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고전명화 97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시문신월도(柴門新月圖)부분

작가 : 작가미상제목 : 시문신월도(柴門新月圖)부분언제 : 무로마찌 시대재료 : 족자 종이에 수묵규격 : 129.4 x 43.3 cm소장 : 오오사카 후지타 미술관 해설 : 이 작품도 역시 와 같은 시화축(詩畵軸)이나 글과 그림이 모두 실리지 못하고 그림 부분만 보인다. 그러나 상부에 있는 교쿠엔봄포오의 서문에는 응영(應永) 12년 즉 1405년 연기(年紀)가 있어 지금 알려진 시화축 중 제일 연대가 이른 것으로 판명된다. 서문에 의하면 이 그림은 두보(杜甫)의 남린고인시(南隣故人詩)의 셋째. 넷째 귀절인 “백사취죽강촌모. 상송시문월색신(白沙翠竹鋼村暮. 相送柴門月色新)” 에서 주제를 따온 것이라 한다. 이는 당시 일본 고잔(五山)의 선승(禪僧)들 사이에 유행했던 은일사상과 그들의 시문(詩文) 애호경향을 ..

일본고전명화 2024.06.08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쇼오이쯔국사상(聖一國師像)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쇼오이쯔국사상(聖一國師像)언제 : 카마쿠라 시대 (1279년) 재료 : 족자 비단에 먹과 채색 규격 : 165.8 x 98.2 cm소장 : 쿄오토 만수사  해설 : 일본에 선종(禪宗)불교가 소개된 것은 카마쿠라시대 초기이며. 그와 때를 같이하여 선사(禪師)의 초상화인 정상(頂相)이 그려지기 시작했다. 선불교에서는 스승과 제자간의 정신적 유대를 특히 중요시하여 스승은 자기를 떠나는 제자에게 반드시 초상화를 주는 풍습이 있었다. 초상화의 형식은 물론 송대의 것을 표본으로 하였으나. 카마쿠라시대 와 무로마찌 시대에 걸쳐 우수한 정상이 많이 제작되었다. 쇼오이쯔 국사는 쿄오토의 동복사(東福寺)를 세운 유명한 인물이며. 이 초상화는 그림의 윗부분에 쓰인 자찬(自讚)에 의하면 그가 입적하..

일본고전명화 2024.06.01

작가 : 에니찌보오 죠오닌. 제목 : 화엄종조사(華嚴宗祖師)부분

작가 : 에니찌보오 죠오닌 제목 : 화엄종조사(華嚴宗祖師)부분언제 : 카마쿠라 시대 (13세기) 재료 : 두루마리 종이에 먹과 채색 규격 : 상) 31.5 x 1,220 cm하) 31.5 x 1556 cm 소장 : 쿄오토 고산사  해설 : 이그림은 고승들의 전기를 그린 에덴(繪傳)에 속하며. 통일신라시대의 고승으로 영주(榮州) 부석사(浮石寺)를 세운 의상법사(義湘法師)의 당나라 유학시절의 이야기를 주제로 한다. 카마쿠라 시대 초기의 고승인 묘오에상인 은 송고승전(宋高僧傳)을 토대로 하여 신라시대에 화엄종(華嚴宗)을 우리나라에 들여온 원효(元曉)와 의상의 이야기인 화엄연기(華嚴緣起)를 쓰고 그의 가장 친애하는 화승(畵僧) 에니찌보오 죠오닌에게 그림을 그리도록 하였다. 여섯 개의 두루마리로 된 전체 중에서 ..

일본고전명화 2024.05.26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산월아미타도(山越阿彌陀圖)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산월아미타도(山越阿彌陀圖)언제 : 카마쿠라 시대 (13세기 전반) 재료 : 족자 비단에 설채 규격 : 138 x 118 cm소장 : 쿄오토 선림사  해설 : 헤이안 후기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아미타 내영도(來迎圖)는 카마쿠라시대에 들어와 여러 형태로 구도의 변화를 보이며 발달하였다. 이 시대의 가장 보편적인 구도는 아미타불이 화면의 왼쪽 윗부분으로부터 대각선으로 내려오는 형태였으나. 이 산월 아미타는 화면의 상부 중심에 산을 넘어오는 듯 정면의 위압적인 자세로 군림하는 아미타불을 묘사하였다. 그 양쪽으로는 관음과 세지(勢至)보살이 흰 구름위에 서 있으며. 그 아래로는 사천왕(四天王)과 두 동자가 배치되어 있다. 화면의 왼쪽 위 구석에는 대일여래(大日如來)의 종자(種子)인 아(阿)..

일본고전명화 2024.05.20

작가 : 엔이(圓伊). 제목 : 엔이(圓伊)

작가 : 엔이(圓伊) 제목 : 엔이(圓伊) 언제 : 카마쿠라 시대 재료 : 두루마리 비단 채색 규격 : 38.2 x 802 cm소장 : 토오쿄오 환희광사  해설 : 카마쿠라 시대의 에마키모노(繪卷物)의 최고봉을 이루는 이 작품은 13세기 후반기에 아미타 신앙을 전파하는 데 큰 공로를 세운 입펜상인의 포교활동을 주제로 한 그림이다. 입펜상인은 천태종(天台宗)과 정토종(淨土宗)을 공부하고 몇 년간 수도한 후 시종(詩宗)을 창시하고 여생을 일본 각지를 돌아다니며 아미타불 신앙을 전파하여 약 250만 명의 교도를 만들었다고 한다. 그의 전기는 그와 함께 포교여행을 다녔던 제자 쇼오카이 에 의해 집필되었고. 역시 그들과 동반하였을 것으로 추측되는 엔이에 의해 1299년에 두 개의 두루마리로 그려졌다. 여기에 보이..

일본고전명화 2024.05.14

작가 : 후지와라노 타카요시(傳). 제목 : 겐지모노가타리 중의 어법(御法)

작가 : 후지와라노 타카요시(傳) 제목 : 겐지모노가타리 중의 어법(御法)언제 : 헤이안 시대 후기(12세기 후반) 재료 : 두루마리 종이에 채색 규격 : 22 x 48.5 cm소장 : 토오쿄오 고토오미술관  해설 : 겐지모노가타리는 헤이안 후기의 대표적인 순수 일본문학 작품으로 11세기 전반 황실의 시녀였던 무라사키 시키부가 자기의 생활주변에서 관찰할수 있었던 귀족생활의 이모저모를 겐지라는 왕자의 일생을 중심으로 엮은 소설이다. 소설 자체는 54첩으로 되어있고. 12세기 전반에 그림과 글이 엇바뀌는 형식으로 된 몇 개의 두루마리로 꾸며졌다. 그림은 당시의 유명한 귀족화가 후지와라노 타카오시가 그린 것으로 전하나 확실치는 않다. 지금은 모두 네 개의 두루마리만 남았는데. 이들 중 그림은 19개 장면이며...

일본고전명화 2024.05.08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헤이케납경(平家納經) 약왕품(藥王品)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헤이케납경(平家納經) 약왕품(藥王品) 언제 : 헤이안 시대 후기(12세기 후반) 재료 : 두루마리 종이에 채색 규격 : 25.8 x 28.8 cm 소장 : 히로시마 이쯔쿠시마신사 해설 : 이 그림은 헤이안 후기의 유명한 귀족 타이라노 키요모리(平淸盛)가 그의 아들들과 기타 집안식구들을 위해 봉납(奉納)한 33권의 불경 중 하나의 시작부분에 해당한다. 키요모리의 원문이 장관(長寬)2년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 제작연대를 대강 그와 같은 때로 볼수 있다. 그림의 기법상으로 보면 이들 33권이 모두 이 그림처럼 야마토에(大和繪) 로 되어있지 않고 몇 가지는 중국회화풍인 당화(唐畵)로 되어 있다. 야마토에 양식으로 된 그림들은 우선 종이 자체를 고운 색으로 물들이고 그 안팎으로 가느다란 ..

일본고전명화 2024.04.24

작가 : 작가미상제목 : 신기산연기(信貴山緣起)부분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신기산연기(信貴山緣起)부분 언제 : 헤이안 시대 후기(12세기 후반) 재료 : 두루마리 종이에 먹과 채색 규격 : 31.5 x 872 cm 소장 : 나라 조호손자사 해설 : 헤이안 후기에는 일본소설. 역사이야기. 또는 불교사원이나 유명한 중들의 이야기를 주제로 한 그림을 두루마리 형식으로 펼쳐가며 그린 에마키모노가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원래 이와 같은 그림 형식은 중국에서 발달한 것으로 돈황(敦煌) 석굴 속의 불교설화 벽화. 또는 고개지(顧愷之)의 낙신부도(洛神赋圖)에서 그 초기의 예를 찾아볼 수 있다. 이 시귀산연기 는 9세기 말에 시기산의 조호손자사(調護孫子寺)를 증수하고 일생동안 그곳에서 수도생활을 한 고승 묘오렌(명련)으 기적을 주제로 한 그림이다. 묘오렌은 동대사 에서..

일본고전명화 2024.04.19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석가금관출현도(釋迦金棺出現圖)부분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석가금관출현도(釋迦金棺出現圖)부분 언제 : 헤이안 시대 후기(11세기 후반) 재료 : 족자 종이에 설채 규격 : 160 x 229.5 cm 소장 : 마쯔나가 기념관 해설 : 커다란 화면의 중심에 찬란한 금빛 광배를 배경으로 합장한 석가모니가 중생들에게 둘러싸여 있는 모습이다. 이와 같은 그림은 마하마야경(摩何摩耶經)에 나오는 석가재생설법 장면을 묘사한 것이다. 경의 내용에 의하면. 석가모니의 열반을 그의 제자 아나율존자(阿那律尊者)가 도리천(忉利天)에 있는 석가의 어머니 마야부인에게 가서 고하자. 부인은 급히 내려와 석가의 관위에 만다라화(曼茶羅華)를 뿌리고 그의 승가리의(僧伽梨衣)를 돌아보고 바리와 석장(錫杖)을 들고 흐느껴 울었다. 이때에 석가는 신통력을 발휘하여 관에서 나..

일본고전명화 2024.04.12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조모입녀병풍(鳥毛立女屛風)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조모입녀병풍(鳥毛立女屛風) 언제 : 나라시대(8세기 중엽) 재료 : 종이에 먹과채색 그리고 새털장식 규격 : 136 x 56 cm 소장 : 나라 동대사 정창원 해설 : 정창원(正倉院) 보물 중에 나무 밑에 서거나 앉아 있거나 한 여인을 하나씩 그린 육첩(六疊) 병풍이 있다. 이 그림은 그 중의 첫째 폭이며. 나무 밑에 보주(寶珠)를 들고 서 있는 풍만한 여인을 묘사한 것이다. 이와 같은 주제를 다룬 미술은 인도 토속신앙의 풍요의 여신인 약시와도 관련 있고. 기타 중앙아시아의 미술에서도 나타나고 수하미인도(樹下美人圖)라고 불리며. 건릉의 당대 분묘벽화에서도 볼수 있다. 는 이 병풍의 여인들 옷과 머리카락 부분에 원래는 새 깃털이 붙어 있었음으로 해서 붙인 명칭이다. 여인의 옷. ..

일본고전명화 2024.04.06

작가 : 안도오 히로시게. 제목 : 토오카이도오 오십삼차(東海道 五十三次) 중 캄바라(蒲原)

작가 : 안도오 히로시게 제목 : 토오카이도오 오십삼차(東海道 五十三次) 중 캄바라(蒲原) 언제 : 에도시대 재료 : 판화 종이에 니시키에 규격 : 25.6 x 37.9 cm 소장 : 일본개인 해설 : 안도오 히로시게는 카쯔시카 호쿠사이의 뒤를 이어 풍경화를 소재로 한 판화를 많이 그린 에도시대 말기의 판화가이다. 그는 원래 무사(武士)의 집안에서 태어났으나. 아버지가 일찍 세상을 떠나, 우타가와 토요히로(歌川豊廣) 라는 우키요에(浮世繪) 판화가의 문하에 들어가 스승의 성을 따르게 되어 때로는 우타가와 히로시게(歌川廣重) 라고도 불린다. 히로시게는 처음에는 일본의 여러 화파의 영향을 고루 나타내는 그림을 그렸으나 호쿠사이의 풍경판화. 특히 그의 후지산(富士山) 풍경판화에 자극을 받아 1831년 토오토명소..

일본고전명화 2024.04.01

작가 : 카쯔시카 호쿠사이. 제목 : 부악삼십육경(富嶽三十六景)

작가 : 카쯔시카 호쿠사이 제목 : 부악삼십육경(富嶽三十六景) 언제 : 에도시대 재료 : 판화 종이에 니시키에 규격 : 25 x 37 cm 소장 : 토오쿄오 국립박물관 해설 : 카쯔시카 호쿠사이는 에도시대 말기에 활약한 가장 유명한 우키요에 판화가이다. 그는 우키요에가 미인도(美人圖) 나 카부키(歌舞지) 배우 초상화를 거듭 그림으로써 형식화되고 신선함을 잃어가는 시기에, 풍경화나 화조화(花鳥畵)의 새로운 소재를 다루어 판화예술에 일대 변혁을 가져온 독창적인 판화가이다. 그는 처음에 목판 조각의 기술을 배웠으나. 19세 때 화가가 될것을 결심하고 카쯔카와 슌쇼오의 문하에 들어가 일본의 전통적인 여러 화파는 물론 당시에 일본에 들어온 서양화의 영향에 의한 새로운 화풍까지도 골고루 설렵하였다. 은 경치 좋은 ..

일본고전명화 2024.03.20

작가 : 토오슈우사이 샤라쿠. 제목 : 이찌카와 오메조오 의 얏코입페이

작가 : 토오슈우사이 샤라쿠 제목 : 이찌카와 오메조오 의 얏코입페이 언제 : 에도시대 재료 : 판화 종이에 니시키에 규격 : 37.7 x 24.9 cm 소장 : 토오쿄오 국립박물관 해설 : 토오슈우사이 샤라쿠는 본명을 사이토오 쥬우로오베에 라고 했으며. 그가 고용배우였다는 사실이 1884년에 간행된 ‘증보우키요에류고’ 의 기록에 의해서 밝혀졌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그가 그림을 그렸던 시기는 1794년 5월에서 1795년 초까지였다. 그 기간은 불과 10개월 정도밖에 되지 않지만. 이때 제작된 작품으로 현재까지 남아있는 것들은 약 140종에 이른다. 이들 중 가장 뛰어난 것은. 1794년 5월에 흥행된 에도 3좌(座)의 주역을 맡은 배우들을 그린 28개의 초상 작품이다. 이찌카와 오메조오의 ..

일본고전명화 2024.03.05

작가 : 키타가와 우타마로. 제목 : 부인상학십체(婦人相學十體)

작가 : 키타가와 우타마로 제목 : 부인상학십체(婦人相學十體) 언제 : 에도시대 재료 : 판화 종이에 니시키에 규격 : 37.7 x 24.2 cm 소장 : 토오쿄오 국립박물관 해설 : 키타가와 우타마로의 어릴 때 이름은 이찌타로오 라고 했으며. 호는 토요아키(豊壯) 라고 했다. 그는 29세부터 키타가와 우타마로로 불리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토리야마 세키엔(鳥山石燕)에게 그림을 배워 카부키(歌舞기)배우 그림을 그렸으나 당시의 유명한 출판업자인 쯔타야 쥬우자브로오에게 재능을 인정받아 미인화를 그리게 되었다. 그의 미인화는 토리이 키요나가 와 카쯔카와 슌쇼오 양식의 모방에서 출발하나. 미인 오오쿠비에 라고 불리는 자시 자신의 새로운 양식을 창안해 내게 되었다. “오오쿠비에”는 인물 표현의 극치를 나타내는 판화..

일본고전명화 2024.02.28

작가 : 이소다 코류우사이. 제목 : 하문견도(夏蚊遣圖)

작가 : 이소다 코류우사이 제목 : 하문견도(夏蚊遣圖) 언제 : 에도시대 재료 : 판화 종이에 니시키에 규격 : 28.4 x 21.3 cm 소장 : 히라키 우키요에 재단 해설 : 이소다 코류우사이는 에도시대 중기의 판화가로, 스즈키 하루노부(鈴木春信)의 양식을 따라 젊고 낭만적인 여인상을 그린 사람이다. 특히 하루노부 생존시에는 그와 비슷한 판화를 하루히로(春廣) 라는 이름으로 제작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하루노부가 죽은 뒤부터는 코류우사이라는 호를 쓰기 시작하여. 좀더 자신의 독창적인 그림을 그렸다. 그는 일상생활의 장면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작품을 특히 잘 그렸으며. 이 도 그 중의 한 예이다. 화면을 대각선으로 나누어 오른쪽으로는 실내의 장면. 그리고 왼쪽으로는 활짝 열린 장지문을 통하여 연자화(燕子花..

일본고전명화 2024.02.21

작가 : 스즈키 하루노부. 제목 : 우야궁예미인(雨夜宮詣美人)

작가 : 스즈키 하루노부 제목 : 우야궁예미인(雨夜宮詣美人) 언제 : 에도시대 재료 : 판화 종이에 니시키에 규격 : 27.7 x 20.5 cm 소장 : 토오쿄오 국립박물관 해설 : 스즈키 하루노부는 명화(明和)연간을 지배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인기있는 우키요에(浮世繪) 판화가였다. 그는 니시무라 시게나가(西村重長). 오쿠무라 마사노부. 이시카와 토요노부(石川豊信) 등의 영향을 받으며. 판화가로서 발전해 나가다가. 드디어 자신의 독특한 여인상을 창안해 내었다. 또한 기법상으로도 니시키에 라는 다색판화(多色版畵)를 개발하여 판화사(板畵史)에 크나큰 업적을 남겼다. 하루노부는 당시에 유행하던 선정적(煽情的) 여인상의 우키요에에서 탈피하여. 일본 고전 시문학의 낭만적 기분을 되살린 우아하고 세련된 젊은..

일본고전명화 2024.02.15

작가 : 카이게쯔도오 안도. 제목 : 풍전미인도(風前美人圖)

작가 : 카이게쯔도오 안도 제목 : 풍전미인도(風前美人圖) 언제 : 에도시대 재료 : 족자 종이에 설채 규격 : 94.8 x 42.7 cm 소장 : 토오쿄오 국립박물관 해설 : 카이게쯔도오 안도는 속명을 오카자키 겐시찌라고 했다. 그는 카이게쯔도오파의 창시자였으며. 그의 공방(工房)에는 안찌(安知). 안판(安䌓). 도신(度辰) 등 20여명의 제자들이 있었다. 풍전미인도는 서 있는 유녀(遊女)를 주제로 하였으며. 거의 대부분의 작품이 몸체를 (쿠) 자형으로 구부린 유형화된 상이다. 옷의 표현은 비수(肥瘦)의 변화가 심한 선을 써서 윤곽선을 대략 그린 후 커다란 문양을 특색 있게 면밀히 그려 넣었다. 얼굴. 손. 발의 섬세하고 가는 선과는 대조적이다. 는 그의 표준작으로 불리는 작품이며. 당시의 우키요에는 ..

일본고전명화 2024.02.05

작가 : 히시카와 모로노부. 제목 : 요시와라의 모습

작가 : 히시카와 모로노부 제목 : 요시와라의 모습 언제 : 에도시대 재료 : 판화 종이에 스미즈리 규격 : 29.1 x 42.3 cm 소장 : 토오쿄오 국립박물관 해설 : 히시카와 모로노부는 우키요에의 창시자로 알려졌다. 그는 에도의 출판업이 성해지는 것과 더불어 목판 삽화가로 크게 활약하여 인기를 얻게 되었다. 그가 그림과 판화에서 다룬 소재는 극히 다양했으며. 인기있는 삽화를 책으로부터 독립시켜 12장이 한 질(帙)로 된 목판화를 제작하여 미술의 대중화에 공헌하였으며. 이것이 우키요에 판화의 시초가 되었다. 이 이란 작품도 그와 같은 것으로서. 토오쿄오 유곽(遊廓)의 정경을 12장면으로 그린 것 중의 하나이다. 초기의 판화가 대개 그렇듯. 이 작품은 선묘(線描)만 목판으로 한 것으로 기법상 스미즈리..

일본고전명화 2024.01.29

작가 : 와타나베 카잔. 제목 : 타카미 센세키상

작가 : 와타나베 카잔 제목 : 타카미 센세키상 언제 : 에도시대 재료 : 족자 비단에 채색 규격 : 116 x 58 cm 소장 : 토오쿄오 국립박물관 해설 : 와타나베 카잔은 그 당시 서양 학문에 밝은 선각자 중의 한 사람이었다. 그의 현실 묘사에 대한 흥미는 차츰 서양화법에 관심이 옮겨가게 되어, 서양화의 음영법을 사용하여 마침내 일련의 독특한 초상화를 제작하게 되었다. 그는 초상화 모델의 외형적 특징의 묘사에 서양화의 사실적 수법을 가하여 살아있는 현실적 인간상 표현에 접근하려고 하였다. 이 초상화는 난학(蘭學 : 네델란드어를 통한 서양학의 연구)의 선배인 타카미 센세키를 그린 것이다. 이 작품은 비교적 야윈 얼굴에 이지적이고 냉철한 눈. 그리고 굳게 다문 감각적인 입술 등. 에도(江戶) 후기에 선..

일본고전명화 2024.01.24

작가 : 와타나베 카잔, 제목 : 천산만수도(千山萬水圖)

작가 : 와타나베 카잔 제목 : 천산만수도(千山萬水圖) 언제 : 에도시대 재료 : 족자 비단에 채색 규격 : 147.5 x 71 cm 소장 : 일본개인 해설 : 와타나베 카잔은 미카 영주의 무사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는 생계를 돕기 위하여 그림을 배우기 시작했다. 1809년 타니 분쬬오의 문하에 들어가서 그의 화풍과 청나라의 화가 심남빈(沈南蘋)의 화풍을 배웠다. 그후 서양화에 흥미를 갖기 시작하여 많은 초상화를 그렸다. 는 제목 그대로 첩첩히 쌓인 산 사이에 호수. 늪. 폭포 그리고 강의 많은 물이 가득찬 넓디넓은 경관(景觀)을 부감법(俯瞰法)으로 묘사한 작품이다. 도장의 글씨에 모고(摹古) 라고 되어있기 때문에 이는 서양화의 영향을 받은 중국의 산수화를 모사(模寫)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근경에 ..

일본고전명화 2024.01.18

작가 : 마루야마 오오쿄. 제목 : 설송도(雪松圖)

작가 : 마루야마 오오쿄 제목 : 설송도(雪松圖) 언제 : 에도시대 재료 : 족자 종이에 수묵담채 규격 : 153 x 71.7 cm 소장 : 토오쿄오 국립박물관 해설 : 마루야마 오오쿄는 에도시대 중기에 활약한 화가로, 그의 성을 딴 마루야마화파의 시조이다. 그는 14세 때 고향을 떠나 쿄오토의 이시다 유우테이의 문하로 들어가 카노오파 양식의 그림을 그렸다. 그후 그는 메가네에를 그리면서 서양화의 투시법과 음영법을 익히게 되었고 사생(寫生)도 많이 하였다. 결과적으로 서양화 기법과 사생에 기초한 사실주의가 마루야마파 양식의 근간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오오쿄는 그의 사생결과를 다시 단순화시켜 사물을 깨끗하고 간결하게 표현하였다. 이 는 굵은 노송(老松)의 둥치와. 밑으로 늘어진 가지를 화면에 가깝게 부각..

일본고전명화 2024.01.17

작가 : 이토오 쟈쿠쮸우. 제목 : 설매웅계도(雪梅雄鷄圖)

작가 : 이토오 쟈쿠쮸우 제목 : 설매웅계도(雪梅雄鷄圖) 언제 : 에도시대 재료 : 족자 비단에 채색 규격 : 113.5 x 56.4 cm 소장 : 쿄오토 양족원 해설 : 이토오 쟈쿠쮸우는 쿄오토의 한 과일 도매상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에 관해서 언급할때는 언제나 “이색적인 화가” 이단(異端)과 기상(奇想)이라는 형용사가 사용된다. 그는 상인계층에 속했으나 세속의 이욕(利欲)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으며. 머리를 깍고 일생동안 독신생활을 하면서. 어설픈 승려로서는 미치기 어려운 탈속적(脫俗的)인 생활을 했다고 한다. 그가 즐겼던 것은 그림뿐이었으며. 소년시절부터 시작하여 죽을 때까지 끊임없이 오직 그림만 그렸다. 그는 처음에 카노오파(狩野派)로부터 배웠으나. 에도 후기 카노오파의 판에 박은 듯한 화풍에 만족..

일본고전명화 2024.01.11

작가 : 하나부사 잇쬬오. 제목 : 조돈예마도(朝暾曳馬圖) 부분

작가 : 하나부사 잇쬬오 제목 : 조돈예마도(朝暾曳馬圖) 부분 언제 : 에도시대(7세기말) 재료 : 족자 종이에 채색 규격 : 30.6 x 52 cm 소장 : 토오쿄오 정가당 해설 : 하나부사 잇쬬오는 오오사카(大阪) 출신으로 어릴 때 에도(江戶)로 가서. 카노오 야스노(狩野安信)부 로부터 그림을 배웠다. 그러나 일찍부터 풍속화에 관심을 갖고. 풍속화의 좋은 소재가 되었던 유곽(遊廓)에도 자주 출입하였다. 이때 다이묘오(大名:武家)의 자제를 꾀어서 그곳에 동행했다는 이유로 유배를 가게 되었는데. 10여 년에 걸친 유배생활을 유지하기 위하여 그림을 그렸다고 한다. 그후 10여년 만에 사면이 되어 1709년 에도로 돌아와. 이름을 하나부사 잇쬬오로 고치고. 죽을때까지 왕성한 제작생활을 하여 많은 인기를 얻었..

일본고전명화 2024.01.06

작가 : 토미오카 텟사이. 제목 : 관폭도(觀瀑圖)

작가 : 토미오카 텟사이 제목 : 관폭도(觀瀑圖) 언제 : 1912 재료 : 족자 종이에 수묵 규격 : 150 x 63 cm 소장 : 야마토 문화관 해설 : 토미오카 텟사이는 에도시대 말기에 태어나 메이지(明治) 타이쇼오(大正) 연간에 활약한 일본 남화사(南畵史)의 마지막을 장식한 거장(巨匠) 이다. 그는 19세 때쯤부터 우키타 잇케이 와 오다 카이센에게 야마토에 및 남화풍의 그림을 배우기 시작하였다. 그 밖에도 그는 당시의 유명한 학자들로부터 일본고전 및 근대문학. 역사. 지리 등 다방면의 교육을 받아 문인화가로서의 기초를 쌓았다. 그는 산수화 등 전통적인 문인화 소재는 물론 그의 독특한 인물화 필치로 군상(群像)이 포함된 풍속화도 많이 남겼다. 1917년에는 제실기예원(제실기예원)의 화가로 임명되었고..

일본고전명화 2024.01.03

작가 : 우라가미 교쿠도오. 제목 : 동운사설도(東雲篩雪圖)

작가 : 우라가미 교쿠도오 제목 : 동운사설도(東雲篩雪圖) 언제 : 에도 시대 재료 : 족자 종이에 수묵담채 규격 : 133.4 x 56.2 cm 소장 : 카나가와 카와바다 야스나리 기념회 해설 : 우라가미 교쿠도오는 호를 교쿠도오 킨시(玉堂琴士) 라고 했다. 그는 비젠에서 태어나 그 지방의 번주(藩主)인 이케다를 섬겼으나. 49세때 탈번(脫藩)하여 시와 거문고를 벗으로 삼는 생활을 시작하였다. 문인화를 독학으로 습득하고. 수묵의 용필법과 구도에 개성을 발휘하여. 이케노 타이가에 이어 새로운 양식을 창안한 남화 성행기의 4대 작가중의 한사람 이었다. 그의 아들 슌킨(春琴)도 역시 남화가 였다. 는 그의 최대의 걸작이라고 말해지는 작품이다. 화면 왼쪽 위에 쓰여진 화제(畵題) “동운사설(東雲篩雪)” 의 의..

일본고전명화 2023.12.28

작가 : 요사 부손. 제목 : 신록두견도(新綠杜鵑圖)

작가 : 요사 부손 제목 : 신록두견도(新綠杜鵑圖) 언제 : 에도 시대 재료 : 족자 비단에 설채 규격 : 153.5 x 79.4 cm 소장 : 릿카 미술관 해설 : 요사부손은 문인화가로서뿐만 아니라 시인으로도 널리 이름을 떨친 사람이다. 일본의 남화가(南畵家)들은 중국의 남화가들과는 달리. 그림을 팔아서 생계를 유지했던 직업화가들이었다. 부손도 그런 화가중의 한 사람이었으나. 정신적으로는 중국 문인화가들의 생활태도를 이상으로 삼았다. 부손의 그림중에는 언제나 하이쿠와 통하는 정취가 서려있다. 에서도 그런 것이 느껴진다. 근경에 대나무숲과 큰 나무들을 면밀히 묘사하고. 중경에 해당하는 산을 화면 가운데 그린다음. 그 옆에 먼산을 원경으로 그려 넣었다. 초여름의 산의 싱그러움이 넘치는 정적인 정경이 잘 묘..

일본고전명화 2023.12.22

작가 : 요사 부손. 제목 : 십의도

작가 : 요사 부손 제목 : 십의도 언제 : 에도 시대 재료 : 화첩 종이에 수묵담채 규격 : 각각 17.7 x 17.7 cm 소장 : 카나가와 카와바다 야스나리 기념회 해설 : 의 화제가 된 이어(李漁)의 시에 관해서는 이미 언급된바 있는 십편도(十便圖)의 해설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어 의 시가 이원십편십이의(伊園十便十二宜) 로 되어있어 십의(十宜) 라고 하면 이의(二宜) 가 생략되어 있는 셈이다. 이것은 타이가가 십편도(十便圖) 를 그렸기 때문에 부손도 편의상 십의(十宜) 를 선택하여 그렸으리라고 짐작된다. 편(便) 이라는 한자는 사람이 좋지 않는 것을 고쳐서 좋게 한다는 뜻을 나타내고. 의(宜)의 경우는 좋은 장소에 정착한다는 뜻이 있다. 따라서 이어(李漁)의 십편(十便) 은 인사의 편리함을 열 장..

일본고전명화 2023.12.18

작가 : 이케노 타이가. 제목 : 십편도(十便圖)

작가 : 이케노 타이가 제목 : 십편도(十便圖) 언제 : 에도 시대 재료 : 화첩 종이에 수묵담채 규격 : 각각 17.7 x 17.7 cm 소장 : 카나가와 카와바다 야스나리 기념회 해설 : 는 사람으로서 해야 할 일(人事)을 그린 그림이다. 이 화첩은 요사 부손이 그린 화첩과 한쌍을 이루는 것이다. 십편과 십의(十便 과 十宜) 란 명말청초(明末淸初)의 문인 이어(李漁)의 시 이원십편십이의(伊園十便十二宜)에서 그 화제를 따온 것이다. 이어는 명나라가 멸망한 후 청조(淸朝)를 섬기지 않고. 금릉(金陵)에서 은둔생활을 한 시인이며. 이 시는 그의 별장 이원(伊園)에서의 생활을 노래한 것이다. 십편첩(十便帖) 에는 작품의 제작연대가 적혀 있지 않으나. 십의첩(十宜帖) 중의 한장면인 의 화면중에 명화신묘팔월여사..

일본고전명화 2023.12.12

작가 : 이케노 타이가. 제목 : 소상승개도(瀟湘勝槪圖) 부분

작가 : 이케노 타이가 제목 : 소상승개도(瀟湘勝槪圖) 부분 언제 : 에도 시대 재료 : 병풍 종이에 수묵담채 규격 : 84.6 x 300 cm 소장 : 일본개인 해설 : 는 타이가 가 南畵의 기법에서 탈피하여 독자적인 대담한 필치로 그린 작품중의 하나로 간주 된다. 일명 라고도 불리는 이 그림은 6첩으로 된 병풍 그림으로서. 중국 동정호(洞庭湖) 주변의 여덟군데 경승지(景勝地)를 묘사한 화제(畵題)를 일컬은 것이다. 그 당시의 문인화가들은 이러한 중국적인 화제에 대한 동경으로 이를 즐겨 그렸다. 타이가의 이 그림은 상상 속에 존재하는 이상적 풍경의 일종이지만. 그가 직접 여행하여 체득한 풍경의 아름다움을 묘사하고자 했던 흔적을 엿볼수 있다. 화면속에 속도가 빠르면 선이 굵은 운필법이 자유자재로 구사되어..

일본고전명화 2023.12.06

작가 : 이케노 타이가. 제목 : 산정아회도(山亭雅會圖)

작가 : 이케노 타이가 제목 : 산정아회도(山亭雅會圖) 언제 : 에도 시대 재료 : 후스마 종이에 수묵담채 규격 : 각167.9 x 91.8 cm 소장 : 와카야마 편조광원 해설 : 이케노 타이가는 요사 부손과 함께. 일본 남화의 대성자 중에 제일인자로 불리어지고 있다. 그는 또한 20대에서 30대 사이에는 주로 여행을 하여. 자연속 에서 화가로서의 기량을 충분히 갈고 닦았다. 그의 작품 속에서 볼수있는 실감나는 산수의 표현은. 이러한 여행에서 얻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는 일명 산수인물도(山水人物圖) 라고도 한다. 이 그림은 편조광원(遍照洸院)의 전10면의 후스마에 중의 하나이며, 그의 40세 이후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그가 그린 많은 후스마에 중에서 가장 조심성있게 그려진 것이라고 생각되나. 먹의 농..

일본고전명화 2023.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