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읍취헌 박은(1479) 59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答前日七篇之惠(답전일칠편지혜) 전일 칠편의 은혜에 답하여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答前日七篇之惠(답전일칠편지혜) 전일 칠편의 은혜에 답하여 ​​​​ 材未能乘障(재미능승장) : 내 재능으로 수레 타지 못하고 智不如挈壺(지불여설호) : 내 지혜는 설호보다 못하도다 脚底有危機(각저유위기) : 발밑에 위기가 닥쳐와도 直視而徑超(직시이경초) : 곧바로 앞만 보고 나가기만 했도다 秖今那更思(지금나경사) : 다만 지금 어찌 생각이나 하리 氷雪起髮膚(빙설기발부) : 온 몸에 눈과 얼음 치솟는구나 百畝苟可辦(백무구가판) : 백 이랑 밭만이라도 주어진다면 吾欲從田夫(오욕종전부) : 나는 저 농부따라 살고 싶어구나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送李擇之朝燕之行(송이택지조연지행) 이 택지가 연경 사신가는 것을 환송하며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送李擇之朝燕之行(송이택지조연지행) 이 택지가 연경 사신가는 것을 환송하며 ​​​ 煌煌象魏觀(황황상위관) : 휘황 찬란한 대궐 모습 縹緲雲漢上(표묘운한상) : 은하수 위에 아득하리라 文物百年煥(문물백년환) : 문물은 백년동안 빛나고 圭纁萬國王(규훈만국왕) : 규훈은 만국의 으뜸이로다 朝廷集鷺鸛(조정집로관) : 조정에 고관들 모여들어 佩裾聯揖讓(패거연읍양) : 신하들 의례 연이어지리 見子迭驚歎(견자질경탄) : 그대보고 모두들 경탄하리니 吾邦重瞻仰(오방중첨앙) : 우리나라 더욱 우르러 보리라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舟中望神勒寺(주중망신륵사) 배 안에서 신륵사를 바라보며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舟中望神勒寺(주중망신륵사) 배 안에서 신륵사를 바라보며 借問神勒寺(차문신륵사) : 신륵사가 어디냐고 물으니 直指黃驪江(직지황여강) : 바로 누런 여강을 가리킨다 灘聲近詩詠(탄성근시영) : 여울소리 가까이서 시를 읊는데 山色映篷窓(산색영봉창) : 산빛은 봉창을 비추어 온다 飛棹疾歸鳥(비도질귀조) : 빠른 노저음에 새들이 놀라는데 斜暉餘半杠(사휘여반강) : 석양은 다리에 반쯤 걸려있도다 奇遊元不約(기유원불약) : 멋진놀이 기약한 바 아니지만 勝絶舊無雙(승절구무쌍) : 뛰어난 풍광은 이전에 비할 바 없구나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與誠之飮翠軒(여성지음취헌) 성지와 취헌에서 술마시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與誠之飮翠軒(여성지음취헌) 성지와 취헌에서 술마시다 ​​ 坐伴孤燈影(좌반고등영) : 외로운 등불 친구 삼아 앉았다가 臥聽寒蟲音(와청한충음) : 누워서 구슬픈 벌레소리 듣노라니 更無人相對(경무인상대) : 상대할 사람은 아무도 없고 只有愁來尋(지유수래심) : 온갖 시름만 찾아든다 平生南畝約(평생남무약) : 평생 농사지으며 살자던 약속해 놓고 遽己罷瑟琴(거기파슬금) : 갑자기 아내 마저 죽어 떠나는구나 人名豈能久(인명기능구) : 사람 목숨 어찌 오래가랴 易竭如牛涔(이갈여우잠) : 소의 발자국 물처럼 쉽게 말라버리는 것을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贈止亭兼奉容齋(증지정겸봉용재) 지정에게 주어서 용제를 받들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贈止亭兼奉容齋(증지정겸봉용재) 지정에게 주어서 용제를 받들다 ​​ 京師塵霧中(경사진무중) : 서울은 먼지 안개속 阽隘難擧首(점애난거수) : 위태하여 머리들기 어렵소 北山水石勝(북산수석승) : 북쪽산 수석 좋은데 南家占十九(남가점십구) : 남가가 거의 다 차지했소 興來每獨往(흥래매독왕) : 흥 나면 매양 홀로 찾아가 索酒先呌吼(색주선규후) : 술 찾으며 먼저 고함쳤소 無主不加少(무주불가소) : 주인장 없어도 괜찮았고 有主不加厚(유주불가후) : 주인장 있어도 그저 그랬소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翠軒夜飮(취헌야음) 취헌에서 밤에 술마시며

​​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翠軒夜飮(취헌야음) 취헌에서 밤에 술마시며 早喜交情淡(조희교정담) : 일찍부터 정담 나누길 즐겨 今知此味甘(금지차미감) : 오늘에야 참맛 알게 되었네 月生前夜白(월생전야백) : 달은 어젯밤처럼 밝아오고 人復舊時三(인부구시삼) : 사람은 전처럼 다시 세 사람 子興侵佳句(자흥침가구) : 그대 흥취 싯구에 젖어들고 吾衰屬半酣(오쇠속반감) : 초췌한 나는 반쯤 취해 있다네 菊花眞不負(국화진불부) : 국화도 정녕 우릴 져버리지 않고 寒後更相參(한후경상참) : 찬바람 지난 뒤도 함께 있었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燈下醉書誾白擇之(등하취서은백택지) 등불 아래서 취하여 나를 적어 택지에게 알리다

​​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燈下醉書誾白擇之(등하취서은백택지) 등불 아래서 취하여 나를 적어 택지에게 알리다 我不如陶令(아불여도령) : 나는 도연명을 따르지 못하여 無心任去留(무심임거류) : 마음에 가고 머뭄을 맡기지 못하네 浮沈隨俗化(부침수속화) : 흥하고 망함이 세속따라 변하고 用舍與人謀(용사여인모) : 등용과 퇴출을 남들과 꾀한다네 殘夢驚千里(잔몽경천리) : 사라져 가는 꿈 천리밖서 놀라고 孤懷繞百憂(고회요백우) : 외로운 회포 온갖 근심 에워싼다 何當遂吾願(하당수오원) : 어찌하면 마땅히 내소원 이룰까 醉臥菊花秋(취와국화추) : 취하여 누워 국화꽃 가을을 느낀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癸丑移舟 2(계축이주 2) 계축에 배저어간다

​​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癸丑移舟 2(계축이주 2) 계축에 배저어간다 夜雨鳴蓬急(야우명봉급) : 밤비가 봉창을 급히 치더니 朝雲出壑新(조운출학신) : 골짜기에서 피어오르는 아침 구름 신선하여라. 磨舟石鑿鑿(마주석착착) : 배 바닥 부딪는 돌에 착착 뚫리는 소리나 媵客魚鱗鱗(잉객어린린) : 손님을 보내는 물고기들 비늘 소리 요란하다 敢有乘桴志(감유승부지) : 감히 떼 배 탈 마음을 있어서 長懷擊楫人(장회격즙인) : 오래도록 노 젓는 사람을 생각했노라. 夢中過上院(몽중과상원) : 꿈속에서 상원을 지나가니 暫眼失龍津(잠안실용진) : 어느새 내 시야에서 용진을 잃어버렸구나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癸丑移舟 1(계축이주 1) 계축에 배 저어간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癸丑移舟 1(계축이주 1) 계축에 배 저어간다 ​​ 山凝雨餘態(산응우여태) : 비온 뒤 산 자태 안개에 자욱하고 江湧風前浪(강용풍전랑) : 바람 앞에 물결은 강물에 솟구친다 遠樹自短短(원수자단단) : 멀리 보이는 나무들 작기도 한데 宿羽迷兩兩(숙우미량량) : 깃든 새들 쌍쌍이 날아 아물거린다 地接楊根郡(지접양근군) : 땅은 양근군에 인접했지만 舟移月溪上(주이월계상) : 월계 위를 배 저어 가노라 雲陰欲解駁(운음욕해박) : 음산한 구름 흩어지려는데 東眺日光盪(동조일광탕) : 동녘을 바라보니 햇빛 훤히 씻긴다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容齋對菊與擇之同賦 2 (용재대국여택지동부 2)

​​挹翠軒 朴 誾(읍취헌 박은). 容齋對菊與擇之同賦 2 (용재대국여택지동부 2) 용제 국화꽃을 마주하고 택지와 같이 짓다 吾生憂患後(오생우환후) : 나의 삶 우환을 겪은 후에 對酒轉悲傷(대주전비상) : 술을 대해도 마음만 상하는구나 忍與容齋叟(인여용재수) : 차마 용재 노인과 더불어 泛玆三徑香(범자삼경향) : 그윽한 향기 뛰워 마실 줄이야 作歡無舊興(작환무구흥) : 즐거워도 옛 흥취 전혀 없고 舒恨有新章(서한유신장) : 한 풀고자 새 시만 짓는구나 短僕能扶醉(단복능부취) : 어린 종이 취한 이를 부축하거니 黃昏路更茫(황혼로경망) : 황혼에 길은 더욱 아득하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