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仁復(이인복). 映胡樓(영호루)
玆州判是宿緣多(자주판시숙연다)
이 고을은 옛부터 인연이 많은곳,
三到偏疑物色加(삼도편의물색가)
세번째 찾아오니 풍경이 더좋도다,
額上龍咬茶愍筆(액상룡교다민필)
누대엔 공민왕 친필이 걸려있고,
懷西雲木給孤家(회서운목급고가)
강 서쪽 구름낀 나무넘어엔 마을이 보이네,
南城銅柱留荒月(남성동주류황월)
남쪽성 구리기둥위 쓸쓸히 달빛 비치고,
北里笙歌繞雜花(북리생가요잡화)
북쪽마을 피리소리는 꽃을애워 쌓도다,
檻外長湖何恨意(함외장호하한의)
난간밖 긴호수 무슨사연 담고있나,
尋源直欲泛輕槎(심원직차범경사)
물줄기 따라 곧 가벼운 배에 오르네.
'영호루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柳汝懷(류여회). 映胡樓(영호루) (0) | 2023.04.05 |
---|---|
陽村 權近(양촌 권근). 次安東映胡樓詩韻(차안동영호루시운) 안동영호루시의 운을 차하다 (0) | 2023.03.29 |
權思復(권사복). 映胡樓(영호루)고려 공민왕 때 문신 (0) | 2023.03.16 |
圃隱 鄭夢周(포은 정몽주). 安東映胡樓(안동영호루) (0) | 2023.03.09 |
易東 禹倬(역동 우탁). 映胡樓(영호루) (0) | 2023.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