孤竹 崔慶昌(최경창). 臨津(임진) 임진강에서
揮手謝親愛(휘수사친애)
손 흔들어 사랑하는 이 이별하고
走馬赴幽燕(주마월유연)
말을 달려 중국으로 가네.
十月雪微下(십월설미하)
시월에 가는 눈발 날리고
長河氷欲堅(장하빙욕견)
긴 강은 얼음이 얼려 하는구나.
雲端隱鳳闕(운서은봉궐)
구름자락은 대궐을 가리었고
匣裡吼龍泉(갑리후룡천)
갑 속에 용천검이 울부짖는다.
丈夫須努力(장부수노력)
대장부가 모름지기 노력해야 함은
不爲兒女憐(불위아녀련)
아녀자의 사랑 때문이 아니네.
'38) 고죽 최경창(1539)'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孤竹 崔慶昌(고죽 최경창). 大隱巖南止亭故宅(대은암남지정고택) 대은암 남지정 고택에서 (0) | 2024.07.11 |
---|---|
孤竹 崔慶昌(고죽 최경창). 簡交河倅求蟹(간교하졸구해) 간교하의 원님이 게를 구하네 (0) | 2024.07.03 |
孤竹 崔慶昌(최경창). 御題擣紈(어제도환) 다듬이질 (임금이 내린 제목) (0) | 2024.06.16 |
孤竹 崔慶昌(최경창). 贈 別 2(증 별 2) 이별을 아쉬워하며 (0) | 2024.06.06 |
孤竹 崔慶昌(고죽 최경창). 贈 別 1(증 별 1)이별을 아쉬워하며 (0) | 2024.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