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0 8

東冥 鄭斗卿(동명 정두경). 櫻 桃 (앵 도) 앵 두

東冥 鄭斗卿(동명 정두경).    櫻 桃 (앵 도) 앵 두 葉底櫻桃萬顆圓 (엽저앵도만과원)잎새 밑에 맺힌 수많은 앵두알이 동그랗기만 한데 日斜交映色相鮮 (일사교영색상선)저무는 해와 서로 비추니 색깔이 선명鮮明하네. 却疑美女靑樓上 (각의미녀청루상)문득 아름다운 여인이 기생집 위에 있는 것 같고 更想珊瑚綠水前 (경상산호록수전)다시 산호珊瑚가 푸른 물 앞에 있다는 생각도 드네.

孤山 尹善道(고산 윤선도). 挽韓僉知 2(만한첨지 2)한 첨지에 대한 만사

孤山 尹善道(고산 윤선도).   挽韓僉知 2(만한첨지 2)한 첨지에 대한 만사 我謫三江已四載 (아적삼강이사재)내가 삼강三江에 귀양 온 지 벌써 4년 公無一入於城中 (공무일입어성중)공公은 한 번도 성城안에 들어오지 않았네. 吾猶及見老知止 (오유금견노지지)내가 가히 늘그막에 분수分數에 넘치지 않도록 그칠 줄 아는 분을 보았으니 朝有鄭卿鄕有公 (조유정경경유공)조정朝廷에는 판서判書 정세규鄭世規가 있고 시골에는 공公이 계시구려.

澤堂 李植( 택당 이식). 歸休亭八景 5(귀휴정팔경 5) 귀휴정 주변 여덟 군데의 경치

澤堂 李植( 택당 이식).    歸休亭八景 5(귀휴정팔경 5)귀휴정 주변 여덟 군데의 경치이치춘설(梨峙春雪) : 이치梨峙에 내리는 봄눈  群巒頃刻玉嶙峋 (군만경각옥린순)여러 산봉우리가 순식간瞬息間에 옥玉으로 덮여 겹겹이 우뚝하고 萬樹繁華別樣春 (만수번화별양춘)수많은 나무들이 찬란燦爛하게 빛나니 특별한 봄이로다. 爲報東風且相貸 (위보동풍차상대)봄바람에게 알리니, 조금만 천천히 오시구려. 山陰疑有榜船人 (산음의유방선인)산음山陰 땅에 아마도 배 타고 노 젓는 사람 있을 것이니……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上冠岳山 戀主臺 (상관악산연주대) 관악산 연주대에 올라

玉潭 李應禧(옥담 이응희).   上冠岳山 戀主臺 (상관악산연주대)관악산 연주대에 올라 攀巖捫壁陟崔嵬(반암문벽척최외)바위와 벼랑을 더위잡고 높고 험한 산을 오르며 來上靈珠上上臺(래상령주상상대)가장 높은 영주대 위에 올라왔네 想得去天應不遠(상득거천응불원)생각해 보니 하늘이 마땅히 멀지 않으리라 仰看頭上有三台(앙간두상유삼대)우러러보니 머리 위에 삼태성이 있구나

農巖 金昌協(농암 김창협). 過車踰嶺歷茂山至會寧 7수 (과차유령역무산지회령 7수). 차유령을 지나 무산을 거쳐 회령에 이르다

農巖 金昌協(농암 김창협).   過車踰嶺歷茂山至會寧 7수(과차유령역무산지회령 7수)차유령을 지나 무산을 거쳐 회령에 이르다 [ 제 1 수 ]豆滿江南車嶺北 (두만강남거령북)두만강豆滿江 남쪽이요, 차유령車踰嶺 북쪽穹廬甌脫舊成羣 (궁려구탈구성군)몽고족蒙古族과 흉로족匈奴族이 그 옛날 무리 지어 살았지.聖朝拓地看何似 (성조척지간하사)우리 왕조王朝가 변경邊境을 개척開拓한 성과成果가 어떠한가.靺鞨遺墟稼似雲 (말갈유허가사운)말갈족靺鞨族의 옛터에 벼 이삭이 구름 같구나.  [ 제 2 수 ]英廟初恢六鎭日 (영묘초회육진일)세종世宗께서 처음 육진六鎭을 개척開拓할 때 金公經略亦雄哉 (김공경락역웅재)김종서 공金宗瑞公의 다스림 또한 뛰어났네.不知此地何緣棄 (부지차지하연엽)이 땅이 무슨 까닭으로 버려졌는지 알지 못하지만直到如今荊棘開..

서체별 병풍 2025.04.10

澤堂 李植( 택당 이식). 度鐵嶺四絶 (도철령사절 ) 철령을 넘으며 지은 절구 네 수

澤堂 李植( 택당 이식).    度鐵嶺四絶 (도철령사절 )철령을 넘으며 지은 절구 네 수 [ 제 1 절 ]萬穴風雷隘 (만혈풍뇌애)수많은 구멍이 울부짖는 듯 우레 같은 바람 몰아치는데孤峯日月回 (고봉일월회)외따로 떨어져 있는 산봉우리에 해와 달만 오가네.咸關更何許 (함관경하허)함경도咸鏡道 관문關門은 어디에 있나 했더니西指墨雲堆 (서지묵운퇴)서쪽으로 먹구름 몰려 있는 곳을 가리키네. [ 제 2 절 ]百折緣崖轉 (백절연애전)깎아지른 벼랑 따라 구불구불 굽은 길風雲在上頭 (풍운재상두)머리 위에는 바람과 구름뿐.憑高錯回望 (빙고착회망)높은 곳에 올라 여기저기 둘러봐도何處是神州 (하처시신주)어디가 서울인지 알 수 없네. [ 제 3 절 ]爲問壟頭水 (위문롱두수)묻고 싶네, 이런 산골에 흐르는 물이何能達漢江 (하능달한..

서체별 병풍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