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 이숭효(李崇孝)
제목 : 귀어도(歸漁圖)
언제 : 16세기 후반
재료 : 모시에 수묵
규격 : 21.2 x 15.6 cm
소장 : 국립중앙박물관
해설 : 이숭효의 자(字)는 백달(伯達)이며. 화원 이상좌(李上佐)의 아들로. 그의 동생 이흥효(李興孝). 그의 아들 이정(李楨)등이 모두 화원이었다. 이숭효는 일찍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그의 작품은 매우 드물어 현재까지 알려진 작품은 이 귀어도가 유일한 것이다. 대각선으로 이어진 비탈길을 한 늙은 어부가. 잡은 고기를 왼손에 들고. 오른쪽 어깨에는 낚싯대를 걸머메고 돌아오는 모습이다. 주변의 자연공간은 갈대잎으로 간결히 설명되고 있고. 낚시꾼의 초연한 모습이 이 그림의 주제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산수화에서 근경의 인물부분만이 크게 강조되어. 어부도(漁夫圖). 고사탁족도(高士濯足圖). 관폭도(觀瀑圖). 등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이. 조선중기 절파(浙派) 화풍의 한 가지 특징이기도 하다. 갈대잎의 활달하고 조방(粗放)한 필치나. 굵고 가는 거침없는 옷주름의 묘사 또한. 절파 화풍의 전형을 보여주는 것으로. 특히 이 작품에서는 어부의 비척거리는 걸음거리와. 달관을 한 듯한 표정이 생기있게 묘사되어 있다. 올이 굵은 모시에 그렸기 때문에. 붓길이 매끄럽지 않은 대신에. 끊긴듯 이어지는 여운은 더 잘 살아나고 있다.
대표
'한국고전명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경윤(李慶胤). 제목 : 산수인물도(山水人物圖) 외 (2) | 2023.02.23 |
---|---|
작가 : 이불해(李不害)제목 : 예장소요도(曳杖逍遙圖) (0) | 2023.02.18 |
작가 : 함윤덕(咸允德) 제목 : 기려도(騎驢圖) (0) | 2023.02.07 |
이정근(李正根) : 미법산수도(米法山水圖) 외 (2) | 2023.01.31 |
이흥효(李興孝) : 설경산수도(雪景山水圖) (0) | 2023.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