無衣子 慧諶(무의자 혜심). 인월대(隣月臺) 인월대
巖叢屹屹知幾尋 (암총흘흘지기심)
바위너설 우뚝 솟아 몇 길이나 되려는지
上有高臺接天際 (상유고대접천제)
그 위에 높다란 대臺가 있어 하늘 끝에 잇닿았네.
斗酌星河煮夜茶 (두작성하자야다)
북두칠성北斗七星으로 은하수銀河水 길어다가 차茶 끓이는 밤
茶煙冷鎖月中桂 (다연랭쇄월중계)
차 달이는 연기煙氣가 달 속의 계수나무를 차갑게 가리는구나.
'06) 無衣子 慧諶(무의자 혜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無衣子 慧諶(무의자 혜심). 답전녹사(答田祿事) 전 녹사田錄事에게 답答하다 (0) | 2025.03.27 |
---|---|
無衣子 慧諶(무의자 혜심). 유백중사(留白中使) 백 중사를 머무르게 하며 (0) | 2025.03.19 |
無衣子 慧諶(무의자 혜심). 春晩遊燕谷寺贈堂頭老(춘만유연곡사증당두로). 봄날 저녁 연곡사에서 노닐다가 늙은 주지에게 지어 주다 (0) | 2025.02.28 |
無衣子 慧諶(무의자 혜심). 우증별(又贈別) 헤어지며 또 지어 주다 (0) | 2025.02.19 |
無衣子 慧諶(무의자 혜심). 능운대(凌雲臺) 능운대 (0)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