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전명화 180

작가 : 구영(仇英). 제목 : 동음청화도(桐陰淸話圖)

작가 : 구영(仇英)아호 : 십주(十洲)제목 : 동음청화도(桐陰淸話圖)언제 : 明재료 : 족자 종이에 먹과 채색규격 : 279.5 x 100 cm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이 작품은 원래 춘하추동의 사경을 나타낸 네 폭의 그림중 한 폭이었으나. 지금은 초음결하(蕉陰結夏)와 이것 두 폭만이 전한다. 화면 오른쪽의 높은 바위 옆 오동나무 아래에 두 선비가 마주서서 청담(淸談)을 나누고 있고. 한 동자가 옆에 서 있다, 화면 아랫부분 중간에서부터 菅걍聆㎏?굽이쳐 흐르는 시냇물이 계절을 나타내며. 흐르는 물과 바위는 시간이 흐를수록 돈독해지는 우정을 상징하는 듯하다. 대형 화폭에 매우 단순한 구도로 짜임새 있는 화면을 이루어 작품의 주제를 부각시키고 있다. 오동나무는 먼저 필선으로 윤곽을 나타내고 엷은 ..

중국고전명화 2024.05.20

작가 : 구영(仇英). 제목 : 추강대도도(秋江待渡圖)

작가 : 구영(仇英)아호 : 십주(十洲)제목 : 추강대도도(秋江待渡圖)언제 : 明재료 : 족자 비단에 먹과 채색규격 : 155.4 x 133.4 cm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명 4대 화가중의 하나인 구영은 가소 태창 사람으로. 자는 실부(實父), 호는 십주(十洲)이다. 이 작품은 가을 강변의 풍경을 담아(淡雅)하게 그려낸 것으로. 가로 세로의 비례가 1 : 1인 특이한 화폭에 산봉우리. 토파. 집과 나무 그리고 인물등의 구성요소가 가운데의 공간을 중심으로 골고루 나뉘어 배치된 보기드문 구도이다. 가을임을 말해주는 홍, 황. 녹색의 나무는 앞에서부터 뒤로 멀어질수록 색이 옅어지며 크기가 작아지고. 강가의 배와 집들도 점차 작아지며 간략하게 묘사되어 원근감을 잘 나타낸다. 원산은 부드러운 필선과 선..

중국고전명화 2024.05.14

작가 : 두근(杜菫). 제목 : 완고도(玩古圖)

작가 : 두근(杜菫)아호 : 성거(聖居)제목 : 완고도(玩古圖)언제 : 明재료 : 족자 비단에 먹과 채색규격 : 126.1 x 187 cm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두근의 자는 구남(懼男). 호는 성거(聖居)로서. 강소성 단도 출신이다. 성화 연간에 진사에 응시 하였으나 실패하고 그후로 그림을 그렸다. 계화(界畫)와 백묘인물화(白描人物畵)에 능했다. 두 선비가 여러가지 골동품을 감상하고, 그 옆에서는 하녀들이 다른 고물들을 정리하고 있는 모습을 그린 이 작품은 그 크기로 보아 그림속에 보이는 병풍과 같은 형태의 용도를 위해 제작되었을 것이다. 전형적인 소재를 매우 정련된 전통적 양식으로 그려내어 보는 이를 즐겁게 한다. 문인화가로는 드물게 이와 같은 소재를 취급했으며. 난간. 가구. 기물의 묘사에..

중국고전명화 2024.05.08

작가 : 동기창(董其昌). 아호 : 사백(思佰). 제목 : 추림서옥도(秋林書屋圖)

작가 : 동기창(董其昌)아호 : 사백(思佰)제목 : 추림서옥도(秋林書屋圖)언제 : 明재료 : 족자 비단에 수묵규격 : 54.4 x 58.1 cm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이 그림은 화면의 오른쪽 윗부분에 쓰인 “방운서노인 추림서옥(倣雲西老人 秋林書屋)이라는 동기창 자신의 글에 의해 제목이 정해졌다. 운서노인 이란 원대 이곽파 산수화가인 조지백(曹知白)을 이르는 말이다. 그러나 동기창의 모든 방작(倣作) 즉 옛 대가의 그림을 모방해서 그린 작품들이 그렇듯이. 이 그림도 조지백의 그림과 맞대놓고 보면 많은 차이점들이 눈에 띈다. 다만 이 그림의 나무 묘사가 조지백의 화법을 어느정도 따랐다고는 볼수 있다. 이와 같이 방(倣)이란 표면적인 유사성이 아니고 어디까지나 옛 대가와의 정신적인 만남 즉 신회(神..

중국고전명화 2024.04.30

작가 : 동기창(董其昌). 제목 : 추경산수도(秋景山水圖)

작가 : 동기창(董其昌) 아호 : 사백(思佰) 제목 : 추경산수도(秋景山水圖) 언제 : 明 재료 : 족자 비단에 수묵담채 규격 : 143.1 x 59.4 cm 소장 : 샌프란시스코 동양미술관 해설 : 이 그림은 동기창의 원숙기의 작품으로 간주되며. 구도상 예찬의 전형적인 삼분구도를 따르고 있다. 즉 전경 토파위의 몇 그루의 나무. 중경의 강. 그리고 그너머 보이는 산과 작은 언덕들이 전부인 간단한 구도이다. 그러나 예찬의 그림보다 산과 토파의 구조가 좀더 복잡하고 입체감각이 두드러진 점에서 동기창 그림의 특징을 엿볼수 있다. 또한 동기창 산수화의 대부분이 그렇듯. 원경에 군데군데 보이는 위가 편편한 석파의 모습은 명말에 황공망 그림의 양식적 요소로 이해 되었던 특징이다. 크고 작은 원추형의 바위와 흙덩어..

중국고전명화 2024.04.24

작가 : 동기창(董其昌). 제목 : 봉경방고도(崶涇訪古圖)

작가 : 동기창(董其昌) 아호 : 사백(思佰) 제목 : 봉경방고도(崶涇訪古圖) 언제 : 明 재료 : 족자 종이에 수묵 규격 : 80 x 29.8 cm 소장 : 대북 고궁박물원 해설 : 봉경방고도는 화면의 왼쪽 윗부분에 씌어진 동기창 자신의 관지에 의하면. 임인년 이른봄의 어느날 취리(欈李)로부터 고(顧) 시어(侍御)와 더불어 돌아오던중 갑자기 비를 만나 봉경(崶涇)에서 옛 그림을 보며 시간을 보낸 기록으로 그린 것이다. 동기창의 글 오른쪽으로는 고희천자(古希天子)라는 둥근 도장아래 당시의 문인 진계유(陳繼儒)의 제(題)가 있는데. 이 글에서 그는 이 작품이 오대의 동원(董源)과 당의 왕유(王維)의 양식을 겸했다고 감탄해 마지 않고 있다. 왕유는 동기창이 후에 남종화의 시조로 받든 사람이며. 동원 역시 왕..

중국고전명화 2024.04.18

작가 : 동기창(董其昌). 제목 : 강산추제도(江山秋霽圖)

작가 : 동기창(董其昌) 아호 : 사백(思佰) 제목 : 강산추제도(江山秋霽圖) 언제 : 明 재료 : 두루마리 종이에 수묵 규격 : 37.9 x 137 cm 소장 : 클리브랜드 미술관 해설 : 동기창은 송강 사람이며. 자는 현재(玄宰). 호는 사백(思佰)이다. 중국회화사상 여러 모로 가장 영향력이 컸던 사대부 화가인 동기창은 82세의 긴 생애를 살면서 예부상서(禮部尙書) 등 고위 관직을 역임했으며. 서예사상 최고 명필 중의 하나로 이름을 남겼는데. 특히 그가 창안한 남북종화(南北宗畫)의 가름은 미술사적인 면에서 획기적인 사실이다. 강산추제도 는 기년작 은 아니지만 양식상으로 보아 동기창 활약기의 중간쯤에 속하는 작품으로 간주된다. 두루마리의 왼쪽끝에 쓰인 자제(自題)에 의하면 “이그림이 황자구 즉 원(元)..

중국고전명화 2024.04.12

작가 : 이유방(李流芳). 제목 : 산수도(山水圖)

작가 : 이유방(李流芳) 아호 : 단원(檀園) 제목 : 산수도(山水圖) 언제 : 明 재료 : 화첩 종이에 수묵담채 규격 : 각30.3 x 50.8 cm 소장 : 보스턴 미술관 해설 : 이유방은 강소성 가정 출신으로. 자는 무재(戊宰). 호는 단원(檀園)이다. 32세 때에 향시(鄕試)에 급제하였으나. 회시(會試)에 실패한후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시. 서. 화를 벗하여 문인화가로 일생을 보냈다. 이 산수도는 당송시(唐宋詩)의 의경(意境)을 묘사해낸 여섯폭으로 된 화첩 중의 일부이다. 매폭마다 약간씩 다른 기법을 사용하였으나 공통적으로 원 사대가 를 비롯한 문인화풍을 바탕으로 한 독자적인 화풍을 보여준다. 화면의 구성요소인 산과 물. 그리고 나무들은 극도로 단순화된 간략한 필선과 풍부한 선염으로 묘사되었다...

중국고전명화 2024.04.06

작가 : 미만종(米萬鍾). 아호 : 우석(友石). 제목 : 산수도(山水圖)

작가 : 미만종(米萬鍾) 아호 : 우석(友石) 제목 : 산수도(山水圖) 언제 : 明 재료 : 족자 종이에 수묵담채 규격 : 344.5 x 102 cm 소장 : 스탠포드 대학미술관 해설 : 미만종은 섬서 출신으로. 자는 중조(仲詔). 호는 우석(友石)이다. 만력 23년에 진사가 되어 관직이 태복소경(太僕少卿)에 이르렀다. 문인화가로보다 명말을 대표하는 서예가로 더 유명하여. 동기창과 더불어 만동북미(南董北米)라고 불리었다. 이 산수도는 천계(天啓) 5년의 작으로. 미만종의 가장 말년의 작품이다. 위압감을 느낄 정도로 매우 커다란 화면 아래의 전경에서 중간의 중경. 위쪽의 주산 까지가 마치 차곡차곡 쌓아 올린 듯한 화면구성을 이루고 있다. 올라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나무의 크기가 원근감을 표시하지만. 전체적으..

중국고전명화 2024.04.01

작가 : 장서도(張瑞圖). 제목 : 산수도(山水圖)

작가 : 장서도(張瑞圖) 아호 : 이수(二水) .백호암도자(白毫菴道子) 제목 : 산수도(山水圖) 언제 : 明 재료 : 족자 비단에 수묵담채 규격 : 168.8 x 51.5 cm 소장 : 프린스턴 대학미술관 해설 : 장서도는 북건성 진강 출신으로. 자는 장공(長公). 호는 이수(二水) 또는 백호암도자(白毫菴道子)라고 하였다. 잠시 관직생활을 하다가 고향에 돌아가 시문과 서화로 여생을 보냈다. 화가로 뿐만 아니라 서예가로도 명성이 높아 동기창, 미만종. 형동 과 더불어 명말을 대표하는 서예가로 알려졌다. 매우 고운 비단 위에 그려진 이 산수화는 필선이 거의 보이지 않고 먹과 선염 으로만 묘사된 듯하다. 아래쪽에서 위로 올라가며 근경. 중경. 원경이 거의 같은 무게를 지니고 배치되었고. 그들 사이는 안개와 강..

중국고전명화 2024.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