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곡이밀직종덕(哭李密直種德) 밀직이종덕을 곡하다
自是韓山積善餘(자시한산적선여) :
한산 이씨 문벌은 적선한 일이 있어
賢郞欠壽竟何如(현랑흠수경하여) :
아들이 일찍 오래 살지 못함은 어찌 된 일인가
古來此理誠難詰(고래차리성난힐) :
옛부터 이러한 이치 정말 알기 어려웠으니
孔聖猶曾哭伯魚(공성유증곡백어) :
공자 같은 성인도 일찍 아들 백어를 곡하였도다
'11) 포은 정몽주(1337)'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동지음 2(冬至吟 2) 동지를 읊다 (0) | 2023.08.22 |
---|---|
圃隱 鄭夢周 (포은 정몽주) . 동지음1(冬至吟1) 동지를 읊다 (0) | 2023.08.14 |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표모분(漂母墳) 표모의무덤 (0) | 2023.07.28 |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회금해구유(懷金海舊遊) 김해 옛 놀이 생각하며 (0) | 2023.07.20 |
圃隱 鄭夢周(포은정몽주). 주차백로주(舟次白鷺洲) 배에서 백로주를 차운하다 (0) | 2023.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