케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중국고전명화 2024.06.24

작가 : 하창(夏昶). 제목 : 기석수황도(奇石修篁圖)

작가 : 하창(夏昶)아호 : 자재거사(自在居士)제목 : 기석수황도(奇石修篁圖)언제 : 明재료 : 족자 종이에 수묵규격 : 275.1 x 104.7 cm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하창은 강소성 곤산 사람으로. 자는 중소(仲昭). 호는 자재거사(自在居士)라고 한다. 사대부 화가인 그는 묵죽을 특히 많이 그렸으며. 명초 왕불의 묵족화 양식을 본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그의 묵죽은 왕불의 묵죽보다 대체로 좀더 자연주의적인 경향이 짙다. 이 그림은 보통 이상으로 큰 작품으로 물가 바위 언덕에 자라는 세 그루의 큰 대나무를 묘사한 것이다. 화면의 오른쪽 아랫부분에는 부드러운 필치로 둥근 언덕을 묘사하였고. 두 그루의 대나무 옆으로는 예리한 갈필로 굴곡이 심한 기석을 극적인 농담 대비로 표현하여. 무성한 대나무..

중국고전명화 2024.06.19

작가 : 문징명(文徵明). 제목 : 난죽도(蘭竹圖)

작가 : 문징명(文徵明)제목 : 난죽도(蘭竹圖)언제 : 明재료 : 화첩 종이에 수묵규격 : 62 x 31.2 cm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난초. 대나무. 그리고 바위를 배합해서 그린 그림은 원대부터 많이 그려졌으며. 명대 에서도 계속 문인화가들에 의해 즐겨 다루어 졌다. 난죽도는 문징명과 같이 서예에 특히 뛰어난 사람에게는 기법상 더없이 적절한 그림이다. 잎과 꽃이 무성한 난초 한 포기가 화면의 중심부에 자?蓚?지배적인 역할을 하며. 그 때문에 그 오른쪽에 보이는 두 그루의 대나무는 상대적으로 위축된 느낌을 준다. 대나무잎의 모양은 원대의 가구사의 묵죽과 흡사하게 빗자루 모양으로 끝에 뭉쳐 있고. 마디는 원대 묵죽화에 비하여 좀더 강조되어 표현되었다. 문징명은 오파 화가중 묵난과 묵죽을 가장 많..

중국고전명화 2024.06.19

작가 : 주신(周臣). 제목 : 인물도(人物圖) 부분

작가 : 주신(周臣)아호 : 동촌(東村)제목 : 인물도(人物圖) 부분언제 : 明재료 : 두루마리 비단에 수묵담채규격 : 32.9 x 843.9 cm소장 : 호놀룰루 아카데미 미술관 해설 : 거리의 거지, 중. 마술사. 장사아치 들의 기괴하고 거친 모습을 그려낸 이 작품은 중국 회화사상 보기 드문 소재의 인물화이다, 남송대에 구애도(灸艾圖), 시담영희(市擔嬰희)등의 풍속인물화에서 하층계급의 인물을 묘사한 예가 있으나. 원대 이후에는 거의 찾아볼수 없다. 아무런 배경 없이 단지 인물만을 스케치같이 빠른 붓으로 묘사되었지만. 화가의 뛰어난 관찰력을 통해 각 대상의 자세. 표정. 차림새 등의 특징을 약간 과장하여 사실적으로 생생하게 표현하였다. 주신의 발문에 의하면 자기는 이와 같이 처참한 인간상을 그려 세상에..

중국고전명화 2024.06.13

작가 : 주신(周臣). 아호 : 동촌(東村). 제목 : 북명도(北冥圖)

작가 : 주신(周臣)아호 : 동촌(東村)제목 : 북명도(北冥圖)언제 : 明재료 : 두루마리 비단에 수묵담채규격 : 28.4 x 136.6 cm소장 : 넬슨 갤러리 해설 : 주신의 자는 순경(舜卿). 호는 동촌(東村)이다. 그는 16세기 이래 중국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던 소주 출신으로, 소주에서 활약했으나 오파 에는 속하지 않는 화가였다. 진섬(陳暹)에게서 산수화를 배웠고, 당인(唐寅)과 구영(仇英)에게 화법을 전수하였다. 이 작품 제목의 북명(北溟) 이란. 말은 장자(莊子) 제1편인 소요유(逍遙遊)의 내용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높은 이상을 지닌 인물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져 문인의 호나 당호(堂號)에 많이 쓰여졌다. 북명도는 주신의 현존작품 중 이당(李唐)의 영향을 가장 강하게 드러내는 것으로, 대각선 ..

중국고전명화 2024.06.08

작가 : 당인(唐寅). 제목 : 산로송성도(山路頌聲圖)

작가 : 당인(唐寅)아호 : 육여거사(六如居士)제목 : 산로송성도(山路頌聲圖)언제 : 明재료 : 족자 비단에 먹과 채색규격 : 194.5 x 102.8 cm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당인의 자는 백호(伯虎). 호는 육여거사(六如居士)이다. 처음 주신에게서 그림을 배웠고. 산수. 인물. 누관(樓觀). 화조 에 모두 능했다고 하며. 현존하는 그의 작품들은 심주. 주신. 오위(吳偉)의 영향을 받은 다양한 화풍을 보여준다. 이 작품은 당인 자신의 화풍을 이룩한 비교적 만년의 작품으로 보인다. 여러 층의 계단식 폭포수가 쏟아져 내리는 가파르고 거대한 산이 거의 화면 꼭대기에 닿게 솟아 있고. 왼쪽 전경의 바위에서 자라난 세 그루의 울창한 소나무가 화면의 중간을 차지하고 있다. 폭포위에 조심스럽게 걸려 있는..

중국고전명화 2024.06.01

작가 : 당인(唐寅). 제목 : 도곡증사도(陶穀贈詞圖)

작가 : 당인(唐寅)아호 : 육여거사(六如居士)제목 : 도곡증사도(陶穀贈詞圖)언제 : 明재료 : 족자 비단에 먹과 채색규격 : 168.8 x 102.1 cm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이 작품은 오대 말 송초(宋初)의 문인인 도곡(陶穀)과 남당(南唐)의 기녀(妓女) 진약란(秦蒻蘭)과의 고사(故事)를 묘사한 것이다. 송태조(宋太祖)의 사신으로 남당에 가던길에 진약란을 만난 도곡은 그녀를 객사 주인의 딸로 오해하고 사(詞)를 지어준다, 그러나 다음날 남당의 이후주(李後主)가 베푼 연회에서 도곡은 진약란이 기녀임을 알게 되고, 그녀가 자신이 지어준 사를 노래하자 당황한다는 이야기 이다. 전면의 커다란 괴석. 낮은 파초와 뒤에 배치된 두 개의 병풍. 그리고 늘어진 나뭇가지가 인물을 둘러싸고 있으며. 부드러..

중국고전명화 2024.05.26

작가 : 구영(仇英). 제목 : 동음청화도(桐陰淸話圖)

작가 : 구영(仇英)아호 : 십주(十洲)제목 : 동음청화도(桐陰淸話圖)언제 : 明재료 : 족자 종이에 먹과 채색규격 : 279.5 x 100 cm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이 작품은 원래 춘하추동의 사경을 나타낸 네 폭의 그림중 한 폭이었으나. 지금은 초음결하(蕉陰結夏)와 이것 두 폭만이 전한다. 화면 오른쪽의 높은 바위 옆 오동나무 아래에 두 선비가 마주서서 청담(淸談)을 나누고 있고. 한 동자가 옆에 서 있다, 화면 아랫부분 중간에서부터 菅걍聆㎏?굽이쳐 흐르는 시냇물이 계절을 나타내며. 흐르는 물과 바위는 시간이 흐를수록 돈독해지는 우정을 상징하는 듯하다. 대형 화폭에 매우 단순한 구도로 짜임새 있는 화면을 이루어 작품의 주제를 부각시키고 있다. 오동나무는 먼저 필선으로 윤곽을 나타내고 엷은 ..

중국고전명화 2024.05.20

작가 : 구영(仇英). 제목 : 추강대도도(秋江待渡圖)

작가 : 구영(仇英)아호 : 십주(十洲)제목 : 추강대도도(秋江待渡圖)언제 : 明재료 : 족자 비단에 먹과 채색규격 : 155.4 x 133.4 cm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명 4대 화가중의 하나인 구영은 가소 태창 사람으로. 자는 실부(實父), 호는 십주(十洲)이다. 이 작품은 가을 강변의 풍경을 담아(淡雅)하게 그려낸 것으로. 가로 세로의 비례가 1 : 1인 특이한 화폭에 산봉우리. 토파. 집과 나무 그리고 인물등의 구성요소가 가운데의 공간을 중심으로 골고루 나뉘어 배치된 보기드문 구도이다. 가을임을 말해주는 홍, 황. 녹색의 나무는 앞에서부터 뒤로 멀어질수록 색이 옅어지며 크기가 작아지고. 강가의 배와 집들도 점차 작아지며 간략하게 묘사되어 원근감을 잘 나타낸다. 원산은 부드러운 필선과 선..

중국고전명화 2024.05.14

작가 : 두근(杜菫). 제목 : 완고도(玩古圖)

작가 : 두근(杜菫)아호 : 성거(聖居)제목 : 완고도(玩古圖)언제 : 明재료 : 족자 비단에 먹과 채색규격 : 126.1 x 187 cm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두근의 자는 구남(懼男). 호는 성거(聖居)로서. 강소성 단도 출신이다. 성화 연간에 진사에 응시 하였으나 실패하고 그후로 그림을 그렸다. 계화(界畫)와 백묘인물화(白描人物畵)에 능했다. 두 선비가 여러가지 골동품을 감상하고, 그 옆에서는 하녀들이 다른 고물들을 정리하고 있는 모습을 그린 이 작품은 그 크기로 보아 그림속에 보이는 병풍과 같은 형태의 용도를 위해 제작되었을 것이다. 전형적인 소재를 매우 정련된 전통적 양식으로 그려내어 보는 이를 즐겁게 한다. 문인화가로는 드물게 이와 같은 소재를 취급했으며. 난간. 가구. 기물의 묘사에..

중국고전명화 2024.05.08

작가 : 동기창(董其昌). 아호 : 사백(思佰). 제목 : 추림서옥도(秋林書屋圖)

작가 : 동기창(董其昌)아호 : 사백(思佰)제목 : 추림서옥도(秋林書屋圖)언제 : 明재료 : 족자 비단에 수묵규격 : 54.4 x 58.1 cm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이 그림은 화면의 오른쪽 윗부분에 쓰인 “방운서노인 추림서옥(倣雲西老人 秋林書屋)이라는 동기창 자신의 글에 의해 제목이 정해졌다. 운서노인 이란 원대 이곽파 산수화가인 조지백(曹知白)을 이르는 말이다. 그러나 동기창의 모든 방작(倣作) 즉 옛 대가의 그림을 모방해서 그린 작품들이 그렇듯이. 이 그림도 조지백의 그림과 맞대놓고 보면 많은 차이점들이 눈에 띈다. 다만 이 그림의 나무 묘사가 조지백의 화법을 어느정도 따랐다고는 볼수 있다. 이와 같이 방(倣)이란 표면적인 유사성이 아니고 어디까지나 옛 대가와의 정신적인 만남 즉 신회(神..

중국고전명화 2024.04.30

작가 : 동기창(董其昌). 제목 : 추경산수도(秋景山水圖)

작가 : 동기창(董其昌) 아호 : 사백(思佰) 제목 : 추경산수도(秋景山水圖) 언제 : 明 재료 : 족자 비단에 수묵담채 규격 : 143.1 x 59.4 cm 소장 : 샌프란시스코 동양미술관 해설 : 이 그림은 동기창의 원숙기의 작품으로 간주되며. 구도상 예찬의 전형적인 삼분구도를 따르고 있다. 즉 전경 토파위의 몇 그루의 나무. 중경의 강. 그리고 그너머 보이는 산과 작은 언덕들이 전부인 간단한 구도이다. 그러나 예찬의 그림보다 산과 토파의 구조가 좀더 복잡하고 입체감각이 두드러진 점에서 동기창 그림의 특징을 엿볼수 있다. 또한 동기창 산수화의 대부분이 그렇듯. 원경에 군데군데 보이는 위가 편편한 석파의 모습은 명말에 황공망 그림의 양식적 요소로 이해 되었던 특징이다. 크고 작은 원추형의 바위와 흙덩어..

중국고전명화 2024.04.24

작가 : 동기창(董其昌). 제목 : 봉경방고도(崶涇訪古圖)

작가 : 동기창(董其昌) 아호 : 사백(思佰) 제목 : 봉경방고도(崶涇訪古圖) 언제 : 明 재료 : 족자 종이에 수묵 규격 : 80 x 29.8 cm 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봉경방고도는 화면의 왼쪽 윗부분에 씌어진 동기창 자신의 관지에 의하면. 임인년 이른봄의 어느날 취리(欈李)로부터 고(顧) 시어(侍御)와 더불어 돌아오던중 갑자기 비를 만나 봉경(崶涇)에서 옛 그림을 보며 시간을 보낸 기록으로 그린 것이다. 동기창의 글 오른쪽으로는 고희천자(古希天子)라는 둥근 도장아래 당시의 문인 진계유(陳繼儒)의 제(題)가 있는데. 이 글에서 그는 이 작품이 오대의 동원(董源)과 당의 왕유(王維)의 양식을 겸했다고 감탄해 마지 않고 있다. 왕유는 동기창이 후에 남종화의 시조로 받든 사람이며. 동원 역시 왕..

중국고전명화 2024.04.18

작가 : 동기창(董其昌). 제목 : 강산추제도(江山秋霽圖)

작가 : 동기창(董其昌) 아호 : 사백(思佰) 제목 : 강산추제도(江山秋霽圖) 언제 : 明 재료 : 두루마리 종이에 수묵 규격 : 37.9 x 137 cm 소장 : 클리브랜드 미술관 해설 : 동기창은 송강 사람이며. 자는 현재(玄宰). 호는 사백(思佰)이다. 중국회화사상 여러 모로 가장 영향력이 컸던 사대부 화가인 동기창은 82세의 긴 생애를 살면서 예부상서(禮部尙書) 등 고위 관직을 역임했으며. 서예사상 최고 명필 중의 하나로 이름을 남겼는데. 특히 그가 창안한 남북종화(南北宗畫)의 가름은 미술사적인 면에서 획기적인 사실이다. 강산추제도 는 기년작 은 아니지만 양식상으로 보아 동기창 활약기의 중간쯤에 속하는 작품으로 간주된다. 두루마리의 왼쪽끝에 쓰인 자제(自題)에 의하면 “이그림이 황자구 즉 원(元)..

중국고전명화 2024.04.12

작가 : 이유방(李流芳). 제목 : 산수도(山水圖)

작가 : 이유방(李流芳) 아호 : 단원(檀園) 제목 : 산수도(山水圖) 언제 : 明 재료 : 화첩 종이에 수묵담채 규격 : 각30.3 x 50.8 cm 소장 : 보스턴 미술관 해설 : 이유방은 강소성 가정 출신으로. 자는 무재(戊宰). 호는 단원(檀園)이다. 32세 때에 향시(鄕試)에 급제하였으나. 회시(會試)에 실패한후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시. 서. 화를 벗하여 문인화가로 일생을 보냈다. 이 산수도는 당송시(唐宋詩)의 의경(意境)을 묘사해낸 여섯폭으로 된 화첩 중의 일부이다. 매폭마다 약간씩 다른 기법을 사용하였으나 공통적으로 원 사대가 를 비롯한 문인화풍을 바탕으로 한 독자적인 화풍을 보여준다. 화면의 구성요소인 산과 물. 그리고 나무들은 극도로 단순화된 간략한 필선과 풍부한 선염으로 묘사되었다...

중국고전명화 2024.04.06

작가 : 미만종(米萬鍾). 아호 : 우석(友石). 제목 : 산수도(山水圖)

작가 : 미만종(米萬鍾) 아호 : 우석(友石) 제목 : 산수도(山水圖) 언제 : 明 재료 : 족자 종이에 수묵담채 규격 : 344.5 x 102 cm 소장 : 스탠포드 대학미술관 해설 : 미만종은 섬서 출신으로. 자는 중조(仲詔). 호는 우석(友石)이다. 만력 23년에 진사가 되어 관직이 태복소경(太僕少卿)에 이르렀다. 문인화가로보다 명말을 대표하는 서예가로 더 유명하여. 동기창과 더불어 만동북미(南董北米)라고 불리었다. 이 산수도는 천계(天啓) 5년의 작으로. 미만종의 가장 말년의 작품이다. 위압감을 느낄 정도로 매우 커다란 화면 아래의 전경에서 중간의 중경. 위쪽의 주산 까지가 마치 차곡차곡 쌓아 올린 듯한 화면구성을 이루고 있다. 올라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나무의 크기가 원근감을 표시하지만. 전체적으..

중국고전명화 2024.04.01

작가 : 장서도(張瑞圖). 제목 : 산수도(山水圖)

작가 : 장서도(張瑞圖) 아호 : 이수(二水) .백호암도자(白毫菴道子) 제목 : 산수도(山水圖) 언제 : 明 재료 : 족자 비단에 수묵담채 규격 : 168.8 x 51.5 cm 소장 : 프린스턴 대학미술관 해설 : 장서도는 북건성 진강 출신으로. 자는 장공(長公). 호는 이수(二水) 또는 백호암도자(白毫菴道子)라고 하였다. 잠시 관직생활을 하다가 고향에 돌아가 시문과 서화로 여생을 보냈다. 화가로 뿐만 아니라 서예가로도 명성이 높아 동기창, 미만종. 형동 과 더불어 명말을 대표하는 서예가로 알려졌다. 매우 고운 비단 위에 그려진 이 산수화는 필선이 거의 보이지 않고 먹과 선염 으로만 묘사된 듯하다. 아래쪽에서 위로 올라가며 근경. 중경. 원경이 거의 같은 무게를 지니고 배치되었고. 그들 사이는 안개와 강..

중국고전명화 2024.03.20

작가 : 오빈(吳彬). 제목 : 나한(羅漢)부분

작가 : 오빈(吳彬) 제목 : 나한(羅漢)부분 언제 : 明 재료 : 족자 종이에 먹과채색 규격 : 151.1 x 80.7 cm 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오빈의 자는 문중(文中), 북건성(福建省) 포전(蒲田) 출신으로. 만력(萬曆)연간에 그림으로 천거되어 중서사인(中書舍人)이 되었다. 오빈은 산수와 인물화를 잘 그렸는데. 인물화는 주로 불상과 나한도를 그렸고, 산수화는 북송 산수화의 웅장한 구도에 특이한 과장과 변형을 더하여 괴이한 느낌을 주는 燭恝?양식을 창조했다. 이 작품은 세밀한 묘사를 주로 했던 비교적 조기의 불교인물화를 대표하는 것으로, 절벽에서 쏟아지는 폭포 가에 가각 다른 자세로 앉아 있는 다섯 명의 나한을 그렸다. 화면 전체에 공백이 거의 없고. 대부분이 바위로 채워져 있다. 둥근바..

중국고전명화 2024.03.13

작가 : 오빈(吳彬). 제목 : 산수도(山水圖)

작가 : 오빈(吳彬) 제목 : 산수도(山水圖) 언제 : 明 재료 : 족자 비단에 수묵 규격 : 120.5 x 39.7 cm 소장 : 미국 개인 해설 : 오빈은 북송 산수화 양식의 화면구성을 바탕으로 하고 출신지인 복건 지방의 진경산수에서 취한 산석의 조형에 과장과 변형을 가하여 매우 독특한 산수화를 그렸다. 이 작품은 자제에 만력 45년 이라는 연기 가 있어 비교적 만년의 작품임을 알수 있다. 거대한 태호석(太湖石) 을 연상케 하는 주산이 있고. 그 중간의 구멍을 통해 누각이 보이며. 주산의 뒤쪽으로는 역시 기괴한 모양의 원산이 보이는 환상적인 풍경의 산수화이다. 화면 오른쪽의 폭포는 북송 산수화에서 흔히 볼수있는 것처럼 검은 바위 표면에 가느다란 흰 선으로 표현했고. 나무는 기괴한 산봉우리에 비하여 극..

중국고전명화 2024.03.05

작가 : 남영(藍瑛). 제목 : 계산설제도(溪山雪霽圖)

작가 : 남영(藍瑛) 아호 : 접수(蝶叟) 제목 : 계산설제도(溪山雪霽圖) 언제 : 明 재료 : 족자 비단에 채색 규격 : 82.3 x 28.9 cm 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남영은 전당(錢塘)출신으로. 자는 전숙(田叔), 호는 접수(蝶叟)이다. 산수. 인물. 화조화에 모두 능했고. 처음에는 남송원체산수화 양식을 따랐으나. 그후에는 원사대가를 비롯한 문인화풍의 산수화도 배워. 중년에 이르러 절충적인 자신의 화풍을 이루었다. 전당 출신이고 직업화가라는 이유로 그를 절파에 포함시키는 경우가 많지만. 강건한 필치에서 절파의 영향이 였보일 뿐 그의 작품에서는 절파적인 요소를 그다지 찾아볼 수 없다. 이 작품은 남영의 39세 때의 작품으로, 화면중앙에서부터 흘러나오는 강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눈이 그친 ..

중국고전명화 2024.02.28

작가 : 정운붕(丁雲鵬). 제목 : 소상도(掃象圖

작가 : 정운붕(丁雲鵬) 아호 : 성화거사(聖華居士) 제목 : 소상도(掃象圖) 언제 : 明 재료 : 족자 종이에 채색 규격 : 140.8 x 46.6 cm 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정운봉은 안휘성 휴녕 사람으로. 자는 남우(南羽). 호는 성화거사(聖華居士)이다. 자신이 독실한 불교도로 도석인물화를 많이 그렸는데. 불상화는 당의 오도자(吳道子)의 화풍을, 백묘인물화는 북송의 이공린(李公麟)의 양식을 배웠다고 한다. 이 작품의 주제인 소상은 육조시대의 장승요(張僧繇). 당대의 염입본(閻立本)이래 계속 불화의 중요한 주제가 되어 왔지만. 정확한 도상적(圖像的) 의미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길고 좁은 화면에 작은 시내가 굽이쳐 흐르고. 시내 양쪽으로 코끼리를 닦는 동자, 그 모습을 바라보는 보살과 그의..

중국고전명화 2024.02.21

작가 : 진홍수(陳洪綬). 제목 : 매화산조(梅花山鳥)

작가 : 진홍수(陳洪綬) 아호 : 노련(老蓮). 노지(老遲). 회지(悔遲) 제목 : 매화산조(梅花山鳥) 언제 : 明 재료 : 족자 비단에 먹과 채색 규격 : 124 x 49.6 cm 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진홍수의 개성있는 화조화는 거의 쇠퇴해 가던 명말의 화조화에 새로운 생기를 불어넣었다. 이 작품은 북송 원체화조화(院體花鳥畵)와 같은 전통적인 구도와 기법을 사용하여 그린 것이다. 만개한 매화꽃은 간늘고 단단한 선으로 윤곽을 그리고 백분을 칠하여 한송이 한송이가 양감(量感)있게 표현되었다. 바위의 준문(皴紋)은 윤필(潤筆)의 가늘고 굵은 선조(線條)로 독특하게 묘사하여 마치 바위 속에 내재(內在)하는 생명력을 나타내는 듯하여, 오히려 무생물처럼 보이는 매화나무. 그리고 딱딱하게 앉아있는 새와..

중국고전명화 2024.02.15

작가 : 최자충(崔子忠). 제목 : 운림세동도(雲林洗桐圖)

작가 : 최자충(崔子忠) 아호 : 북해(北海) 제목 : 운림세동도(雲林洗桐圖) 언제 : 明 재료 : 족자 비단에 먹과 채색 규격 : 160 x 53 cm 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최자충의 자는 개여(開予), 호는 북해(北海) 또는 청인(靑蚓)이다. 산동성 내양 출신으로. 숭정 연간에 순천부학(順天府學)의 제생(諸生)이 되었다. 인물화를 잘 그렸고. 고개지. 염입본. 오도자. 육탐미의 양식을 기초로 하여 자신의 화풍을 이루어 진ゼ熾?더불어 남진북최(南陳北崔)의 명성을 얻었다. 이 작품은 지나친 결벽증을 가지고 있던 원대의 화가 예찬이 정원의 오동나무까지 닦게 했다는 일화를 다루었다. 주인공 예찬이 커다란 괴석 아래에 서서 하인들이 푸른 잎이 무성한 오동나무 닦는 것을 주시하고 있고. 예찬 옆에는 ..

중국고전명화 2024.02.05

작가 : 이사달(李士達). 제목 : 서련도

작가 : 이사달(李士達) 아호 : 앙괴(仰槐) 제목 : 서련도 언제 : 明 재료 : 족자 종이에 먹과 채색 규격 : 115.2 x 41 cm 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이사달은 오현 출신으로. 호는 앙괴(仰槐)이다. 만력 연간에 산수화와 인물화로 유명했고. 산수화의 오미(五美 : 창(蒼), 일(逸), 기(奇), 원(遠), 운(韻)) 와 오악(五惡 : 눈(嫰), 판(板), 각(刻), 생(生). 치(癡))을 논하기도 하였다. 이 서련도는 몰골법과 백묘법을 같이 사용한 담백하고 청신한 느낌을 주는 작품이다. 괴석은 필선이 전혀없이 물기가 많은 먹으로만 묘사하였고. 연잎은 먼저 녹색 물감으로 그리고 나중에 잎맥을 가하였으며. 두 송이의 연꽃은 윤곽선만으로 묘사하였다. 먹과 색채의 농담만으로 괴석의 입체감..

중국고전명화 2024.01.29

작가 : 왕시민(王時敏). 제목 : 방황공망부람난취도(倣黃公望浮嵐暖翠圖)

작가 : 왕시민(王時敏) 아호 : 연객(煙客).서려노인(西廬老人) 제목 : 방황공망부람난취도(倣黃公望浮嵐暖翠圖) 언제 : 明 재료 : 족자 비단에 설채 규격 : 163.4 x 99.1 cm 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왕시민은 86세 때까지 작품활동을 한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 그림 또한 그의 만년작이다. 그는 18세 때에도 이와 똑 같은 그림을 그렸는데. 이렇게 같은 그림을 60년후에 다시 그리면서도 구도와 필법 등 화풍에 아무 변화가 없는 것만 보아도 그가 얼마나 보수적이었는가를 잘 알수 있다. 이렇게 작가로서의 실험정신과 창조적 상상력을 스스로 시들게 할 정도로 스승의 화도(畵道)만을 고집하고 정통의 궤(軌)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왕시민은 왕감과는 사제 겸 친구로서 그림의 세계에 서로 영향을 주었..

중국고전명화 2024.01.24

작가 : 왕시민(王時敏). 제목 : 송암정락도(松巖靜樂圖)

작가 : 왕시민(王時敏) 아호 : 연객(煙客).서려노인(西廬老人) 제목 : 송암정락도(松巖靜樂圖) 언제 : 明 재료 : 족자 비단에 설채 규격 : 168 x 76.3 cm 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왕시민은 강소성의 태창 사람으로 자는 손지(遜之), 호는 연객(煙客) 또는 서려노인(西廬老人)이라 한다. 왕시민은 태상사소경(太常寺少卿)이라는 벼슬을 몇해 동안 하다가 명말 1630년에 고향으로 돌아온 후 세상을 마치는 날까지 은거하면서 시. 서. 화의 세계에서만 살았다. 상남폄북론(尙南貶北論)을 주장한 동기창에게서 그림을 배워 그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원 사대화가의 하나인 황공망과 오대 때의 동원 과 거연을 배워 따르기도 하였다. 그러나 동기창과 황공망의 회화사상권에서 평생을 벗어나지 못했다. 왕시..

중국고전명화 2024.01.18

작가 : 왕감(王鑑). 제목 : 하산도(夏山圖)

작가 : 왕감(王鑑) 아호 : 상벽(湘碧). 염향암주(染香菴主) 제목 : 하산도(夏山圖) 언제 : 明 재료 : 족자 종이에 수묵 규격 : 170.5 x 90.8 cm 소장 : 옹만과(翁萬戈) 컬렉션 해설 : 왕감은 자를 현조(玄照)라 하였지만. 청조가 들어서면서 황제의 휘(諱)를 피하여 원조(元照)라 하였다. 호는 상벽(湘碧)이다. 왕감의 조부 왕세정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동기창이 왕감의 지도를 맡았기 때문에 당연히 그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리고 청초 사왕 오운(四王吳惲)의 제1인자였던 왕시민과는 나이 차를 넘어 형제와 같이 지내면서 화기(畵技)를 겨루었다. 명말에 시작된 방고주의(倣古主義)라고 하는 제작태도는 왕시민을 거쳐 왕감에 이르러 하나의 방향을 확립했다. 동원. 거연을 전형으로 하면서 자..

중국고전명화 2024.01.11

작가 : 왕감(王鑑). 제목 : 산수도(山水圖)

작가 : 왕감(王鑑) 아호 : 상벽(湘碧). 염향암주(染香菴主) 제목 : 산수도(山水圖) 언제 : 明 재료 : 화첩 종이에 담채 규격 : 32 x 30 cm 소장 : 프린스턴 대학 미술관 해설 : 왕감의 이 산수도는 작은 그림이면서도 구도가 짜임새 있고 화법도 정교하여 수작(秀作)이라 할 만하다. 특히 화면의 윗부분을 시원하게 여백으로 남기고 아랫부분의 산수를 정교하게 처리한 점이 대가다운 솜씨를 보이고 있다. 잔소리 같은 화제나 간지(干支) 등도 없고 빨강색의 도장만 몇 과(顆)찍혀 있어서 작품 효과를 더해 주는 것 같다. 몇 그루의 나무와 대(竹)가 있는 자그마한 초가 안에 선비가 홀로 앉아 있다. 먼 곳에서 찿아올 다정한 벗이라도 기다리고 있는 모습이다. 임천고치(林泉高致)라는 말은 바로 이런 경지..

중국고전명화 2024.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