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삼봉 정도전(1342) 96

三峰 鄭道傳(삼봉 정도전). 石灘(석탄) 석탄에서

三峰 鄭道傳(삼봉 정도전).   石灘(석탄) 석탄에서 石面立削鐵(석면립삭철) : 돌 면은 쇠를 깎아 세운 듯灘流奔長虹(탄류분장홍) : 여울 물결은 긴 무지개로 달리는 듯.灘頭橫漁艇(탄두횡어정) : 여울머리에 낚싯배 빗겨 있고灘上起茅宮(탄상기모궁) : 여울 위로 모궁이 우뚝히 솟아있다.高人抱淸疾(고인포청질) : 높은 선비 청렴하여 병이 들어歸來臥其中(귀래와기중) : 돌아와 그 안에 누워 있단다.朝遊欣浩蕩(조유흔호탕) : 아침에 노면 콸콸 흐르고夕眺驚明滅(석조경명멸) : 저녁에 바라보면 밝을락 말락하다.天炎挹孤爽(천염읍고상) : 날 더우면 상쾌한 기운 감돌고潦盡流皓月(료진류호월) : 흐린 물 다하면 밝은 달이 흐른다.春水碧於藍(춘수벽어람) : 봄물은 쪽빛보다 더욱 푸르러何如飄朔雪(하여표삭설) : 북녘 눈발 ..

三峰 鄭道傳(삼봉 정도전). 日暮(일모) 해는 지는데

三峰 鄭道傳(삼봉 정도전).  日暮(일모) 해는 지는데​​​​水色山光淡似煙(수색산광담사연) : 물빛 산빛 연기처럼 맑아羈情日暮倍悽然(기정일모배처연) : 해 저무니 나그네 마음 더욱 처량하다蓬蒿掩翳村墟合(봉호엄예촌허합) : 잡풀이 우거져 마을터에 가득하고籬落欹斜地勢偏(리락의사지세편) : 울타리는 비스듬 하고 땅 형세 외지도다遠燒無人延野外(원소무인연야외) : 멀리 타는 불은 사람 없어 들밖으로 뻗어가고傳烽何處照雲邊(전봉하처조운변) : 어디서 오른 봉화인지 구름가에 비치는구나但看暮暮還如此(단간모모환여차) : 저물 때마다 보이는 것 이와 같은데不覺流光過二年(불각류광과이년) : 어느덧 세월은 이 년이나 지나갔구나

三峰 鄭道傳(삼봉 정도전). 嗚呼島弔田橫(오호도조전횡) 오호도에서 전횡을 조상하다

三峰 鄭道傳(삼봉 정도전).   嗚呼島弔田橫(오호도조전횡)오호도에서 전횡을 조상하다 ​曉日出海赤(효일출해적) : 아침 해 붉게 바다 위로 나와直照孤島中(직조고도중) : 외로운 섬 안을 바로 비춘다.夫子一片心(부자일편심) : 선생의 한 조각 붉은 마음은正與此日同(정여차일동) : 바로 이런 바다의 아침 해 같구나.相去曠千載(상거광천재) : 몇 천 년이나 아득히 서로 떨어졌지만嗚呼感予衷(오호감여충) : 아아 나의 충정이 느껴지는구나.毛髮竪如竹(모발수여죽) : 대나무 같이 머리털이 치솟고凛凛吹英風(름름취영풍) : 늠름히 영명한 바람 불어오는구나

三峰 鄭道傳 (삼봉 정도전). 月夜奉懷東亭(월야봉회동정) 달밤에 동정을 생각하며

三峰 鄭道傳 (삼봉 정도전).   月夜奉懷東亭(월야봉회동정)달밤에 동정을 생각하며 ​半夜獨起立(반야독기립) : 한밤중 일어나 홀로 서있으니長空澹自寂(장공담자적) : 높은 하늘은 해맑아 고요하다.一片海上月(일편해상월) : 바다 위 한 조각 밝은 달이萬里照茅屋(만리조모옥) : 만 리 멀리 오두막을 비춘다.冷影故依依(랭영고의의) : 차가운 그림자 짐짓 한들거리니還如憐竄客(환여련찬객) : 귀양살이 나그네를 불쌍히 여기는 듯.爲憶東亭翁(위억동정옹) : 미루어 동정옹을 생각해보니應共此幽獨(응공차유독) : 응당 이러한 고독을 함께 맛보리라

​​​​三峰 鄭道傳(삼봉 정도전). 春風(춘풍) 봄바람

​​​​三峰 鄭道傳(삼봉 정도전).    春風(춘풍) 봄바람 春風如遠客(춘풍여원객) : 봄바람은 먼 곳 손님과 같아一歲一相逢(일세일상봉) : 한 해에 한 차례 만나는구나澹蕩原無定(담탕원무정) : 맑고 넓어 원래 정함이 없지만悠揚似有蹤(유양사유종) : 유양하여 그 자취가 있는 듯하다暗添花艶嫰(암첨화염눈) : 가만히 꽃의 고운 눈 더 보태 주고輕拂柳絲重(경불류사중) : 늘어진 버들가지 가볍게 스쳐간다獨惜吟詩客(독석음시객) : 홀로 애닲아서 시 읊는 나그네는還非昔日容(환비석일용) : 지금은 도리어 옛날 모습 아니어라

三峰 鄭道傳(삼봉 정도전). 雨日(우일) 비오는날

​​​三峰 鄭道傳(삼봉 정도전).    雨日(우일) 비오는날 雨聲偏好處(우성편호처) : 빗소리 유달리 좋은 곳은茅屋午眠中(모옥오면중) : 초당에서 낮잠 중일 때로다亂灑侵寒浦(란쇄침한포) : 좍좍 흘러 개울을 모여들고斜飛逐細風(사비축세풍) : 비껴 날아 살랑 바람에 흩날린다柳低含晩翠(류저함만취) : 버들은 늘어져 늦 푸른빛 머금고花重濕鮮紅(화중습선홍) : 꽃은 무거워 선홍이 젖어있다田父笑相對(전부소상대) : 늙은 농부들 웃고 마주보며家家望歲功(가가망세공) : 집집마다 풍년들기 바라고 있다

​​​三峰 鄭道傳(삼봉 정도전). 中秋歌 2(중추가 2) 중추가

​​​三峰 鄭道傳(삼봉 정도전).   中秋歌  2(중추가  2) 중추가 ​歲歲中秋月(세세중추월) : 해마다 보는 한가위 달今宵最可憐(금소최가련) : 오늘밤만은 더욱 애처로워라一天風露寂(일천풍로적) : 온 하늘은 바람과 이슬로 적막하고萬里海山連(만리해산련) : 만리 멀리 바다와 산이 이어져 있도다故國應同見(고국응동견) : 고향 땅에서도 같이 볼고 있으려니渾家想未眠(혼가상미면) : 온 집안 식구들 아마도 잠들지 못하리라誰知相憶意(수지상억의) : 서로 그리는 뜻을 누가 알리오兩地各茫然(량지각망연) : 두 곳에서 모두들 시름으로 마음이 망연한 줄을

​​​三峰 鄭道傳(삼봉 정도전). 避寇(피구) 도적을 피하여

​​​三峰 鄭道傳(삼봉 정도전).   避寇(피구) 도적을 피하여 避寇離吾土(피구리오토) : 도적을 피하여 내 땅을 떠나攜家走異鄕(휴가주이향) : 가족을 이끌고 타향으로 왔도다荊榛行自蔽(형진행목폐) : 가시덩굴 걷자니 앞을 가리고桑梓耿難忘(상재경난망) : 고향이 눈에 선해 잊기 어렵도다世險憐兒少(세험련아소) : 세상이 험난하니 아이들이 가엾고家貧仗友良(가빈장우량) : 집안 가난하여 좋은 벗에게 신세지나乾坤空自濶(건곤공자활) : 천지는 부질없이 넓기만 하여獨立興蒼茫(독립흥창망) : 홀로 서니 내 감회에 아득하기만 하다

​​​​​​​​​​三峰 鄭道傳(삼봉 정도전). 次尹大司成詩韻效其體 1(차윤대사성시운효기체 1). 윤대사성 시에 차운하고 체를 본받아

​​​​​​​​​​三峰 鄭道傳(삼봉 정도전).   次尹大司成詩韻效其體 1(차윤대사성시운효기체 1)윤대사성 시에 차운하고 체를 본받아 拙學誠難箋國風(졸학성난전국풍) : 모자란 학문 국풍을 이해하기도 어려워 ​只吟柳綠與花紅(지음류록여화홍) : 다만 푸른 버들과 붉은 꽃을 읊기만 하노라 ​百年天地知音少(백년천지지음소) : 이 세상 백년동안 참된 친구 적으니 ​却恐終隨朽壤同(각공종수후양동) : 썩은 흙과 같이 될까 두렵기만 하도다

​​​三峰 鄭道傳(삼봉 정도전). 宿 原堂寺(숙 원당사) 원당사에 묵으며

​​​三峰 鄭道傳(삼봉 정도전).   宿 原堂寺(숙 원당사) 원당사에 묵으며 古寺何年構(고사하년구) : 어느 해 지은 옛 절인지殘僧寄此生(잔승기차생) : 늙은 스님 이곳에 사는구나石峯危欲墜(석봉위욕추) : 아슬아슬 돌봉우리 넘어질 듯樵徑細難行(초경세난행) : 나무 길은 좁아서 가기도 어렵구나松雪晴猶落(송설청유락) : 소나무에 쌓인 눈, 날 개어도 떨어지고苔扉晝尙傾(태비주상경) : 이끼 낀 사립문은 낮에도 닫혀 있구나禪窓報初日(선창보초일) : 절 방 창가에 해가 갓 오르니山下午鷄鳴(산하오계명) : 산 아래는 낮 닭이 우는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