鄭道傳(정도전). 詠 梅 5(영 매 5) 梅花시를 읊다
遠使何時發(원사하시발)
먼 곳 사자 어느때 출발 했는가
初從萬里廻(초종만리회)
만리 밖에서 처음 돌아왔구료
春風也情思(춘풍야정사)
봄 바람은 아무튼 정다와라
吹入手中來(위입수중래)
불어불어 손아귀에 들어오네
'매화관련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松江 鄭澈(송강 정철). 寒梅 1(한매 1) (0) | 2025.03.09 |
---|---|
작가미상. 梅(홍매) 홍매 (0) | 2025.02.27 |
孤山 尹善道(고산 윤선도). 墨梅(묵매) 묵매 (0) | 2025.02.08 |
白史 李允榮(백사 이윤영). 梅(매) 매화 (0) | 2025.01.23 |
鵝溪 李山海 (아계 이산해). 梅(매) 매화 (0) | 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