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고전명화 97

작가 : 안도오 히로시게. 제목 : 토오카이도오 오십삼차(東海道 五十三次) 중 캄바라(蒲原)

작가 : 안도오 히로시게 제목 : 토오카이도오 오십삼차(東海道 五十三次) 중 캄바라(蒲原) 언제 : 에도시대 재료 : 판화 종이에 니시키에 규격 : 25.6 x 37.9 cm 소장 : 일본개인 해설 : 안도오 히로시게는 카쯔시카 호쿠사이의 뒤를 이어 풍경화를 소재로 한 판화를 많이 그린 에도시대 말기의 판화가이다. 그는 원래 무사(武士)의 집안에서 태어났으나. 아버지가 일찍 세상을 떠나, 우타가와 토요히로(歌川豊廣) 라는 우키요에(浮世繪) 판화가의 문하에 들어가 스승의 성을 따르게 되어 때로는 우타가와 히로시게(歌川廣重) 라고도 불린다. 히로시게는 처음에는 일본의 여러 화파의 영향을 고루 나타내는 그림을 그렸으나 호쿠사이의 풍경판화. 특히 그의 후지산(富士山) 풍경판화에 자극을 받아 1831년 토오토명소..

일본고전명화 2024.04.01

작가 : 카쯔시카 호쿠사이. 제목 : 부악삼십육경(富嶽三十六景)

작가 : 카쯔시카 호쿠사이 제목 : 부악삼십육경(富嶽三十六景) 언제 : 에도시대 재료 : 판화 종이에 니시키에 규격 : 25 x 37 cm 소장 : 토오쿄오 국립박물관 해설 : 카쯔시카 호쿠사이는 에도시대 말기에 활약한 가장 유명한 우키요에 판화가이다. 그는 우키요에가 미인도(美人圖) 나 카부키(歌舞지) 배우 초상화를 거듭 그림으로써 형식화되고 신선함을 잃어가는 시기에, 풍경화나 화조화(花鳥畵)의 새로운 소재를 다루어 판화예술에 일대 변혁을 가져온 독창적인 판화가이다. 그는 처음에 목판 조각의 기술을 배웠으나. 19세 때 화가가 될것을 결심하고 카쯔카와 슌쇼오의 문하에 들어가 일본의 전통적인 여러 화파는 물론 당시에 일본에 들어온 서양화의 영향에 의한 새로운 화풍까지도 골고루 설렵하였다. 은 경치 좋은 ..

일본고전명화 2024.03.20

작가 : 토오슈우사이 샤라쿠. 제목 : 이찌카와 오메조오 의 얏코입페이

작가 : 토오슈우사이 샤라쿠 제목 : 이찌카와 오메조오 의 얏코입페이 언제 : 에도시대 재료 : 판화 종이에 니시키에 규격 : 37.7 x 24.9 cm 소장 : 토오쿄오 국립박물관 해설 : 토오슈우사이 샤라쿠는 본명을 사이토오 쥬우로오베에 라고 했으며. 그가 고용배우였다는 사실이 1884년에 간행된 ‘증보우키요에류고’ 의 기록에 의해서 밝혀졌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그가 그림을 그렸던 시기는 1794년 5월에서 1795년 초까지였다. 그 기간은 불과 10개월 정도밖에 되지 않지만. 이때 제작된 작품으로 현재까지 남아있는 것들은 약 140종에 이른다. 이들 중 가장 뛰어난 것은. 1794년 5월에 흥행된 에도 3좌(座)의 주역을 맡은 배우들을 그린 28개의 초상 작품이다. 이찌카와 오메조오의 ..

일본고전명화 2024.03.05

작가 : 키타가와 우타마로. 제목 : 부인상학십체(婦人相學十體)

작가 : 키타가와 우타마로 제목 : 부인상학십체(婦人相學十體) 언제 : 에도시대 재료 : 판화 종이에 니시키에 규격 : 37.7 x 24.2 cm 소장 : 토오쿄오 국립박물관 해설 : 키타가와 우타마로의 어릴 때 이름은 이찌타로오 라고 했으며. 호는 토요아키(豊壯) 라고 했다. 그는 29세부터 키타가와 우타마로로 불리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토리야마 세키엔(鳥山石燕)에게 그림을 배워 카부키(歌舞기)배우 그림을 그렸으나 당시의 유명한 출판업자인 쯔타야 쥬우자브로오에게 재능을 인정받아 미인화를 그리게 되었다. 그의 미인화는 토리이 키요나가 와 카쯔카와 슌쇼오 양식의 모방에서 출발하나. 미인 오오쿠비에 라고 불리는 자시 자신의 새로운 양식을 창안해 내게 되었다. “오오쿠비에”는 인물 표현의 극치를 나타내는 판화..

일본고전명화 2024.02.28

작가 : 이소다 코류우사이. 제목 : 하문견도(夏蚊遣圖)

작가 : 이소다 코류우사이 제목 : 하문견도(夏蚊遣圖) 언제 : 에도시대 재료 : 판화 종이에 니시키에 규격 : 28.4 x 21.3 cm 소장 : 히라키 우키요에 재단 해설 : 이소다 코류우사이는 에도시대 중기의 판화가로, 스즈키 하루노부(鈴木春信)의 양식을 따라 젊고 낭만적인 여인상을 그린 사람이다. 특히 하루노부 생존시에는 그와 비슷한 판화를 하루히로(春廣) 라는 이름으로 제작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하루노부가 죽은 뒤부터는 코류우사이라는 호를 쓰기 시작하여. 좀더 자신의 독창적인 그림을 그렸다. 그는 일상생활의 장면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작품을 특히 잘 그렸으며. 이 도 그 중의 한 예이다. 화면을 대각선으로 나누어 오른쪽으로는 실내의 장면. 그리고 왼쪽으로는 활짝 열린 장지문을 통하여 연자화(燕子花..

일본고전명화 2024.02.21

작가 : 스즈키 하루노부. 제목 : 우야궁예미인(雨夜宮詣美人)

작가 : 스즈키 하루노부 제목 : 우야궁예미인(雨夜宮詣美人) 언제 : 에도시대 재료 : 판화 종이에 니시키에 규격 : 27.7 x 20.5 cm 소장 : 토오쿄오 국립박물관 해설 : 스즈키 하루노부는 명화(明和)연간을 지배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인기있는 우키요에(浮世繪) 판화가였다. 그는 니시무라 시게나가(西村重長). 오쿠무라 마사노부. 이시카와 토요노부(石川豊信) 등의 영향을 받으며. 판화가로서 발전해 나가다가. 드디어 자신의 독특한 여인상을 창안해 내었다. 또한 기법상으로도 니시키에 라는 다색판화(多色版畵)를 개발하여 판화사(板畵史)에 크나큰 업적을 남겼다. 하루노부는 당시에 유행하던 선정적(煽情的) 여인상의 우키요에에서 탈피하여. 일본 고전 시문학의 낭만적 기분을 되살린 우아하고 세련된 젊은..

일본고전명화 2024.02.15

작가 : 카이게쯔도오 안도. 제목 : 풍전미인도(風前美人圖)

작가 : 카이게쯔도오 안도 제목 : 풍전미인도(風前美人圖) 언제 : 에도시대 재료 : 족자 종이에 설채 규격 : 94.8 x 42.7 cm 소장 : 토오쿄오 국립박물관 해설 : 카이게쯔도오 안도는 속명을 오카자키 겐시찌라고 했다. 그는 카이게쯔도오파의 창시자였으며. 그의 공방(工房)에는 안찌(安知). 안판(安䌓). 도신(度辰) 등 20여명의 제자들이 있었다. 풍전미인도는 서 있는 유녀(遊女)를 주제로 하였으며. 거의 대부분의 작품이 몸체를 (쿠) 자형으로 구부린 유형화된 상이다. 옷의 표현은 비수(肥瘦)의 변화가 심한 선을 써서 윤곽선을 대략 그린 후 커다란 문양을 특색 있게 면밀히 그려 넣었다. 얼굴. 손. 발의 섬세하고 가는 선과는 대조적이다. 는 그의 표준작으로 불리는 작품이며. 당시의 우키요에는 ..

일본고전명화 2024.02.05

작가 : 히시카와 모로노부. 제목 : 요시와라의 모습

작가 : 히시카와 모로노부 제목 : 요시와라의 모습 언제 : 에도시대 재료 : 판화 종이에 스미즈리 규격 : 29.1 x 42.3 cm 소장 : 토오쿄오 국립박물관 해설 : 히시카와 모로노부는 우키요에의 창시자로 알려졌다. 그는 에도의 출판업이 성해지는 것과 더불어 목판 삽화가로 크게 활약하여 인기를 얻게 되었다. 그가 그림과 판화에서 다룬 소재는 극히 다양했으며. 인기있는 삽화를 책으로부터 독립시켜 12장이 한 질(帙)로 된 목판화를 제작하여 미술의 대중화에 공헌하였으며. 이것이 우키요에 판화의 시초가 되었다. 이 이란 작품도 그와 같은 것으로서. 토오쿄오 유곽(遊廓)의 정경을 12장면으로 그린 것 중의 하나이다. 초기의 판화가 대개 그렇듯. 이 작품은 선묘(線描)만 목판으로 한 것으로 기법상 스미즈리..

일본고전명화 2024.01.29

작가 : 와타나베 카잔. 제목 : 타카미 센세키상

작가 : 와타나베 카잔 제목 : 타카미 센세키상 언제 : 에도시대 재료 : 족자 비단에 채색 규격 : 116 x 58 cm 소장 : 토오쿄오 국립박물관 해설 : 와타나베 카잔은 그 당시 서양 학문에 밝은 선각자 중의 한 사람이었다. 그의 현실 묘사에 대한 흥미는 차츰 서양화법에 관심이 옮겨가게 되어, 서양화의 음영법을 사용하여 마침내 일련의 독특한 초상화를 제작하게 되었다. 그는 초상화 모델의 외형적 특징의 묘사에 서양화의 사실적 수법을 가하여 살아있는 현실적 인간상 표현에 접근하려고 하였다. 이 초상화는 난학(蘭學 : 네델란드어를 통한 서양학의 연구)의 선배인 타카미 센세키를 그린 것이다. 이 작품은 비교적 야윈 얼굴에 이지적이고 냉철한 눈. 그리고 굳게 다문 감각적인 입술 등. 에도(江戶) 후기에 선..

일본고전명화 2024.01.24

작가 : 와타나베 카잔, 제목 : 천산만수도(千山萬水圖)

작가 : 와타나베 카잔 제목 : 천산만수도(千山萬水圖) 언제 : 에도시대 재료 : 족자 비단에 채색 규격 : 147.5 x 71 cm 소장 : 일본개인 해설 : 와타나베 카잔은 미카 영주의 무사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는 생계를 돕기 위하여 그림을 배우기 시작했다. 1809년 타니 분쬬오의 문하에 들어가서 그의 화풍과 청나라의 화가 심남빈(沈南蘋)의 화풍을 배웠다. 그후 서양화에 흥미를 갖기 시작하여 많은 초상화를 그렸다. 는 제목 그대로 첩첩히 쌓인 산 사이에 호수. 늪. 폭포 그리고 강의 많은 물이 가득찬 넓디넓은 경관(景觀)을 부감법(俯瞰法)으로 묘사한 작품이다. 도장의 글씨에 모고(摹古) 라고 되어있기 때문에 이는 서양화의 영향을 받은 중국의 산수화를 모사(模寫)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근경에 ..

일본고전명화 2024.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