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매월당 김시습(1435) 99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古風十九首(고풍십구수)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古風十九首(고풍십구수) 始皇倂六國(시황병육국) : 진시황 여섯 나라를 삼키니 時號爲强秦(시호위강진) : 그 때 사람들이 强秦이라 하였네 焚蕩先王書(분탕선왕서) : 선왕들의 책을 불살라 버리니 四海皆鼎新(사해개정신) : 온 세상이 다 세로와 졌었지 自稱始皇帝(자칭시황제) : 스스로 시황제라 치아니 率土皆稱臣(솔토개칭신) : 천하 백성이 신하가 되었네 防胡築長城(방호축장성) : 오랑캐를 막고 만리장성을 쌓고 望海勞東巡(망해노동순) : 바다 보려 수고로이 동쪽 땅 돌기도 했어라 驪山宮闕壯(려산궁궐장) : 여산 궁궐은 장대하고 複道橫高旻(복도횡고민) : 낭하가 높은 하늘 가로질렀지만 楚人一炬後(초인일거후) : 초나라 사람 한 번 올린 횃불에 空餘原上塵(공여원상진) : 언덕 위에..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月夜獨步庭中(월야독보정중)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月夜獨步庭中(월야독보정중) 滿身風露正凄凄(만신풍로정처처) : 몸에 가득한 바람과 이슬 쓸쓸하기만 한데 夜半鐘殘斗已西(야반종잔두이서) : 깊은 밤, 종소리 잦아들고 북두성은 서쪽으로 기운다 松鶴有機和月唳(송학유기화월려) : 소나무에 앉은 학 마음 있어 달에 화답하여 울고 草蟲牽恨向人啼(초충견한향인제) : 풀벌레 한에 끌리어 사람 향해 우는구나 半窓孤枕燈花落(반창고침등화락) : 홀로 누운 창에 등불 불꽃이 떨어지고 幽樹一庭簾影低(유수일정렴영저) : 나무 그윽한 뜰에 발 그림자 나직하구나 侍者正眠呼不起(시자정면호불기) : 시중 드는 이, 바로 잠 들어 불러도 일어나지 않고 好詩吟了便旋題(호시음료편선제) : 좋은 시 읊고나서 바로 시 제목 생각해본다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海 月(해월) 바다위 달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海 月(해월) 바다위 달 年年海月上東陬(연년해월상동추) : 해마다 바닷달 동켠에서 떠올라 來我床前遺我愁(내아상전유아수) : 내 평상으로 와 근심을 가져주네 萬里更無纖翳隔(만리갱무섬예격) : 만리장공에 조금도 막히는 것 없어 一天渾是玉壺秋(일천혼시옥호추) : 온 하늘이 모두 옥병같은 가을이로다 秦宮漢苑人橫笛(진궁한원인횡적) : 진나라 궁궐과 한나라 정원에서 피리 부는 사람 楚水吳江客艤舟(초수오강객의주) : 초나라 오나라 강가에서 배를 대는 나그네 離合悲歡應共伴(이합비환응공반) : 만나고 헤어짐과 슬퍼하고 기뻐함 함께 하리니 停杯且莫問從由(정배차막문종유) : 잠시 술잔을 멈추고 그 이유를 묻지 말아라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壯 志(장지)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壯 志(장지) 壯志桑弧射四方(장지상호사사방) : 큰 뜻으로 뽕나무 활 사방에 쏘면서 東丘千里負淸箱(동구천리부청상) : 동쪽나라 천리길 푸른 상자지고 다녔네 欲參周孔明仁義(욕참주공명인의) : 조공과 공자에 참여하여 인의를 밝히며 又學孫吳事戚揚(우학손오사척양) : 또 손자와 오기의 병법을 배워 척야의 무술 익혔네 運到蘇秦懸相印(운도소진현상인) : 우수가 닿으면 소진처럼 정승이 되고 命窮正則賦離騷(명궁정칙부이소) : 운명이 궁하면 정칙처럼 이소경이나 지으리 如今落魄無才思(여금낙백무재사) : 지금은 낙백하여 한 치의 재사도 없으니 曳杖行歌類楚狂(예장행가류초광) : 지팡이 끌고 노래하기가 초나라 광접여와 같네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喜 晴(희청) 희청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喜 晴(희청) 희청 昨夜屢陰晴(작야루음청) : 어제밤 여러 번 흐렸다가 날이 개니 今朝喜見日(금조희견일) : 오늘 아침 해를 보니 기쁘기만 하다 陰陰夏木長(음음하목장) : 여름 나무는 자라서 그늘지고 嘒嘒鳴寒蚻(혜혜명한찰) : 가을을 알리는 매미는 쓰르르 울어댄다 樹有櫟與樗(수유력여저) : 나무로는 가죽나무와 참나무가 있고 穀有稗與糲(곡유패여려) : 곡식에는 피와 조가 있도다 世我苦相違(세아고상위) : 세상과 나는 괴롭게도 서로 어긋나고 年來添白髮(년래첨백발) : 나이는 많아져 백발이 늘어난다 開襟納新凉(개금납신량) : 옷깃을 헤치고 새로이 시원함 드니 淸風轉颷䬍(청풍전표䬍) : 맑은 바람 더욱 휘몰아 부는구나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古廟空山裏(고묘공산리) 옛 사당이 빈 산 속에 있어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古廟空山裏(고묘공산리)옛 사당이 빈 산 속에 있어김시습은 마을 사람들이 산신을 위해 제사 지내는 잔치를 이렇게 묘사했다. 古廟空山裏(고묘공산리)옛 사당이 빈 산 속에 있어春風草樹香(춘풍초수향)봄바람에 초목이 향기롭다.煙雲增壯氣(연운증장기)안개구름은 봄기운을 더하고雷雨助威光(뇌우조위광)우레와 비는 봄 신의 위엄을 돕는데缶鼓祈年樂(부고기년악) 장구와 북으로 일 년 평안을 기원하고豚蹄祝歲穰(돈제축세양) 돼지 다리로는 풍년 들기를 비누나老翁扶醉返(노옹부취반) 노인들 취해 부축 받아 돌아가고白酒瀝神床(백주력신상) 흰 술은 신당 제상에 흥건하여라.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興義館同野人宿(흥의관동야인숙) 홍의관에서 야인과 묵다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興義館同野人宿(흥의관동야인숙) 홍의관에서 야인과 묵다 異言憑寄譯(이언빙기역) : 야인의 통하지 않는 말 통역으로 들어보니貉道尙夷平(맥도상이평) : 오랑캐의 도리도 편하고 태평함을 좋아한다네皮服圍金帶(피복위김대) : 가죽옷에 금띠를 두르고毛冠嚲玉纓(모관타옥영) : 털모자에 옥끈이 늘어져 있었다네常爲步卒罵(상위보졸매) : 언제나 병졸들의 욕 먹으며又喜叱呵聲(우희질가성) : 꾸짓고 호령함을 좋아하였네夜半侏離甚(야반주리심) : 밤 깊어 어릿광대노릇 심하게 하고張拳亦可驚(장권역가경) : 주먹을 걷어붙이니 또한 놀랄만도 하였네.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암두(巖竇) 바윗굴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암두(巖竇) 바윗굴 煙生巖竇深(연생암두심) : 연기 나는 바윗굴 깊기도 한데禪榻護檉林(선탑호정림) : 참선하는 걸상 호위하는 위성버들 숲.不許俗塵雜(부허속진잡) : 티끌 세상에 섞이는 것 허락지 않아多爲猿鳥尋(다위원조심) : 대개는 잔나비와 산새 찾게 된다.苔侵一逕細(태침일경세) : 이끼가 침범해 길은 온통 좁아지고雲擁半山陰(운옹반산음) : 구름이 가리워 산의 절반이 그늘진다.誰識有嘉遯(수식유가둔) : 도 지켜 숨어 삶을 그 누가 알랴已忘生滅心(이망생멸심) : 생과 멸을 생각하는 마음 벌써 잊었다.

김시습(金時習). 분죽(盆竹) 화분 속 대나무

김시습(金時習).   분죽(盆竹) 화분 속 대나무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爲憐貞節操(위련정절조) : 정절과 지조가 애련하여種得小瓦盆(종득소와분) : 작은 흙 화분에 심었어라.玲瓏如有態(령롱여유태) : 영롱하여 자태가 있는 듯瀟洒又無煩(소쇄우무번) : 산뜻하여 번거로움 없어라.嫋嫋風吹動(뇨뇨풍취동) : 산들산들 바람에 불리고漙漙露滴飜(단단로적번) : 방울방울 이슬에 뒤치는구나.誰知一撮土(수지일촬토) : 누가 알리오, 한 줌 흙 속逬却化龍根(병각화용근) : 뻗어 나와 용 될 뿌리 있음을.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만유(漫遊) 마음대로 놀다

梅月堂 金時習(매월당 김시습).    만유(漫遊) 마음대로 놀다 川澤遨遊慣(천택오유관) : 자연에 노는 것 버릇 되어紅塵夢已忘(홍진몽이망) : 세상의 꿈은 이미 잊었다오如童放學館(여동방학관) : 아이들 학관에서 방학한 듯 하고似馬走毬場(사마주구장) : 말이 격구장을 달리는 듯 하다오屐齒遍山麓(극치편산록) : 나막신 신고 산기슭 두루 다녀新詩盈草堂(신시영초당) : 새로 지은 시가 초가에 가득하다後人應笑我(후인응소아) : 후세 사람들 나를 비웃을 것이니天地一淸狂(천지일청광) : 천지간에 한 멀쩡한 미치광이 있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