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읍취헌 박은(1479) 59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過寓庵劇飮 3(과우암극음 3) 과우암에서 심하게 술마시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過寓庵劇飮 3(과우암극음 3) 과우암에서 심하게 술마시다 萬事問天還自笑(만사문천환자소) : 만사를 하늘에 물으니 도리어 우스워 一心與世不相謀(일심여세불상모) : 이 마음 세상과 서로 맞지 않는구나 偶乘明月從君話(우승명월종군화) : 우연히 밝은 달 따라와 그대와 담소하며 能有深尊慰我愁(능유심존위아수) : 맑은 술 있어 내 시름 달랠 수 있도다 卒歲優游差足樂(졸세우유차족락) : 한해 보내는 놀이 즐겁가야 하나 平時落魄更誰尤(평시낙백경수우) : 평생의 불우한 신세 누구를 탓하랴 已酣尙爲黃花飮(이감상위황화음) : 취하여 국화 때문에 더욱 술 마시고 欲去仍將好句留(욕거잉장호구류) : 떠나려다 좋은 시 위해 다시 머물러 본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五言律詩(오언율시)

​​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五言律詩(오언율시) 寒比前宵甚(한비전소심) 추위는 어제 밤보다 더 심하고 風從五鼓吹(풍종오고취) 바람은 오경부터 불었네 隣鷄應廢曉(린계응폐효) 이웃 닭이 새벽을 알리는데 宿鳥未安枝(숙조미안지) 자는 새도 가지가 편치 않았으리 多怪侵牕影(다괴침창영) 창문 그림자에 보이는 것이 괴이한데 稀聞落地時(희문락지시) 땅에 떨어져도 소리 거의 들리지 않네 來年占大熟(래년점대숙) 올해 점괘도 아주 좋아지겠는데 夜雪不兒知(야설불아지) 밤새 눈 온 것 아이들만 모르리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頃擇之惠我燕墨(경택지혜아연묵) 얼마전에 택지가 내게 연묵을 선사하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頃擇之惠我燕墨(경택지혜아연묵) 얼마전에 택지가 내게 연묵을 선사하다 二公用意謝甚勤(이공용의사심근) 두 사람의 마음씀이 고맙긴 하나 顧匪其人亦何益(고비기인역하익) 내가 과연 받을 만한 자격 있는가 爾來搖落愁南山(이래요락수남산) 근래에 낙엽이 지는 남산을 보며 시름하노니 翠軒日日添蕭索(취헌일일첨소삭) 취헌은 나날이 풍경 쓸쓸해져 가는구나 寂寞雖非草玄手(적막수비초현수) 적막한 중 비록 태현경 쓸 솜씨는 없으나 推敲頗識安排格(최고파식안배격) 문자의 추퇴 와 격식은 다소 아네 誰能更借一毫兎(수능갱차일호토) 뉘 다시 내게 붓 한 자루 빌려 주어 寫我平生方寸赤(사아평생방촌적) 내 평생의 속마음 써 내리게 할꼬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福靈寺(복령사) 복령사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福靈寺(복령사) 복령사 伽藍却是新羅舊(가람각시신라구) : 절은 실로 신라시대 옛 건물 千佛皆從西竺來(천불개종서축래) : 천불상은 다 축국에서 가져온 것들 終古神人迷大隗(종고신인미대외) : 옛 신인이 찾아 천지를 헤매었던 땅 至今福地似天台(지금복지사천태) : 지금은 천태산같은 복된 땅이어라 春陰欲雨鳥相語(춘음욕우조상어) : 비 내릴 듯 흐릿한 봄날에 새들은 지저귀고 老樹無情風自哀(로수무정풍자애) : 무정한 고목에 불어드는 바람소리는 절로 애처롭다 萬事不堪供一笑(만사불감공일소) : 만사는 한 바탕 웃음거리일 뿐 靑山閱世只浮埃(청산열세지부애) : 세상 살아보니 청산도 한갓 날리는 흙먼지로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李永元將返湖南以書四幅求詠(이영원장반호남이서사폭구영)

​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李永元將返湖南以書四幅求詠 (이영원장반호남이서사폭구영) 이영원이 호남에서 돌아오려 하여 사복구영을 쓰다 故人歲晩饒淸興(고인세만요청흥) : 친구는 세모에도 맑은 흥 가득 秖愛天涯雪落初(지애천애설락초) : 하늘가에 떨어지는 첫눈을 사랑하리 排戶尙憐寒後竹(배호상련한후죽) : 문 열면 찬 대나무 여전히 어여쁘고 披簑知有釣來魚(피사지유조래어) : 도롱이 걸친 낚시질에 고기 모여들고 能敎山海長相對(능교산해장상대) : 산과 바다 언제나 대할 수 있도다 未害虀鹽亦不餘(미해제염역불여) : 나물 양념 부족하면 어떠하리오 他日爲尋溪上棹(타일위심계상도) : 훗날 개울 찾아 배 띄워 보면 筍籬茅屋是君居(순리모옥시군거) : 대울타리 띠집이 친구 사는 곳이리라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病眼次友人韻(병안차우인운) 병든 눈으로 친구의 시를 차운하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病眼次友人韻(병안차우인운) 병든 눈으로 친구의 시를 차운하다 閉眼深居不啓關(폐안심거불계관) : 눈감고 들어앉아 문 열지 않는데 翠軒閑却半簾山(취헌한각반염산) : 취헌은 한가롭고 산은 반 발에 든다 孤如籠鳥長思侶(고여농조장사려) : 외로움은 긴 세월 짝 그리는 새 신세라 癡似秋蠅更怯寒(치사추승경겁한) : 어리석기는 가을파리 같아 추위도 두려워라 豈有顚狂舊時興(기유전광구시흥) : 미칠듯한 옛 흥취 어이 있으며 漸成枯槁老容顔(점성고고노용안) : 나날이 바싹 마른 늙은 몰골 되어간다 百年身世誰非寓(백년신세수비우) : 이세상 한평생 누군들 나그네 아니랴만 出處悠悠涕自潸(출처유유체자산) : 출처가 아득하니 눈물만 절로나는구나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登淸心樓(등청심루) 청심루에 올라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登淸心樓(등청심루) 청심루에 올라 可使登臨無好句(가사등림무호구) : 누에 올라 좋은 싯귀 없다면 恐敎魚鳥駭塵顔(공교어조해진안) : 고기잡는 새, 속된 모습에 놀랄거야 鬱蔥神勒寺前塔(울총신륵사전탑) : 울창한 신륵사앞 탑은 높기만 하고 縹緲楊根郭外山(표묘양근곽외산) : 양근성밖 보이는 산하는 아득하구나 江路迂如環半月(강로우여환반월) : 강가 길은 반달처럼 휘어져 멀고 灘流疾似發黃間(탄류질사발황간) : 여울물은 화살처럼 황간을 떠난다 扁舟又被催歸去(편주우피최귀거) : 작은 배도 돌아갈 길 재촉하여 未遣浮生終日閒(미견부생종일한) : 덧없는 인생 하루만의 한가함도 없구나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亂簡中(난간중) 어지러운 간독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亂簡中(난간중) 어지러운 간독 幽興發時禁不得(유흥발시금부득) 그윽한 흥취 일어날 땐 참을 수 없어 今朝聊爲洗塵盃(금조료위세진배) 오늘아침 애오라지 먼지 낀 술잔을 씻노라 窮年雪逕無蹤跡(궁년설경무종적) 한 해가 가도 눈 덮힌 길엔 찾아오는 이 없고 終日風扉自闔開(종일풍비자합개) 진종일 바람에 사립문은 절로 삐걱 거리네 咫尺故人難數面(지척고인난수면) 지척에 있는 벗님도 자주 만날 수 없고 湖南遠客幾時來(호남원객기시래) 멀리 호남으로 간 길손은 언제나 오려나 生涯索寞誰料理(생애삭막수요리) 삭막한 이내 생애 그 누가 달래 주리 更耐流光與老催(갱내유광여노최) 흐르는 세월속에 늙어만 가니 어어할꼬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對月有感寄擇之(대월유감기택지) 달보고 감회일어 택지에게 보낸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對月有感寄擇之(대월유감기택지) 달보고 감회일어 택지에게 보낸다 佳期眞有數(가기진유수) 좋은 만남은 참으로 운수에 달린 것 人力故難爭(인력고난쟁) 인력으로는 본디 어찌하기 어려운 법 湖海空陳迹(호해공진적) 강호는 속절없이 묵은 자취로 남고 光陰已自驚(광음이자경) 광음은 빨리도 흘러 깜짝 놀라는 구나 寒從人日減(한종인일감) 추위는 인일로부터 줄어들고 月過上弦明(월과상현명) 달은 상현을 지나 밝아 지누나 未用憂僮僕(미용우동복) 동복이 없을까 걱정할 필요는 없으니 應門守二更(응문수이경) 내가 밤새도록 문에 서서 그대를 기다릴테니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題翫月錄後(제완월록후) 완월록 의 뒤에 쓰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題翫月錄後(제완월록후) 완월록 의 뒤에 쓰다 中秋一尊酒(중추일존주) 중추절에 술 한 잔 하면서 看月供招邀(간월공초요) 달구경하자 초대했었지 九日數枝菊(구일수지국) 중양절엔 국화 가지 꺽어 登高還寂寥(등고환적요) 높은 곳에 올랐으나 외려 적요하구나 事如飛鳥散(사여비조산) 세상사 나는 새 흩어지듯 興復與年銷(흥부여연소) 홍도 세월이 갈수록 사그라진다네 獨坐披塵簡(독좌치진간) 홀로 앉아 묵은 책 펼치니 愁來自不聊(수래자불료) 시름에 겨워 절로 무료 하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