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僮陽驛壁畵鷹熊歌用陳敎諭韻(
동양역벽화응웅가용진교유운)
정몽주(鄭夢周)동양역 벽에 그린 송골매 양태를 진교유의 운을 빌어 노래하다
波濤龍騰凌碧虛(파도용등릉벽허) :
물결은 용 승천하듯 하늘에 사무치고
紅旌渡淮風卷舒(홍정도회풍권서) :
붉은 깃발은 회수 건너 바람에 펄럭인다
人言大將受節鉞(인언대장수절월) :
사람들 말하네, 임금의 임명 받은 대장은
許國不復思全軀(허국불복사전구) :
나라 위해 제 몸 생각 않는 법이라 했다
車騎徐驅臨楚岸(차기서구림초안) :
수레와 말 천천히 몰아 초나라 언덕으로 가고
雷霆已殷齊東隅(뇌정이은제동우) :
천둥은 이미 제동에까지 울리는구나
猛士股栗聽指揮(맹사고률청지휘) :
용맹하던 군사들도 다리 떨며 지휘를 받고
縣尹首縮爭來趨(현윤수축쟁래추) :
고을 원님들은 목 움츠려 다투어 와 항복한다
君不見鳥中有鷹兮(군불견조중유응혜) :
그대는 모르는가, 새 중에 매가 있어
衆鳥翶翔莫能及(중조고상막능급) :
뭇새들 높이 날아도 미칠 수 없는 것을.
又不見獸中有熊兮(우불견수중유웅혜) :
또 모르는가, 짐승 중에 곰이 있어
百獸懾伏不敢立(백수섭복불감립) :
온갖 짐승 두려워서 감히 서있지도 못하는 것을
將軍本是萬人敵(장군본시만인적) :
장군이란 원래가 만 사람과 맞서는것
氣味吾知與之協(기미오지여지협) :
그 기세와 멋이 매와 곰에 어울리는 것을 나는 아노라
撫劍思從沙漠游(무검사종사막유) :
칼 어루만지며 생각은 사막에 노닐고
撚箭志在陰山獵(연전지재음산렵) : 화살 부
비며 음산의 사냥에 뜻을 두노라
僮陽驛中住半月(동양역중주반월) :
동양역에 반달 동안 머물다가
適見畵工精所業(적견화공정소업) :
마침 정한 화공을 만났도다
高堂大壁(고당대벽) :
높다란 집 큰 벽에
使之揮筆展其才(사지휘필전기재) :
그림 그리게 하여 그 재주를 펴 보게 하니
郭熙韓幹眞輿臺(곽희한간진여대) :
곽 희와 한 간은 참으로 그 하수이로다
維熊昂頭兮鷹奮翼(유웅앙두혜응분익) :
곰은 머리 쳐들고 매는 날개 떨치는데
精神妙處不在矩與規(정신묘처부재구여규) :
정신의 오묘함은 법도 넘어선 곳에 있도다
政逢盛代修武備(정봉성대수무비) :
정히 성세에 서로 만나 무비를 닦음에
我亦獻馬過海陲(아역헌마과해수) :
나 또한 말을 바치고 이 해변을 지나노라
日長公館綠陰合(일장공관록음합) :
해 긴 공관에는 녹음이 어우러졌는데
閉門看畵仍低佪(폐문간화잉저회) :
문 닫고 그림 보며 오락가락 거니는구나
盤飛須臾灑毛血(반비수유쇄모혈) :
빙빙 날아도는가 싶었는데 어느새 새의 털에 피 뿌린다
顧盻髣髴生風威(고혜방불생풍위) :
힐끗이 돌아보는 모습에 위풍이 생동하도다
鷹兮熊兮(응혜웅혜) : 매여, 곰이여
我當效汝於丹靑之外兮(아당효여어단청지외혜) :
내 마땅히 그림 밖에서 너를 본받아
決吾之勇兮起吾衰(결오지용혜기오쇠) :
나의 용기 끊어내어 나의 쇠약함을 떨리로다
又安得壯士如汝二物之神俊者(우안득장사여여이물지신준자)
어찌하면, 너희 두 무리같이 빼어난 장사 얻어
死生終始莫相違(사생종시막상위) :
생사간에 끝내는 서로 어김없이 되어서
繫頸匈奴之頑黠(계경흉노지완힐) :
완악하고 교활한 흉노의 목 홀쳐 끌고와
勒銘燕然之崔巍(륵명연연지최외) :
연연산 높은 곳에 빗돌 세워 기록하리라
功成歸來報天子(공성귀래보천자) :
공 이루고 돌아와 천자에게 아뢴 뒤에
乞身試向山中回(걸신시향산중회) :
산속으로 돌아가 쉬겠다고 이몸 한 번 청해 볼까.
'11) 포은 정몽주(1337)'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洪武丁巳奉使日本作(홍무정사봉사일본작)홍무 정사년 일본으로 사신 가 짓다 (0) | 2023.05.26 |
---|---|
圃隱 鄭夢周(포은 정몽주). 贈禮部主事胡璉(증예부주사호연 ) 예부주사호련에게 (0) | 2023.05.19 |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문효고(聞曉鼓)새벽 북소리 들으며 (0) | 2023.05.04 |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발해회고(渤海懷古)발해를 회고하며 (0) | 2023.04.27 |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강상억주좌참 2(江上憶周左參 2) 강 위에서 주좌참이 생각나서 (0) | 2023.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