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蘭雪軒 許楚姬(난설헌 허초희)(여) 110

許蘭雪軒(허난설헌). 春雨1-3(춘우1-3) 봄비

許蘭雪軒(허난설헌). 春雨1-3(춘우1-3) 봄비 [제1수] 妾有黃金釵(첩유황금차) 제게 금비녀 하나 있어요 嫁時爲首飾(사시위수식) 시집올 때 머리에 꽂고 온거죠 今日贈君行(금일증군행) 오늘길 떠나시는 님께 드리니 千里長相憶(천리장상억) 천리길 멀리서도 날 생각 하세요 [제2수] 池頭楊柳疎(지두양류소) 못가의 버들잎은 몇 남지 않고 井上梧桐落(정상오동락) 오동 잎 우물위에 떨어지네요 簾外候蟲聲(염외후충성) 발 밖에 가을벌레 우는 철 되었건만 天寒錦衾薄(천한금금박) 날씨는 쌀쌀한데 이불까지 얇네요 [제3수] 春雨暗西池(춘우암서지) 봄비가 자욱히 연못에 내려 輕寒襲羅幕(경한습라막) 쌀쌀한 기운이 비단 창에 스며드네 愁倚小屛風(수의소병풍) 시름겨워 병풍에 기대어 바라보니 墻頭杏花落(장두행화락) 살구꽃 비에 젖..

許蘭雪軒(허난설헌). 少年行1-3 (소년행1-3)

許蘭雪軒(허난설헌). 少年行1-3 (소년행1-3) 젊은이의 노래 [제1수] 少年重然諾(소년중연락) 젊은이는 신의를 소중이 여겨 結交遊俠人(결교유협인) 의협스런 사내들과 사귀어 노네 腰間玉轆轤(요간옥녹로) 구슬 노리개를 허리에 차고 錦袍雙麒麟(금포상기린) 비단 도포에는 쌍기린을 수놓았네 [제2수] 朝辭明光宮(조사명광궁) 조회를 마치자 명광궁에서 나와 馳馬長樂坂(치마장락판) 장락궁 언덕길로 말을 달리네 沽得渭城酒(고득위성주) 위성의 좋은 술 사 가지고 花間日場晩(화간일장만) 꽃 속에서 노릴 다 해가 저무네 [제3수] 金鞭宿倡家(금편숙창가) 황금 채찍으로 기생집에서 자며 行樂爭留連(행락쟁류연) 놀기에 정신 팔려 나날 지세네 誰憐楊子雲(수련양자운) 그 누가 양웅을 가련타 하랴 閉門草太玄(폐문초태현) 문 닫고 들..

許蘭雪軒(허난설헌). 江南曲 5 수(강남곡 5 수) 강남에서

許蘭雪軒(허난설헌). 江南曲 5 수(강남곡 5 수) 강남에서 [제1수] 江南風日好(강남풍일호) 강남의 날씨는 언제나 좋은데다 綺羅金翠翹(기라금취교) 비단옷에 머리꽃이 곱기도 해요 相將採菱去(상장채능거) 서로들 어울리며 바름밥을 따러 齊盪木蘭橈(제탕목란요) 나란히 목란배의 노를 저었죠 [제2수] 人言江南樂(인언강남낙) : 사람들 강남을 즐거운 곳이라 하지만 我見江南愁(아견강남수) : 나는 강남이 슬프기만 하더라 年年沙浦口(년년사포구) : 해마다 모래벌 포구에서 腸斷望歸舟(장단망귀주) : 단장의 이별하고 고향 가는 배를 보았답니다. [제3수] 湖裏月初明(호리월초명) 호수에 달빛이 처음 비치면 采蓮中夜歸(채연중야귀) 연밥 따서 한밤중에 돌아왔지요 輕橈莫近岸(경요막근안) 노 저어서 언덕 가까이 가지 마세요 恐驚..

許蘭雪軒(허난설헌). 少年行1-3 (소년행1-3)

許蘭雪軒(허난설헌). 少年行1-3 (소년행1-3) 젊은이의 노래 [제1수] 少年重然諾(소년중연락) 젊은이는 신의를 소중이 여겨 結交遊俠人(결교유협인) 의협스런 사내들과 사귀어 노네 腰間玉轆轤(요간옥녹로) 구슬 노리개를 허리에 차고 錦袍雙麒麟(금포상기린) 비단 도포에는 쌍기린을 수놓았네 [제2수] 朝辭明光宮(조사명광궁) 조회를 마치자 명광궁에서 나와 馳馬長樂坂(치마장락판) 장락궁 언덕길로 말을 달리네 沽得渭城酒(고득위성주) 위성의 좋은 술 사 가지고 花間日場晩(화간일장만) 꽃 속에서 노릴 다 해가 저무네 [제3수] 金鞭宿倡家(금편숙창가) 황금 채찍으로 기생집에서 자며 行樂爭留連(행락쟁류연) 놀기에 정신 팔려 나날 지세네 誰憐楊子雲(수련양자운) 그 누가 양웅을 가련타 하랴 閉門草太玄(폐문초태현) 문 닫고 들..

許蘭雪軒(허난설헌). 貧女吟1-4 (빈녀음1-4)

許蘭雪軒(허난설헌). 貧女吟1-4 (빈녀음1-4) 가난한 처녀의 노래 [제1수] 豈是乏容色(기시핍용색) 얼굴 맵시야 어찌 남에게 떨어지랴 工鍼復工織(공침복공직) 배느질에 길삼 솜씨도 모두 좋건만 少小長寒門(소소장한문) 가난한 집안에서 자라난 탓에 良媒不相識(량매불상식) 중매 할미 모두 나를 몰라 준다오 [제2수] 不帶寒餓色(불대한아색) 춥고 굶주림도 얼굴에 내색않고 盡日當窓織(진일당창직) 하루 내내 창가에서 베만 짠다네 唯有父母憐(유유부모련) 부모님은 가엾다고 생각 하시지만 四隣何會識(사린하회식) 이웃의 남들이야 나를 어찌 알랴 [제3수] 夜久織未休(야구직미휴) 밤 깊어도 베틀에서 쉬지도 않고 戞戞鳴寒機(알알명한기) 베틀 소리만 삐걱삐걱 처량하게 울리네 機中一匹練(기중일필연) 짜여 가는 이 한필의 고운 ..

許蘭雪軒(허난설헌). 賈客詞(가객사)바다상인의노래

許蘭雪軒(허난설헌). 少年行 1-3 (소년행 1-3) 젊은이의 노래 [제1수] 少年重然諾(소년중연락) 젊은이는 신의를 소중이 여겨 結交遊俠人(결교유협인) 의협스런 사내들과 사귀어 노네 腰間玉轆轤(요간옥녹로) 구슬 노리개를 허리에 차고 錦袍雙麒麟(금포상기린) 비단 도포에는 쌍기린을 수놓았네 [제2수] 朝辭明光宮(조사명광궁) 조회를 마치자 명광궁에서 나와 馳馬長樂坂(치마장락판) 장락궁 언덕길로 말을 달리네 沽得渭城酒(고득위성주) 위성의 좋은 술 사 가지고 花間日場晩(화간일장만) 꽃 속에서 노릴 다 해가 저무네 [제3수] 金鞭宿倡家(금편숙창가) 황금 채찍으로 기생집에서 자며 行樂爭留連(행락쟁류연) 놀기에 정신 팔려 나날 지세네 誰憐楊子雲(수련양자운) 그 누가 양웅을 가련타 하랴 閉門草太玄(폐문초태현) 문 닫고..

許蘭雪軒(허난설헌). 采蓮曲(채연곡): 연꽃을 따며 부르는 노래

許蘭雪軒(허난설헌). 采蓮曲(채연곡): 연꽃을 따며 부르는 노래 秋淨長湖碧玉流(추정장호벽옥류) : 가을은 맑고 긴 호수엔 벽옥 같은 물 흐르고 荷花深處繫蘭舟(하화심처계난주) : 연꽃 우거진 곳에 아름다운 목련배 매여 있어요 逢郞隔水投蓮子(봉랑격수투연자) : 임을 만나 물 사이로 연밥을 던지다가 遙被人知半日羞(요피인지반일수) : 멀리 사람들이 알아보아서 반나절이 부끄러웠소

許蘭雪軒(허난설헌). 夢遊廣桑山 5 (몽유광상산 5)

許蘭雪軒(허난설헌). 夢遊廣桑山 5 (몽유광상산 5) 광상산 꿈 놀이 碧海浸瓊海(벽해침경해) 푸른바다 물결은 구슬 바다 물결에 젖어가고 靑鸞倚彩鸞(청란의채란) 푸른 난새는 오색 난새와 어울 렸구나 芙蓉三九朶(부용삼구타) 부용꽃 스물일곱에 시들어 가고 紅墮月霜寒(홍타월상한) 붉게 떨어진 꽃 달밤에 찬서리 맞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