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매월당 김시습(1435) 99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月 夜(월야) 달밤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月 夜(월야) 달밤 絡緯織床下(낙위직상하) : 여치는 평상 아래에서 베짜듯 울고 月白淸夜永(월백청야영) : 밝은 달빛, 맑은 밤은 길기도하여라 靈臺淡如水(영대담여수) : 마음은 물 같이 담담하고 萬像森復靜(만상삼부정) : 만물은 가득하고 고요하기만 하다 風動鳥搖夢(풍동조요몽) : 바람 불어 새는 꿈에서 깨고 露滴鶴竦驚(노적학송경) : 이슬방울에 학은 놀라 움추리는구나 物累不相侵(물루불상침) : 만물의 질서는 서로 침해하지 않으니 箇是招提境(개시초제경) : 그것이 바로 부처님 나라의 경지이로다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燈村(등촌) 시골등불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燈村(등촌) 시골등불  日落半江昏(일락반강혼) : 해가 지니 강의 절반이 어둑해져 一點明遠村(일점명원촌) : 한 점 등불 아득히 먼 고을 밝힌다 熒煌穿竹徑(형황천죽경) : 등불의 불빛은 대나무 좁은 길을 꾾고 的歷透籬根(적력투리근) : 또렷하게 울타리 밑을 비춰오는구나 旅館愁閒雁(여관수한안) : 여관에 들려오는 기러기 소리 수심겹고 紗窓倦繡鴛(사창권수원) : 비단 창가 비치는 원앙 수놓기 권태롭구나 蕭蕭秋葉雨(소소추엽우) : 우수수 가을잎에 내리는 비 相對正銷魂(상대정소혼) : 마주 바라보니 내 넋이 녹아버리는구나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敍 悶(서민) 깨닫지 못해 답답하다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敍 悶(서민) 깨닫지 못해 답답하다 八朔解他語(팔삭해타어) : 여덟 달만에 남의 말 알아들었고 三朞能綴文(삼기능철문) : 세 돌에 글을 엮을 수 있었네 雨花吟得句(우화음득구) : 비와 꽃을 읊어 싯구를 얻었고 聲淚手摩分(성루수마분) : 소리와 눈물 손으로 만져 구분했네 上相臨庭宇(상상림정우) : 높은 정승 우리 집에 찾아 오셨고 諸宗貺典墳(제종황전분) : 여러 종중에서 많은 책을 선사했네 期余就仕日(기여취사일) : 내가 벼슬하는 날에는 經術佐明君(경술좌명군) : 경학으로 밝은 임금 도우려 했네“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俯 仰(부앙) 아래를 굽어보고 위를 우러러봄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俯 仰(부앙)아래를 굽어보고 위를 우러러봄   俯仰杳無垠(부앙묘무은) : 내려보고 쳐다봐도 아득히 끝없는데 其中有此身(기중유차신) : 그 가운데 이 몸 태어나 사는구나. 三才參竝立(삼재참병립) : 삼재에 참여하여 나란히 서니 一理自相分(일리자상분) : 한 가지 이치가 자연히 나누어진다. 形役爲微物(형역위미물) : 몸에 구속되어 보잘것없는 사람 되니 躬行卽大君(궁행즉대군) : 몸소 실천하면 큰 인물이 되는 법이도다. 古今何間斷(고금하간단) : 예와 지금에 무슨 단절이 있을까 堯舜我同群(요순아동군) : 요임금 순임금도 나와 한 무리인 것을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閑 寂 (한적) 한가하고 고요하게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閑 寂 (한적) 한가하고 고요하게 自少無關意(자소무관의) : 젊어서부터 세상일에 무관심하여 而今愜素心(이금협소심) : 지금은 욕심 없는 마음이 유쾌하다 種花連竹塢(종화연죽오) : 꽃을 심어 대숲 언덕에 연결하고 蒔藥避棠陰(시약피당음) : 아가위 그늘 피해 약초를 모종낸다. 苔蘚人蹤少(태선인종소) : 이끼 끼어 사람 자취 드물고 琴書樹影深(금서수영심) : 나무 그늘 깊이 거문고와 책이 있도다. 從來樗散質(종래저산질) : 전부터 허약한 체질이라 更來病侵尋(갱래병침심) : 다시 병이 침입해 찾아드는구나.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登昭陽亭( 등소양정 )소양정에 올라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登昭陽亭( 등소양정 )소양정에 올라 鳥外天將盡(조외천장진) : 새는 하늘 밖으로 날아가고 愁邊恨不休(수변한불휴) : 시름에 겨워 한이 그치지 않는다. 山多從北轉(산다종북전) : 산은 많아서 북쪽에서 굴러오고 江自向西流(강자향서류) : 강은 스스로 서쪽을 향해 흐른다. 雁下沙汀遠(안하사정원) : 기러기 날아 내리는 모래톱은 아득하고 舟回古岸幽(주회고안유) : 배 돌아오니 옛 언덕 그윽하다 何時抛世網(하시포세망) : 언제나 세상 그물 던져 버리고 乘興此重遊(승흥차중유) : 흥에 겨워 여기 와서 다시 놀아볼까.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登 樓(등루) 루에올라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登 樓(등루) 루에올라 向晩山光好(향만산광호) : 해질녘 산색은 아름답고 登臨古驛樓(등림고역루) : 오래된 역의 누대에 오른다. 馬嘶人去遠(마시인거원) : 말은 울고 사람은 멀어지고 波靜棹聲柔(파정도성유) : 물결은 고요하니 노 젓는 소리 부드럽다. 不淺庾公興(불천유공흥) : 유공의 흥취가 옅지 않아 堪消王粲憂(감소왕찬우) : 완찬의 근심을 녹일 만하다 明朝度關外(명조도관외) : 내일 아침이면 관 밖을 건너리니 雲際衆峰稠(운제중봉조) : 저 멀리 구름 끝에 산봉우리들 빽빽하다.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卽 事(즉사)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卽 事(즉사)  有穀啼深樹(유곡제심수) : 뻐꾸기가 울창한 나무숲에서 우네 前村桑葚紅(전촌상심홍) : 앞 고을에는 오디가 푹 익었다 農雲峯上下(농운봉상하) : 짙은 구름은 산봉우리로 오르내리고 疏雨埭西東(소우태서동) : 가랑비는 뚝 위로 오락가락 懶覺身無事(라각신무사) : 게을러 몸에 할 일 없음을 알고 衰知酒有功(쇠지주유공) : 몸이 쇠약해짐에 술에 공덕이 있음을 알았다 已得歸歟興(이득귀여흥) : 이미 돌아갈 마음 얻었으니 江山屬此翁(강산속차옹) : 강산이 이 늙은이의 것이라오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靑山如許好(청산여허호) 청산은 이리도 좋은데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靑山如許好(청산여허호)청산은 이리도 좋은데  靑山如許好(청산여허호) : 청산은 저리도 좋은데澗水如許淸(간수여허청) : 골짝 물은 이리도 좋구나.四座無人聲(사좌무인성) : 사방에는 사람의 소리 하나 없고一鳥簷前鳴(일조첨전명) : 한 마리 새만이 처마 앞에서 울고 있구나.頹然臥筠床(퇴연와균상) : 쓰러지듯 대나무 평상에 누우니黃葉堆前楹(황엽퇴전영) : 누런 나뭇잎이 기둥 앞에 쌓이는구나.得句頗尖新(득구파첨신) : 시 한 구절 지으니 자못 참신하여一笑豪氣橫(일소호기횡) : 한번 웃어제치니 호기가 가로 뻗친다.欲倒三峽流(욕도삼협류) : 삼협의 흐르는 물에 이르러 掃千人兵(욕소천인병) : 천 사람의 무기를 다 쓸어버리라.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乍晴乍雨(사청사우) 날이 개었다 비가 내렸다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乍晴乍雨(사청사우)  날이 개었다 비가 내렸다 乍晴乍雨雨還晴(사청사우우환청) : 잠깐 개었다 비 내리고 내렸다가 도로 개이니 天道猶然況世情(천도유연황세정) : 하늘의 이치도 이러한데 하물며 세상 인심이야 譽我便是還毁我(예아편시환훼아) : 나를 칭찬하다 곧 도리어 나를 헐뜯으니 逃名却自爲求名(도명각자위구명) : 명예를 마다더니 도리어 명예를 구하게 되네 花開花謝春何管(화개화사춘하관) : 꽃이 피고 꽃이 지는 것을 봄이 어찌 하리오 雲去雲來山不爭(운거운래산불쟁) : 구름이 오고 구름이 가는 것을 산은 다투질 않네 寄語世人須記認(기어세인수기인) : 세상 사람에게 말하노니 반드시 알아두소 取歡無處得平生(취환무처득평생) : 기쁨을 취하되 평생 누릴 곳은 없다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