茶山 丁若鏞(다산 정약용). 春日澹齋雜詩 7수(춘일담재잡시 7수)
봄날 담재澹齋에서 이것저것 읊은 시
[ 제 1 수 ]
楊檖花開曲院深 (양수화개곡완심)
버드나무와 돌배나무 꽃이 굽이진 뜰 깊숙한 곳에 피었고
晴牕烏几注魚禽 (청창오궤주어금)
맑게 갠 창窓가에서 검은 빛깔의 안석案席에 기대어 물고기와 새를 바라보네.
怪來一桁微雲色(견래일항미운색)
괴이怪異하게도 한 줄기 엷은 구름 빛이
留作春城半日陰(류작춘성반일음)
봄날의 성城안에 한나절이나 그늘을 드리웠구나.
[ 제 2 수 ]
雨歇高園曳杖行(우헐고원예장행)
비 그치니 높은 동산에 지팡이 끌고 거니는데
隔溪時聽賣花聲(격계시청매화성)
시내 건너에서 이따금 꽃 파는 소리 들리네.
有錢須買松醪飮(유전수매송료음)
돈 있으니 모름지기 송엽주松葉酒나 사서 마셔야겠구나.
花也春風自滿城(화야춘풍자만성)
봄바람에 꽃이 온 성城안에 가득하니……
[ 제 3 수 ]
澹煙輕靄羃林間(첨연경애멱림간)
엷은 안개와 옅은 아지랑이가 숲 속을 덮으니
全是徐熙畫裏山(전시서희화리산)
이름난 화가畵家 서희徐熙의 그림 속 산山과 똑같네.
看了東坡詩一卷(간료동성시일권)
동파東坡 소식蘇軾의 시집詩集 한 권을 다 읽고 나니
夕陽初下詔門關(석양초하조문관)
석양夕陽이 비로소 서산西山으로 기우는구나.
[ 제 4 수 ]
芹菜靑調作乳黃(근채청조작란황)
미나리와 푸성귀로 안줏거리를 마련했는데
新篘少麴湛盈觴(신추소국담영상)
새로 거른 소국주小麴酒가 술잔盞에 넘치네.
松餌尖尖魚作餡(송이첨첨어작함)
물고기로 뾰족한 송松편의 떡소 만드느라
山妻每到午時忙(산처매도오시망)
아내는 늘 한낮이 되도록 바쁘구나.
[ 제 5 수 ]
豹翁山閣接溪園(표옹산각접계원)
표암 강세황 노인의 산속 누각이 시냇가 동산에 이어졌는데
求畵人來若市門(구화인래약시문)
그림 구하러 온 사람들로 저자의 문門 같네.
蘭竹一揮酬熱客(란죽일휘수열객)
난초蘭草와 대나무를 단숨에 그려 친한 손님의 기대期待에 부응副應하고
靜時方許寫桃源(정시방허사도원)
고요할 때 바야흐로 <무릉도원도武陵桃源圖>를 그리시는구나.
[ 제 6 수 ]
衣복全春不下庭(의복전춘불하정)
봄 내내 옷차림하고 뜰로 내려가지 않았는데
看花偶上七松亭(간화우상칠송정)
꽃구경하느라 우연히 칠송정七松亭에 올랐네.
松間値雨歸來早(송간치우귀래조)
솔숲에서 비를 만나 일찍 돌아와서
重榻焦山𢊃鶴銘(중탑초산예학명)
초산焦山의 무위자연의 명문銘文「예학명」을 다시 베끼는구나.
[ 제 7 수 ]
扶牀穉子若鸞停(부상치자약란정)
평상平床을 더위잡고 오르며 외모外貌도 비범非凡한 어린아이
問姓能知又問齡(문성태지우문령)
성姓을 물으니 능히 알아 또 나이를 묻네.
投與藍紅雙陸子(추여람홍쌍육자)
짙푸르고 붉은 쌍륙雙陸을 아이에게 던져 주고 나서
看他排列作軍形(간타배렬작군형)
배열排列하며 군대軍隊의 진형陣形 짜는 것을 바라보는구나.
'서체별 병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손(偰遜). 莊村醉歸口號1~6 (장촌취귀구호1-6 ) 장촌에서 취하여 구호로 돌아오다 (0) | 2024.07.27 |
---|---|
栗谷 李珥 (율곡 이이). 斗尾十詠 [두미십영] (2) | 2024.07.10 |
益齋 李齊賢(익재 이제현). 中菴居士贈詩 8수(중암거사증시 8수) 중암거사에게 주는 시 (0) | 2024.07.10 |
陶隱 李崇仁(도은 이숭인). 秋夜感懷 10수(추야감회 10수) 가을밤의 감회 (1) | 2024.07.06 |
月沙 李廷龜(월사 이정구). 晩笑亭八詠 (만소정팔영 ) 만소정 주변의 아름다운 경치 8가지을 읊다 (0) | 2024.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