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 노봉 김극기(1150) 41

老蜂 金克己(노봉 김극기). 黃山江(황산강) 황산강

老蜂 金克己(노봉 김극기). 黃山江(황산강) 황산강 起餐傳舍曉渡江(기찬전사효도강) : 주막에서 밥 먹고 새벽에 강 건너려니 江水渺漫天滄茫(강수묘만천창망) : 강물은 아득하고 하늘은 푸르고도 넓구나 黑風四起立白浪(흑풍사기입백랑) : 검은 바람 사방에서 일어나니 흰 물결 치솟고 舟與黃山爭低昻(주여황산쟁저앙) : 출렁이는 물결에 배와 황산이 다투듯 낮아고 높아지네 津人似我履平地(진인사아리평지) : 나루터 사공은 내가 평지 걸어가듯 배 저어가며 一棹漁歌聲長短(일도어가성장단) : 노를 저어 뱃노래로 장단 맞추네 十生九死到前岸(십생구사도전안) : 구사일생 겨우 강 언덕에 이르니 槐柳陰中村徑荒(괴류음중촌경황) : 느티나무와 버드나무 그늘 속에 거친 시골길이 보이네

老蜂 金克己(노봉 김극기). 草堂書懷(초당서회)초당에서 회포를 적다

老蜂 金克己(노봉 김극기). 草堂書懷(초당서회) 초당에서 회포를 적다 蕭條白屋鬢成絲(소조백옥빈성사) : 초라한 초가집 살며 귀밑머리 다 세었네 世上升沈已可知(세상승침이가지) : 세상 성쇠도 이미 다 알고있소 南阮定應輕北院(남완정응경북원) : 남쪽의 완함이 북쪽의 완적을 얕잡은들 東施那復效西施(동시나복효서시) : 동방의 서시가 어찌 진짜 서시를 닮으리 預愁直道遭三黜(예수직도조삼출) : 곧은 도리 쫓겨날까 미리 근심하여 先把狂歌賦五噫(선파광가부오희) : 맨 먼저 미친 노래로 탄식의 노래 지어본다 誰識靜中閑味永(수식정중한미영) : 고요함 가운데의 한가 맛이 오래감을 그 누가 알아 典書沽酒醉吟詩(전서고주취음시) : 책 팔아 술 사와 취하여 시 읊을까

老蜂 金克己(노봉 김극기). 村 家(촌 가)시골 마을

老蜂 金克己(노봉 김극기). 村 家(촌 가)시골 마을 靑山斷處兩三家(청산단처양삼가) : 푸른 산 다한 곳에 두세 채 초가집 抱隴縈廻一傾斜(포롱영회일경사) : 언덕 끼고 돌아가는 비탈진 오솔길 讖雨廢地蛙閣閣(참우폐지와각각) : 때늦은 비에 웅덩이 개구리 개골개골 相風高樹鵲査査(상풍고수작사사) : 높은 나무 맞바람에 까치가 까악까악 境幽楊巷埋荒草(경유양항매황초) : 조용한 마을 버드나무 거리, 황폐한 풀 속에 묻혀있고 人寂柴門掩落花(인적시문엄낙화) : 사람 드문 사립문은 지는 꽃잎에 가려있네 塵外勝遊聊自適(진외승유료자적) : 별천지 선경을 나만이 즐기자니 笑他奔走覓紛華(소타분주멱분화) : 명리 찾아 분주한 사람들 우습구려

老蜂 金克己(노봉 김극기). 胡家務館次途中韻(호가무관차도중운) 아침에 송무관에서

老蜂 金克己(노봉 김극기). 胡家務館次途中韻(호가무관차도중운) 아침에 송무관에서 去家才一月(거가재일월) 지 떠난지 이제 겨우 한 달 茫若隔三年(망약격삼년) 삼 년 지난 것처럼 아득하구나 客路天低處(객노천저처) 나그네 갈 곳 하늘 나직한 저 곳인데 鄕心日出邊(향심일출변) 그리운 고향은 해 돋는 그 곳이네 病妻應自苦(병처응자고) 병들은 아내는 고생할 것 뻔하고 嬌子有誰憐(교자유수련) 어여쁜 자식은 누가 있어 보살피랴 學道元無累(학도원무루) 배운 것 원래 죄가 아니건만 今朝忽慘然(금조홀참연) 오늘 아침 갑자기 처량해 진다

老蜂 金克己(노봉 김극기). 仍弗驛(잉불역) 잉불역

老蜂 金克己(노봉 김극기). 仍弗驛(잉불역) 잉불역 悠悠山下驛(유유산하역) 아득한 산 아래 작은 역 信轡詠凉天(신비영량천) 말 가는대로 맞겨 차가운 가을에 시를 읊으며 길을 가네 水有含芒蟹(수유함망해) 물에는 벼 까끄라기 먹은 게가 있는데 林無翳葉蟬(림무예엽선) 숲에는 어두운 잎에 가린 매미도 없네 溪聲淸而雨(계성청이우) 개울물 흐르는 소리 맑아 비 내린 듯 하고 野氣淡如煙(야기담여연) 들판의 기운 담담하여 안개 낀 듯 자욱하네 入夜投孤店(입야투고점) 밤 되어 외딴 주막에 드니 村夫尙未眠(촌부상미면) 시골 아저씨 아직 잠들지 않고 나를 맞아주네

老蜂 金克己(노봉 김극기). 過東峯館河橋(과동봉관하교) 연봉관 하교를 지나며

老蜂 金克己(노봉 김극기). 過東峯館河橋(과동봉관하교) 연봉관 하교를 지나며 簇簇難峯間(족족난봉간) : 여기저기 솟은 봉우리 사이로 虹橋跨碧灣(홍교과벽만) : 무지개 다리 푸른 물굽이에 걸려있네 雪寒愁北去(설한수북거) : 눈발 차서 북으로 가는 일 근심되더니 風暖喜東還(풍난희동환) : 따뜻한 봄바람에 기뻐 동으로 돌아온다 宿冬碎圭壁(숙동쇄규벽) : 얼었던 얼음은 옥돌 벽처럼 부서지고 驚灘鳴佩還(경탄명패환) : 놀란 여울물 옥같이 맑은 소리내며 흐르네 鄕心催縱轡(향심최종비) : 집 생각에 말고삐 잡아대니 未暇弄潺湲(미가농잔원) : 잔잔한 물길에 눈 돌릴 여유 없네

老蜂 金克己(노봉 김극기). 使金過兎兒島鎭寧館(사금과토아도진녕관)금나라에 사신길에 토아도 진녕관을 니나며

老蜂 金克己(노봉 김극기). 使金過兎兒島鎭寧館(사금과토아도진녕관) 금나라에 사신길에 토아도 진녕관을 니나며 ​前道餘幾里(전도여기리) : 갈 길은 몇 리나 남았는지 晩色漸微茫(만색점미망) : 날은 점점 어두워지네 天外北風黑(천외북풍흑) : 하늘 밖 저 멀리 북풍은 검게 몰려오고 地中西日黃(지중서일황) : 땅은 온통 황혼 빛 婦人能走馬(부인능주마) : 아낙네들 말 타고 달릴 줄 알고 童子解騎羊(동자해기양) : 아이들도 양을 타네 一曲梅花落(일곡매화락) : 매화락 한 곡조 聲聲斷客腸(성성단객장) : 소리마다 나그네 간장 다 끊는다

老蜂 金克己(노봉 김극기). 朝宋務舘次途中韻(조송무관차도중운) 아침에 송무관에서

老蜂 金克己(노봉 김극기). 朝宋務舘次途中韻(조송무관차도중운) 아침에 송무관에서 去家才一月(거가재일월) : 집 떠난 지 이제 겨우 한 달 茫若隔三年(망약격삼년) : 삼 년 지난 것처럼 아득하구나 客路天低處(객노천저처) : 나그네 갈 곳, 하늘 나직한 저 곳인데 鄕心日出邊(향심일출변) : 그리운 고향은 해 돋는 그 곳이네 病妻應自苦(병처응자고) : 병들은 아내는 고생할 것 뻔하고 嬌子有誰憐(교자유수련) : 어여쁜 자식은 누가 있어 보살피랴 學道元無累(학도원무루) : 배운 것 원래 죄가 아니건만 今朝忽慘然(금조홀참연) : 오늘 아침 갑자기 처량해진다

老蜂 金克己(노봉 김극기). 鴨江西岸望統軍峯(압각서안망통군봉) 압록강 서쪽 기슭에서 통군봉을 바라보며

老蜂 金克己(노봉 김극기). 鴨江西岸望統軍峯(압각서안망통군봉) 압록강 서쪽 기슭에서 통군봉을 바라보며 龍灣轉處保州城(룡만전처보주성) 용만이 휘도는 곳 보주성이라 馬上遙瞻眼更明(마상요첨안경명) 말 위에서 멀리 바라보니 눈이 더욱 밝고나 珍重統軍峯一朶(진중통군봉일타) 보배롭다 통군봉 한 떨기여 隔江奔走笑相迎(격강분주소상영) 강을 격해 분주히 웃으며 맞아주네

老蜂 金克己(노봉 김극기). 書 齋 (서 재) 독서실

老蜂 金克己(노봉 김극기). 書 齋 (서 재) 독서실 殘花滿眼嬾擡頭(잔화만안란대두) 남은 꽃 눈에 가득 게으르게 고갤드니 客思悲於落木秋(객사비어락목추) 손의 마음 슬프기가 잎 지는 가을보다 더하이 安得倒江供日飮(안득도강공일음) 어쩌면 강물 기울여(술로 변하여) 나날이 마시고 爛隨蜂鳥鬪喧啾(난수봉조투훤추) 취하여 벌과 새를 따라 떠들고 지저귐을 다투어 볼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