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 232

陶隱 李崇仁(도은 이숭인). 題倫上人絶磵松風軒卷(제륜상인절간송풍헌권). 윤 상인 절간 송풍헌 시권에 제하여

陶隱 李崇仁(도은 이숭인).   題倫上人絶磵松風軒卷(제륜상인절간송풍헌권)윤 상인 절간 송풍헌 시권에 제하여 泠泠絶磵水(영령절간수) : 차갑게 끊어진 계곡물落此松風軒(넉차송풍헌) : 이곳 송수헌에 떨어진다磵水源流活(간수원류활) : 계곡물은 원류가 활발하고松風晝夜喧(송풍주야훤) : 솔바람은 밤낮으로 소란하다初疑奏天樂(초의주천락) : 처음 하늘의 음악인가 했는데復似韶濩音(부사소호음) : 다시 들으니 소호의 음악인 듯上人跏趺坐(상인가부좌) : 스님은 가부좌하고 앉아和以沒絃琴(화이몰현금) : 줄 없는 거문고로 화답하신다

三峰 鄭道傳삼봉 정도전). 遠遊歌(원유가) 멀리 노닌 노래

三峰 鄭道傳삼봉 정도전).   遠遊歌(원유가) 멀리 노닌 노래 置酒賓滿堂(치주빈만당) : 술상 차려 손님이 집안에 가득하니起舞歌遠遊(기무가원유) : 일어나 춤추며 멀리 놀게 됨을 노래 부른다.遠遊亦何方(원유역하방) : 멀리 노는 것이 또한 어느 곳인가九州復九州(구주부구주) : 중국 땅 다시 또 중국 땅이로다朝枻洞庭波(조설동정파) : 아침에는 동정호 물결에 노를 젓고暮泊易水流(모박역수류) : 저물 때는 역수의 흐르는 물에 배를 댄다.四顧騁遐矚(사고빙하촉) : 사방을 둘러보아 멀리 시야를 달리면서想像雍熙秋(상상옹희추) : 태평하던 시대를 상상해 본다.翼翼唐虞都(익익당우도) : 웅장한 당ㆍ우의 수도요崇崇夏殷丘(숭숭하은구) : 융숭한 하ㆍ은의 터전이다.歲月曾幾何(세월증기하) : 세월이 이미 얼마나 지났던가邈矣不..

圃隱 鄭夢周 (포은 정몽주). 題遼東龎鎭撫扇(제요동방진무선) 요동遼東 방 진무龎鎭撫의 부채에 적다

圃隱 鄭夢周 (포은 정몽주).   題遼東龎鎭撫扇(제요동방진무선)요동遼東 방 진무龎鎭撫의 부채에 적다 皎月近人揚素輝 (교월근인양소휘)희고 밝은 달은 사람 가까이에서 흰빛을 드날리고 淸風爲子却炎威 (청풍위자각염위)부드럽고 맑은 바람은 그대를 위해 무더위를 물리치네. 提携莫憚遼東遠 (제휴막탄요동원)요동遼東이 멀다고 가져가기를 꺼리지 마오. 當見三軍屬指揮 (당견삼군속지휘)이 부채를 손에 쥐고 삼군三軍이 지휘指揮를 받는 모습을 마땅히 보리니.

牧隱 李穡(목은 이색). 과김이상청암장 2(過金二相靑巖莊 2) 金二相(김이상)의 靑巖莊(청암장)에 들르다

牧隱 李穡(목은 이색).   과김이상청암장 2(過金二相靑巖莊 2)金二相(김이상)의 靑巖莊(청암장)에 들르다  明月愁聞笛 (명월수문적)밝은 달 아래 들려오는 피리 소리에 시름에 잠겨 靑山懶上樓 (청산라상루)느릿느릿 푸른 산속 누각樓閣에 오르네. 草深江路永 (초심강로영)풀은 무성하고 강변길은 길게 이어졌는데 誰繼昔人游 (수계석인유)그 누가 옛사람의 놀이를 이어 나갈 것인가.

益齋 李齊賢(익재 이제현). 馬上 3(마상 3) 말 위에서

益齋 李齊賢(익재 이제현).    馬上 3(마상 3) 말 위에서 日午汗如濯(일오한여탁) : 정오인데도 빨래하듯 땀이 흘러小立溪聲中(소립계성중) : 잠시 머물러 개울물 소리 듣는다飛塵欃馬過(비진참마과) : 나는 먼지 말을 싸고 지나가니氣若烈火烘(기약열화홍) : 열기는 타오르는 불꽃 같구나鳴蜩悅美蔭(명조열미음) : 우는 매미 짙은 그늘 즐기고倦鳥思深叢(권조사심총) : 권태로운 새는 깊은 숲을 생각한다何時紫霞洞(하시자하동) : 어느 때나 자하동에 가欹枕聽松風(의침청송풍) : 베개에 기대고 솔바람 소리 들으리

無衣子 慧諶(무의자 혜심). 春晩遊燕谷寺贈堂頭老(춘만유연곡사증당두로). 봄날 저녁 연곡사에서 노닐다가 늙은 주지에게 지어 주다

無衣子 慧諶(무의자 혜심).   春晩遊燕谷寺贈堂頭老(춘만유연곡사증당두로)봄날 저녁 연곡사에서 노닐다가 늙은 주지에게 지어 주다 春深古院寂無事 (춘심고원적무사) 봄 깊어 가는 오래된 절은 고요하고 아무 일도 없는데 風定閑花落滿庭 (풍정한화락만정)바람 그치니 한가로운 꽃이 뜰 가득 떨어지네. 堪愛暮天雲晴淡 (감애모천운청담)저녁 하늘에 떠 있는 맑고 엷은 구름이 좋기만 한데  亂山時有子規啼 (란산시유자규제)여기저기 어지럽게 솟은 산山에서 이따금 두견이가 울어 대는구려.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元曉井(원효정)원효정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元曉井(원효정)원효정 循山渡危橋 (순산도위교) 산 따라 위험한 다리 건너疊足行線路 (첩족행선로) 발을 포개며 좁은 길 걷네上有百仞巓 (상유백인전)백 길이나 높은 산마루에 曉聖曾結宇 (효성증결자) 원효가 일찍이 절을 지었네 靈蹤渺何處 (령종묘하처) 신령한 자취는 사라지고 遺影留鵝素 (유영류아소)초상만이 흰 비단폭에 남았구나 茶泉貯寒玉 (다천저한옥)차 끓이던 샘에 찬물이 고여 酌飮味如乳 (작음미여유) 마셔보니 젖같이 맛있네 此地舊無水 (타비구무수)이곳에 예전에 물이 없었기에 釋子難棲住 (석자난서주)중들이 머물러 살 수 없었는데 曉公一來寄 (효공이래기)원효가 와서 거처하매 甘液湧碞竇 (감액용암두)단물이 돌구멍에서 솟았네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表訓寺夜吟(표훈사야음) 표훈사에서 밤에 읋다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表訓寺夜吟(표훈사야음)표훈사에서 밤에 읋다 玲瓏樓閣壓淸溪(령롱누각압청계)광채가 찬란한 누각은 맑고 깨끗한 시내를 누르고 巢鶴枝邊月影低(소학지변월영저)학이 깃들인 가지 끝에는 달그림자가 머무르고 있네 半夜蜀禽呼破夢(반야촉금호파몽)한밤중에 두견새 울어 대니 꿈을 깨는데 聲聲只在老槐西(성성지재뇌괴서)울음 소리마다 오래된 회화나무 서쪽에서만 들려오네

금강산관련 시 2025.02.27

滿空禪師(만공선사). 悟道頌(오도송)

滿空禪師(만공선사).   悟道頌(오도송)  空山理氣古今外(공산리기고금외) 공산 이치가 다 고금 밖에 있고 白雲淸風自去來(백운청풍자거래) 흰 구름 맑은 바람 예부터 왔도다 何事達摩越西天(하사달마월서천) 달마대사는 무슨 일로 서천을 넘었는가 鷄鳴丑時寅日出(계명축시인일출) 닭은 축시에 울고 해는 인시에 뜨는구나

李玉峯(이옥봉). 贈兵使(증병사) 兵馬節度使 에게 드리다

李玉峯(이옥봉).   贈兵使(증병사) 兵馬節度使 에게 드리다 將軍號令扱雷風(장군호령급뇌풍)장군의 호령 우레처럼 쩡쩡 울리고 萬馘懸街氣勢雄(만괵현가기세웅)적들의 머리 효수하니 그 기세 웅장하네 鼓角聲邊吹鐵笛(고각성변취철적)고각 소리에 쇠피리 따라 불자 月涵滄海舞魚龍(월함창해무어룡)달은 창해에 잠기고 어룡은 춤추누나

雲楚 金芙蓉(운초 김부용). 五江樓(오강루) 오강루

雲楚 金芙蓉(운초 김부용).   五江樓(오강루) 오강루 平生身世雁群分(평생신세안군분)한평생 신세가 기러기 떼 갈리듯 했으니南浦勞歌鉅可聞(남포노가거가문)남포의 뱃노래를 어찌 들을 수 있으랴一日盈虛觀古渡(일일영허관고도)차고 기욺을 옛 나루터에서 보았고百年憂樂聽眞君(백년우락청진군)백년의 근심과 즐거움은 진군에게서 들었네峯嵐吐旭圍彤暈(붕람토욱위동훈)산안개 위로 해 돋아 붉은 햇무리 둘렸고海氣浮空結翠雲(해기부공결취운)바다기운 공중에 떠 푸른 구름 맺혔네向夕追凉仍拂席(향석추량잉불석)저물녘에 서늘한 기운에 자리떨고 일어서려니半簾疎月碎紛紛(반렴소월새분분)주렴에 성긴 달빛 어지러이 스며드네

三宜堂 金氏(삼의당 김씨). 秋閨詞 6(추규사 6) 여인들의 한시

三宜堂 金氏(삼의당 김씨).    秋閨詞 6(추규사 6) 여인들의 한시 五更明月滿西城(오경명월만서성)새벽녘 명월은 서쪽 성 비추고 城上何人弄笛行(성상하인롱적행)성 위세선 그 누가 피리 불며 가느뇨 可憐孤燭深閨夜(가련고촉심규야)가엾다 규방의 고독한 등불 正是愁人夢不成(정시수인몽불성)수심 겨워 잠들 길 바이없구나

金浩然齋(김호연재). 詠 桃[영 도] 복숭아를 읊다

金浩然齋(김호연재).    詠 桃[영 도] 복숭아를 읊다 東風偏入碧桃枝[동풍편입벽도지] : 치우쳐 드는 봄 바람에 복숭아 가지는 푸르고 灼灼春光可愛之[작작춘광가애지] : 넉넉하게 밝은 봄 빛이 가히 사랑스레 이르네.  獨對奇花還億遠[독대기화환억원] : 기이한 꽃 홀로 마주해 도리어 멀리 헤아리니 主人何事到來遲[주인하사도래지] : 주인께서는 무슨 일로 오기를 더디 하시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