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360

許蘭雪軒(허난설헌). 夜夜曲(야야곡) 깊은 밤의 노래

許蘭雪軒(허난설헌). 夜夜曲(야야곡) 깊은 밤의 노래 玉淚微微燈耿耿(옥루미미등경경) : 옥 같은 눈물 찌금찌금 , 등잔불 깜박깜박 羅瑋寒幅秋宵永(라위한폭추소영) : 비단 휘장 싸늘하고 가을밤은 길기도 하다 邊衣裁罷剪刀冷(변의재파전도냉) : 변방에 보낼 옷 다 짓고 나니, 싸늘해진 가위 滿窓風動芭蕉影(만창풍동파초영) : 바람 따라 움직이는 파초 그림자만이 창을 채우네

醉翁 歐陽脩 (취옹 구양수). 畵眉鳥(화미조)카나리아

醉翁 歐陽脩 (취옹 구양수). 畵眉鳥(화미조)카나리아 百囀千聲隨意移(백전천성수의이) 마구 지저귀고 온갖 소리를 내며 마음대로 옯겨 다니네 山花紅紫樹高底(산화총자수고저) 울긋불긋한 산꽃과 높고 낮은 나무를 始知鎖向金籠聽(시지쇄향금롱청) 이제야 알겠네 금새장 속에 갇혀 우는 새소리가 不及林間自在啼(불급임간자재제) 숲 속에서 마음대로 우느 새소리만 못함을

玉谿生 李商隱(옥계생 이상은). 偶 題(우 제)우연히 짓다

玉谿生 李商隱(옥계생 이상은). 偶 題(우 제)우연히 짓다 水亭閑眠微醉消(수정한면미취소) : 물가 정자에서 한가한 잠에 술이 깨어 小榴海柏枝相交(소류해백지상교) : 작은 석류나무와 측백나무 가지가 엉겨있다. 水紋簟上琥珀枕(수문점상호박침) : 물결 무늬 대자리, 호박으로 만든 베개 傍有墮釵雙翠翹(방유타채쌍취교) : 곁에 떨어진 비녀, 한 쌍의 비취빛 취교 비녀.

香山居士 白居易(향산거사 백거이). 夜 雨 (야 우) 밤비

香山居士 白居易(향산거사 백거이). 夜 雨 (야 우) 밤비 早蛩啼復歇(조공제복헐) : 초가을 귀뚜라미 울다가 그치고 殘燈滅又明(잔등멸우명) : 새벽등불 꺼질 듯 다시 밝아진다. 隔窓知夜雨(격창지야우) : 창밖에 밤비 내리는 줄 아는데 芭蕉先有聲(파초선유성) : 파초가 먼저 빗방울소리 듣는다.

少陵 杜甫(소릉 두보). 春水生二絶 (춘수생이절 )봄물이 생겨나

少陵 杜甫(소릉 두보). 春水生二絶 (춘수생이절 )봄물이 생겨나 제1절 二月六夜春水生(이월륙야춘수생) : 이월 초엿새 밤에 봄물이 불어나 門前小灘渾欲平(문전소탄혼욕평) : 문 앞에 조그만 여울이 평평해 진려한다. 鸕鶿鸂鶒莫漫喜(로자계칙막만희) : 가마우지와 자원앙이여, 공연히 혼자 기뻐말라 吾與汝曹俱眼明(오여여조구안명) : 나도 네희 무리들과 같이 눈이 밝아지는구나. 제2절 一夜水高二尺强(일야수고이척강) : 하룻밤에 물 높이가 두자 정도 높아지니 數日不可更禁當(삭일부가경금당) : 몇일이면 가히 더 이상 이기지 못하리라. 南市津頭有船賣(남시진두유선매) : 남쪽 시장 나룻머리에 배 팔 사람 있겠지만 無錢卽買繫籬旁(무전즉매계리방) : 바로 사서 울타리에 매어놀 돈이 전혀 없어라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魯中都東樓醉起作(노중도동루취기작)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魯中都東樓醉起作(노중도동루취기작) 노 중도의 동루에서 취하여 일어나 짓다 昨日東樓醉(작일동루취) : 어제는 동루에서 취했으니 還應倒接䍦(환응도접리) : 분명히 두건을 거꾸로 써고 쓸어졌을 것이다 阿誰扶馬上(아수부마상) : 누가 나를 부축하여 말에 태웠나 不省下樓時(불성하루시) : 동루를 내려온 때가 생각나지 않은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