眉叟 許穆(미수 허목). 早春北行嶺下述懷(조춘북행령하술회)
이른봄에 북으로 가다가 영(嶺) 아래서 회포를 서술하다
嶺峽岧嶤山氣深(령협초요산기심)
골짜기 높고 높아 산 기운 짙으니
日高雲霞猶未斂(일고운하유미렴)
해가 높았어도 구름 안개 걷히지 않네.
雲深石古棧道危(운심석고잔도위)
깊은 구름 바윗돌 사다리 길 가파르니
絶壑嶄如俯坑塹(절학참여부갱참)
깎아지른 골짜기가 구덩이 같네.
姑母層城不知年(고모층성불지년)
층층의 고모성 몇 해나 지났는가
石洞深松見茅店(석동심송견모점)
바위굴 솔밭 속에 띠풀집 보이네.
辛夷花開柳眼黃(신이화개류안황)
개나리꽃 피고 버들눈 노랗게 트니
川波生目綠可染(천파생목록가염)
냇물은 맑아서 파랗게 물들겠네.
'54) 미수 허목(1595)' 카테고리의 다른 글
眉叟 許穆(미수 허목). 大江上醉題蔣氏亭子(대강상취제장씨정자) (0) | 2023.01.11 |
---|---|
眉叟 許穆(미수 허목). 神蒲峯(신포봉) 신포봉 (2) | 2023.01.05 |
眉叟 許穆(미수 허목). 雲溪寺贈法潤(운계사증법윤) (2) | 2022.12.11 |
眉叟 許穆(미수 허목). 獐合舊縣八景(장합구현팔경) (6) | 2022.12.03 |
眉叟 許穆(미수 허목). 雲溪寺贈法潤(운계사증법윤) (0) | 2022.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