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고전명화 97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시문신월도(柴門新月圖)부분

작가 : 작가미상제목 : 시문신월도(柴門新月圖)부분언제 : 무로마찌 시대재료 : 족자 종이에 수묵규격 : 129.4 x 43.3 cm소장 : 오오사카 후지타 미술관 해설 : 이 작품도 역시 와 같은 시화축(詩畵軸)이나 글과 그림이 모두 실리지 못하고 그림 부분만 보인다. 그러나 상부에 있는 교쿠엔봄포오의 서문에는 응영(應永) 12년 즉 1405년 연기(年紀)가 있어 지금 알려진 시화축 중 제일 연대가 이른 것으로 판명된다. 서문에 의하면 이 그림은 두보(杜甫)의 남린고인시(南隣故人詩)의 셋째. 넷째 귀절인 “백사취죽강촌모. 상송시문월색신(白沙翠竹鋼村暮. 相送柴門月色新)” 에서 주제를 따온 것이라 한다. 이는 당시 일본 고잔(五山)의 선승(禪僧)들 사이에 유행했던 은일사상과 그들의 시문(詩文) 애호경향을 ..

일본고전명화 2024.06.08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쇼오이쯔국사상(聖一國師像)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쇼오이쯔국사상(聖一國師像)언제 : 카마쿠라 시대 (1279년) 재료 : 족자 비단에 먹과 채색 규격 : 165.8 x 98.2 cm소장 : 쿄오토 만수사  해설 : 일본에 선종(禪宗)불교가 소개된 것은 카마쿠라시대 초기이며. 그와 때를 같이하여 선사(禪師)의 초상화인 정상(頂相)이 그려지기 시작했다. 선불교에서는 스승과 제자간의 정신적 유대를 특히 중요시하여 스승은 자기를 떠나는 제자에게 반드시 초상화를 주는 풍습이 있었다. 초상화의 형식은 물론 송대의 것을 표본으로 하였으나. 카마쿠라시대 와 무로마찌 시대에 걸쳐 우수한 정상이 많이 제작되었다. 쇼오이쯔 국사는 쿄오토의 동복사(東福寺)를 세운 유명한 인물이며. 이 초상화는 그림의 윗부분에 쓰인 자찬(自讚)에 의하면 그가 입적하..

일본고전명화 2024.06.01

작가 : 에니찌보오 죠오닌. 제목 : 화엄종조사(華嚴宗祖師)부분

작가 : 에니찌보오 죠오닌 제목 : 화엄종조사(華嚴宗祖師)부분언제 : 카마쿠라 시대 (13세기) 재료 : 두루마리 종이에 먹과 채색 규격 : 상) 31.5 x 1,220 cm하) 31.5 x 1556 cm 소장 : 쿄오토 고산사  해설 : 이그림은 고승들의 전기를 그린 에덴(繪傳)에 속하며. 통일신라시대의 고승으로 영주(榮州) 부석사(浮石寺)를 세운 의상법사(義湘法師)의 당나라 유학시절의 이야기를 주제로 한다. 카마쿠라 시대 초기의 고승인 묘오에상인 은 송고승전(宋高僧傳)을 토대로 하여 신라시대에 화엄종(華嚴宗)을 우리나라에 들여온 원효(元曉)와 의상의 이야기인 화엄연기(華嚴緣起)를 쓰고 그의 가장 친애하는 화승(畵僧) 에니찌보오 죠오닌에게 그림을 그리도록 하였다. 여섯 개의 두루마리로 된 전체 중에서 ..

일본고전명화 2024.05.26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산월아미타도(山越阿彌陀圖)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산월아미타도(山越阿彌陀圖)언제 : 카마쿠라 시대 (13세기 전반) 재료 : 족자 비단에 설채 규격 : 138 x 118 cm소장 : 쿄오토 선림사  해설 : 헤이안 후기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아미타 내영도(來迎圖)는 카마쿠라시대에 들어와 여러 형태로 구도의 변화를 보이며 발달하였다. 이 시대의 가장 보편적인 구도는 아미타불이 화면의 왼쪽 윗부분으로부터 대각선으로 내려오는 형태였으나. 이 산월 아미타는 화면의 상부 중심에 산을 넘어오는 듯 정면의 위압적인 자세로 군림하는 아미타불을 묘사하였다. 그 양쪽으로는 관음과 세지(勢至)보살이 흰 구름위에 서 있으며. 그 아래로는 사천왕(四天王)과 두 동자가 배치되어 있다. 화면의 왼쪽 위 구석에는 대일여래(大日如來)의 종자(種子)인 아(阿)..

일본고전명화 2024.05.20

작가 : 엔이(圓伊). 제목 : 엔이(圓伊)

작가 : 엔이(圓伊) 제목 : 엔이(圓伊) 언제 : 카마쿠라 시대 재료 : 두루마리 비단 채색 규격 : 38.2 x 802 cm소장 : 토오쿄오 환희광사  해설 : 카마쿠라 시대의 에마키모노(繪卷物)의 최고봉을 이루는 이 작품은 13세기 후반기에 아미타 신앙을 전파하는 데 큰 공로를 세운 입펜상인의 포교활동을 주제로 한 그림이다. 입펜상인은 천태종(天台宗)과 정토종(淨土宗)을 공부하고 몇 년간 수도한 후 시종(詩宗)을 창시하고 여생을 일본 각지를 돌아다니며 아미타불 신앙을 전파하여 약 250만 명의 교도를 만들었다고 한다. 그의 전기는 그와 함께 포교여행을 다녔던 제자 쇼오카이 에 의해 집필되었고. 역시 그들과 동반하였을 것으로 추측되는 엔이에 의해 1299년에 두 개의 두루마리로 그려졌다. 여기에 보이..

일본고전명화 2024.05.14

작가 : 후지와라노 타카요시(傳). 제목 : 겐지모노가타리 중의 어법(御法)

작가 : 후지와라노 타카요시(傳) 제목 : 겐지모노가타리 중의 어법(御法)언제 : 헤이안 시대 후기(12세기 후반) 재료 : 두루마리 종이에 채색 규격 : 22 x 48.5 cm소장 : 토오쿄오 고토오미술관  해설 : 겐지모노가타리는 헤이안 후기의 대표적인 순수 일본문학 작품으로 11세기 전반 황실의 시녀였던 무라사키 시키부가 자기의 생활주변에서 관찰할수 있었던 귀족생활의 이모저모를 겐지라는 왕자의 일생을 중심으로 엮은 소설이다. 소설 자체는 54첩으로 되어있고. 12세기 전반에 그림과 글이 엇바뀌는 형식으로 된 몇 개의 두루마리로 꾸며졌다. 그림은 당시의 유명한 귀족화가 후지와라노 타카오시가 그린 것으로 전하나 확실치는 않다. 지금은 모두 네 개의 두루마리만 남았는데. 이들 중 그림은 19개 장면이며...

일본고전명화 2024.05.08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헤이케납경(平家納經) 약왕품(藥王品)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헤이케납경(平家納經) 약왕품(藥王品) 언제 : 헤이안 시대 후기(12세기 후반) 재료 : 두루마리 종이에 채색 규격 : 25.8 x 28.8 cm 소장 : 히로시마 이쯔쿠시마신사 해설 : 이 그림은 헤이안 후기의 유명한 귀족 타이라노 키요모리(平淸盛)가 그의 아들들과 기타 집안식구들을 위해 봉납(奉納)한 33권의 불경 중 하나의 시작부분에 해당한다. 키요모리의 원문이 장관(長寬)2년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 제작연대를 대강 그와 같은 때로 볼수 있다. 그림의 기법상으로 보면 이들 33권이 모두 이 그림처럼 야마토에(大和繪) 로 되어있지 않고 몇 가지는 중국회화풍인 당화(唐畵)로 되어 있다. 야마토에 양식으로 된 그림들은 우선 종이 자체를 고운 색으로 물들이고 그 안팎으로 가느다란 ..

일본고전명화 2024.04.24

작가 : 작가미상제목 : 신기산연기(信貴山緣起)부분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신기산연기(信貴山緣起)부분 언제 : 헤이안 시대 후기(12세기 후반) 재료 : 두루마리 종이에 먹과 채색 규격 : 31.5 x 872 cm 소장 : 나라 조호손자사 해설 : 헤이안 후기에는 일본소설. 역사이야기. 또는 불교사원이나 유명한 중들의 이야기를 주제로 한 그림을 두루마리 형식으로 펼쳐가며 그린 에마키모노가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원래 이와 같은 그림 형식은 중국에서 발달한 것으로 돈황(敦煌) 석굴 속의 불교설화 벽화. 또는 고개지(顧愷之)의 낙신부도(洛神赋圖)에서 그 초기의 예를 찾아볼 수 있다. 이 시귀산연기 는 9세기 말에 시기산의 조호손자사(調護孫子寺)를 증수하고 일생동안 그곳에서 수도생활을 한 고승 묘오렌(명련)으 기적을 주제로 한 그림이다. 묘오렌은 동대사 에서..

일본고전명화 2024.04.19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석가금관출현도(釋迦金棺出現圖)부분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석가금관출현도(釋迦金棺出現圖)부분 언제 : 헤이안 시대 후기(11세기 후반) 재료 : 족자 종이에 설채 규격 : 160 x 229.5 cm 소장 : 마쯔나가 기념관 해설 : 커다란 화면의 중심에 찬란한 금빛 광배를 배경으로 합장한 석가모니가 중생들에게 둘러싸여 있는 모습이다. 이와 같은 그림은 마하마야경(摩何摩耶經)에 나오는 석가재생설법 장면을 묘사한 것이다. 경의 내용에 의하면. 석가모니의 열반을 그의 제자 아나율존자(阿那律尊者)가 도리천(忉利天)에 있는 석가의 어머니 마야부인에게 가서 고하자. 부인은 급히 내려와 석가의 관위에 만다라화(曼茶羅華)를 뿌리고 그의 승가리의(僧伽梨衣)를 돌아보고 바리와 석장(錫杖)을 들고 흐느껴 울었다. 이때에 석가는 신통력을 발휘하여 관에서 나..

일본고전명화 2024.04.12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조모입녀병풍(鳥毛立女屛風)

작가 : 작가미상 제목 : 조모입녀병풍(鳥毛立女屛風) 언제 : 나라시대(8세기 중엽) 재료 : 종이에 먹과채색 그리고 새털장식 규격 : 136 x 56 cm 소장 : 나라 동대사 정창원 해설 : 정창원(正倉院) 보물 중에 나무 밑에 서거나 앉아 있거나 한 여인을 하나씩 그린 육첩(六疊) 병풍이 있다. 이 그림은 그 중의 첫째 폭이며. 나무 밑에 보주(寶珠)를 들고 서 있는 풍만한 여인을 묘사한 것이다. 이와 같은 주제를 다룬 미술은 인도 토속신앙의 풍요의 여신인 약시와도 관련 있고. 기타 중앙아시아의 미술에서도 나타나고 수하미인도(樹下美人圖)라고 불리며. 건릉의 당대 분묘벽화에서도 볼수 있다. 는 이 병풍의 여인들 옷과 머리카락 부분에 원래는 새 깃털이 붙어 있었음으로 해서 붙인 명칭이다. 여인의 옷. ..

일본고전명화 2024.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