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史 金正喜(추사 김정희). 水聲洞雨中觀瀑 (수성동우중관폭)
入谷不數武 (입곡불수무)
골짝을 들어서자 몇 걸음 안가
吼雷殷屐下 (후뢰은극하)
발밑에서 우레 소리 우르르릉
濕翠似裏身 (습취사리신)
젖다 못한 산안개 몸을 감싸니
晝行復疑夜 (주행부의야)
낮에 가도 밤인가 의심되누나
淨苔當舖席 (정태당포석)
자리 깔아 무엇하리 조촐한 이끼 있고
圓松敵覆瓦 (원송적복와)
둥그런 솔은 개와(蓋瓦)와 마찬가지
簷溜昔啁啾 (첨류석조추)
예전에는 조잘대던 처마 물소리
如今聽大雅 (여금청대아)
이제 와선 대아(大雅)의 곡조 듣는 듯
山心正肅然 (산심정숙연)
산마음(山心)이 정히도 숙연해지니
鳥雀無喧者 (조작무훤자)
온갖 새들의 지저귀는 소리도 없네
願將此聲歸 (원장차성귀)
원컨대 이 소리를 가지고 가서
砭彼俗而野 (폄피속이야)
저 야속한 무리들을 깨우쳤으면
夕雲忽潑墨 (석운홀발묵)
저녁 구름 갑자기 먹이 퍼지 듯하니
敎君詩意寫 (교군시의사)
그대더러 시의 뜻을 그리란 걸세
인왕산 물줄기는 수성동과 옥류동 골짜기로 나누어
흘러내려 기린교서 합수하고 있음.
'68) 추사 김정희(1786)' 카테고리의 다른 글
秋史 金正喜(추사 김정희). 万樹一莊(만수일장) (0) | 2025.02.06 |
---|---|
秋史 金正喜(추사 김정희). 唯愛圖書(유애도서) (0) | 2025.01.29 |
秋史 金正喜(추사 김정희). 大烹豆腐(대팽두부) (0) | 2025.01.21 |
秋史 金正喜(추사 김정희). 春日(춘일) 봄날 (0) | 2025.01.06 |
秋史 金正喜(추사 김정희). 重興寺次黃山2(중흥사차황산2) 중흥사에서 황산의 시를 차운하다 (0) | 202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