農巖 金昌協(농암 김창협). 將赴京夜與子益大有呼韻同賦
(장부경야여자익대유호운동부)
서울에 와 밤에 자익과 운을 불러 짓다
亦知無幾別(역지무기별)
얼마 되지 않아 이별할 줄을 알지만
聊復永今宵(료복영금소)
애오라지 다시 긴 오늘밤을 맞이하는구나
斷行悲嶺鴈(단행비령안)
가지 못해 고개 넘는 기러기를 슬퍼하고
離恨寄江潮(이한기강조)
이별의 한스러움을 강호에 띄우노라
歌唱驪駒短(가창려구단)
여구의 짧은 노래 읊조리며
書傳赤鯉遙(서전적리요)
붉은 편지 적어 아득히 멀리 보내노라
故園花樹在(고원화수재)
고향 동산에 꽃나무는 그대로 있는데
春色久寥寥(춘색구요요)
봄날의 경치는 오래토록 적막하기만 하도다
'60) 농암 김창협(1651)'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農巖 金昌協(농암 김창협). 翼日子益與諸人至(익일자익여제인지) 다음날 자익이 여러 사람과 오다 (0) | 2025.02.05 |
---|---|
農巖 金昌協(농암 김창협). 洗心齋用池(세심재용지) 재용지에서 마음 씻으며 (0) | 2025.01.20 |
農巖 金昌協(농암 김창협). 洪生世泰來訪(홍생세태래방) 홍세태가 찾아와 (0) | 2025.01.12 |
農巖 金昌協(농암 김창협). 過車踰嶺歷茂山至會寧 7 (과차유령역무산지회령 7) (0) | 2025.01.06 |
農巖 金昌協(농암 김창협). 過車踰嶺歷茂山至會寧 6 (과차유령역무산지회령 6) (0) | 2024.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