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읍취헌 박은(1479) 59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次韻題中朝鄕貢進士(차운제중조향공진사)중조의 향공진사 차운하여 적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次韻題中朝鄕貢進士(차운제중조향공진사) 중조의 향공진사 차운하여 적다 吾聞有道士(오문유도사) 내 듣건대 도가 있는 선비는 自然秀群穢(자연수군예) 자연히 뭇 사람들 중에 빼어나 光華雖欲晦(광화수욕회) 그 광채를 아무리 숨기고자 해도 粹盎見眉黛(수앙견미대) 덕성의 기상이 눈썹에 드러나는법 一見令人驚(일견령인경) 한 번만 보면 사람들이 절로 놀라니 玆事曠前載(자사광전재) 이런 일은 옛날에도 드문 것이지 沐芳勤三熏(목방근삼훈) 향초로 머리 감고 세 번 향기 쐬고 採蘭紉爲佩(채란인위패) 난초를 꺾어 엮어서 허리에 차노니 立身皎如此(입신교여차) 입신의 맑고 깨끗함이 이와 같으면 百年寡尤悔(백견가우회) 백년 평생에 허물과 후회가 적으리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對月有感寄擇之(대월유감기택지) 달보고 감회일어 택지에게 보낸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對月有感寄擇之(대월유감기택지) 달보고 감회일어 택지에게 보낸다 佳期眞有數(가기진유수) 좋은 만남은 참으로 운수에 달린 것 人力故難爭(인력고난쟁) 인력으로는 본디 어찌하기 어려운 법 湖海空陳迹(호해공진적) 강호는 속절없이 묵은 자취로 남고 光陰已自驚(광음이자경) 광음은 빨리도 흘러 깜짝 놀라는 구나 寒從人日減(한종인일감) 추위는 인일로부터 줄어들고 月過上弦明(월과상현명) 달은 상현을 지나 밝아 지누나 未用憂僮僕(미용우동복) 동복이 없을까 걱정할 필요는 없으니 應門守二更(응문수이경) 내가 밤새도록 문에 서서 그대를 기다릴테니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題翫月錄後(제완월록후) 완월록 의 뒤에 쓰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題翫月錄後(제완월록후) 완월록 의 뒤에 쓰다 ​​ 中秋一尊酒(중추일존주) 중추절에 술 한 잔 하면서 看月供招邀(간월공초요) 달구경하자 초대했었지 九日數枝菊(구일수지국) 중양절엔 국화 가지 꺽어 登高還寂寥(등고환적요) 높은 곳에 올랐으나 외려 적요하구나 事如飛鳥散(사여비조산) 세상사 나는 새 흩어지듯 興復與年銷(흥부여연소) 홍도 세월이 갈수록 사그라진다네 獨坐披塵簡(독좌치진간) 홀로 앉아 묵은 책 펼치니 愁來自不聊(수래자불료) 시름에 겨워 절로 무료 하구나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五言律詩(오언율시)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五言律詩(오언율시) 寒比前宵甚(한비전소심) 추위는 어제 밤보다 더 심하고 風從五鼓吹(풍종오고취) 바람은 오경부터 불었네 隣鷄應廢曉(린계응폐효) 이웃 닭이 새벽을 알리는데 宿鳥未安枝(숙조미안지) 자는 새도 가지가 편치 않았으리 多怪侵牕影(다괴침창영) 창문 그림자에 보이는 것이 괴이한데 稀聞落地時(희문락지시) 땅에 떨어져도 소리 거의 들리지 않네 來年占大熟(래년점대숙) 올해 점괘도 아주 좋아지겠는데 夜雪不兒知(야설불아지) 밤새 눈 온 것 아이들만 모르리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雨中感懷有作投擇之(우중감회유작투택지)비 내리는 날에 택지의 시를 회상하며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雨中感懷有作投擇之(우중감회유작투택지) 비 내리는 날에 택지의 시를 회상하며 ​​ 早歲欲止酒(조세욕지주) : 젊어선 술을 끊으려 했으나 中年喜把酒(중년희파주) : 중년이 되어 술을 더 좋아하게 되네 此物有何好(차물유하호) : 이 물건이 어찌 좋은 점이 있을까 端爲胸崔嵬(단위흉최외) : 사실은 가슴 속에 치밀어 오르는 것이 있어서겠지 山妻朝報我(산처조보아) : 처가 아침에 말하기를 小甕潑新醅(소옹발신배) : 작은 단지에 새 술이 익었다고 하네 獨酌不盡興(독작불진흥) : 혼자 마시니 흥이 다하지 않아 且待吾友來(차대오우래) : 내 친구 찾아오기를 기다리려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雨中有懷擇之(우중유회택지) 우중에 택지를 그리워하며​​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雨中有懷擇之(우중유회택지) 우중에 택지를 그리워하며 ​​ 寒雨不宜菊(한우불의국) : 내리는 차가운 비는 국화에 좋지 않은데 小尊知近人(소존지근인) : 작은 술항아리는 사람을 가까이 할 줄 안다. 閉門紅葉落(폐문홍엽락) : 문을 닫고 있으니 단풍은 지고 得句白頭新(득구백두신) : 시구를 짓고 나니 흰 머리 새롭구나. 歡憶情親友(환억정친우) : 지난 추억 즐겁고 정든 친한 친구 그리워 愁添寂寞晨(수첨적막신) : 시름은 적막한 새벽에 더욱 짙어지는구나. 何當靑眼對(하당청안대) : 어찌 마땅히 푸른 눈으로 마주 보면서 一笑見陽春(일소견양춘) : 한 번 웃으며 따뜻한 봄을 맞지 않으리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萬里瀨二首 2(만리뢰이수 2) 만리뢰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萬里瀨二首 2(만리뢰이수 2) 만리뢰 醉嚼巖間雲(취작암간운) : 술에 취하여 바위 사이의 눈을 씹으며 狂遺頭上巾(광유두상건) : 미친 듯 머리 위의 수건을 빠뜨렸도다. 時應投懶散(시응투나산) : 때는 응당 하염없이 보냈지만 境自着淸眞(경자착청진) : 경계는 스스로 맑고도 진실함을 가졌도다. 澗曲音生石(간곡음생석) : 골짜기에 흐르는 물은 굽이쳐 돌에 부딪혀 소리 나고 松高影落茵(송고영락인) : 소나무 높아 그림자가 자리에 떨어진다. 小詩偸勝景(소시투승경) : 졸작의 내 시로 좋은 경치 훔쳐왔으니 君婦豈余嗔(군부기여진) : 그대 부인인들 어찌 내게 화를 내겠는가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萬里瀨二首 1(만리뢰이수 1)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萬里瀨二首 1(만리뢰이수 1) 大隱巖前雪(대은암전설) : 대은암 앞의 눈도 春來又一奇(춘래우일기) : 봄이 오면 또 하나의 기이한 경치가 된다. 偶因淸興出(우인청흥출) : 우연히 맑은 흥이 솟아났지만 不與主人期(불여주인기) : 주인과 함께 약속한 것도 아니네. 獨立鳴禽近(독립명금근) : 혼자 섰으매 우짖는 새 가까이 오고 長吟下筆遲(장음하필지) : 오래도록 읊어보니 붓 들기가 더디구나. 君家容放曠(군가용방광) : 그대 집에서는 방광함을 받아드리지만 却恐駭今時(각공해금시) : 요즈음 세상 놀래게 할까 도리어 두렵다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宿三田渡(숙삼전도)삼전도에 묵으며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宿三田渡(숙삼전도) 삼전도에 묵으며 ​​ 寓庵初被酒(우암초피주) : 우암에서 처음 술에 취하여 箭串晩乘風(전곶만승풍) : 전곶에서 저녁에 바람을 맞는다. 白雨時時墜(백우시시추) : 흰 빗발은 때때로 떨어지고 黃花處處同(황화처처동) : 누런 꽃은 가는 곳마다 같구나. 詩篇半行李(시편반행리) : 시를 지은 종이는 가방에 반이나 차고 秋色一蓑翁(추색일사옹) : 가을빛에 한 도롱이 쓴 늙은이 신세로다. 獨間漁村宿(독간어촌숙) : 나 혼자 어촌을 찾아 묵어가자니 平江月影空(평강월영공) : 잔잔한 강물 위에 달그림자만 쓸쓸하도다

挹翠軒 朴 誾(조은 박은). 曉 望 (효 망)새벽에 바라보다

挹翠軒 朴 誾(조은 박은). 曉 望 (효 망) 새벽에 바라보다 ​​ 曉望星垂梅(효망성수매) : 새벽에 바라보니 별이 바다로 떨어지고 樓高寒襲人(누고한습인) : 누대는 높아 찬 기운 사람을 덮쳐온다 乾坤身外大(건곤신외대) : 몸 밖으로 천지는 거대하고 鼓角坐來頻(고각좌래빈) : 피리소리는 앉은 자리로 자주 불어든다 遠岫看如霧(원수간여무) : 멀리 산 굴은 안개에 싸여 喧禽覺已春(훤금각이춘) : 요란한 새소리 이미 봄이 되었구나 宿醒應自解(숙성응자해) : 잠 깨면 마땅히 저절로 알게되리니 詩興漫相因(시흥만상인) : 시흥이 부질없이 떠오르기 때문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