醉翁 歐陽脩 (취옹 구양수). 古瓦硯(고와연) 은 벼루
磚瓦賤微物(정와천미물)
벽돌과 기와가 하찮은 물건이긴 하지만
得厠筆墨間(득측필묵간)
뭇 먹과 함께 문구로도 쓰였네
于物用有宜(우물용유의)
물건마다 각각 그 쓰임이 있으니
不計醜與姸(불계추여연)
밉고 곱고를 따지지 않는다네
金非不爲寶(금비불위보)
금이 보물이 아닌 것은 아니고
玉豈不爲堅(옥기불위견)
옥이 어찌 단단하지 않을까만
用之以發墨(용지이발묵)
먹을 가는 데 있어서는
不及瓦礫頑(불급와력완)
깨진 기와 조각만 못하네
乃知物雖賤(내지물수천)
그래서 비록 시원찮은 물건이라 하더라도
當用價難攀(당용가난반)
당장필요한 일에 쓸 때는 값을 매기기 어렵다는 것을
알겠네
豈惟瓦皪爾(기유와력이)
어찌 오직 깨진 기와 조각의 경우 뿐일까
用人從古難(용인종고난)
사람을 쓰는 일도 예로부터 어려웠다네
'취옹 구양수(1007)' 카테고리의 다른 글
醉翁 歐陽脩 (취옹 구양수). 白髮喪女師作(백발상녀사작) 머리가 허옇게 세어서 딸 사를 잃고 짓다 (0) | 2023.08.03 |
---|---|
醉翁 歐陽脩 (취옹 구양수). 感 事 (감 사)세상일에 느끼는 바가 있어 (0) | 2023.07.18 |
醉翁 歐陽脩 (취옹 구양수). 送梅龍圖公儀知杭州(송매룡도공의지항주)용도각 직학사 고익 매지가 항주에서 지주로 나가는 것을 배웅하며 (0) | 2023.07.09 |
醉翁 歐陽脩 (취옹 구양수). 送張生(송장생) 장 선비를 배웅하며 (0) | 2023.07.02 |
醉翁 歐陽脩 (취옹 구양수). 寄答王仲儀太尉素(기답왕중의태위소) 중의왕소태위에게 부쳐 답하다 (0) | 2023.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