覺齋 何沆(각재 하항). 題松亭南澗(제송정남간) 覺齋 何沆(각재 하항). 題松亭南澗(제송정남간) 송정의 남쪽 산골짜기에서 제하다 爲瀉愁哀兩兩行(위사추애량량행) 시름과 슬픔 토하여 모두 흘려보내니 愁哀還激聽溪聲(수애환격청계성) 시름과 슬픔은 도리어 부딧혀 시내소리로 들린다. 歸來凝坐堪惆悵(귀래응좌감추창) 돌아와 단정히 앉으니 슬픈 견딜 만하고 耳在潺潺碧玉淸(이재잔잔벽옥청) 귀에는 물소리 남아 있어 벽옥처럼 맑아진다. 37) 각재 하항(1538) 2023.01.30
覺齋 何沆(각재 하항). 西臺八詠 第2首(서대팔영 2수) 覺齋 何沆(각재 하항). 西臺八詠 第2首(서대팔영 2수) 西山暮雨(서산모우) 一陰西鏖玉麻霏(일음서오옥마비) 한줄기 비 서쪽을 치니 고운 삼밭이 쏠리고 暝色生林不見輝(명색생림불견휘) 어둠 숲에서 머금어 햇빛은 보이지 않네 上面蒼蒼看帝面(상면창창간제면) 얼굴 들어 아득히 하늘을 바라보려고 主人要自啓松扉(주인요자계송비) 주인은 소나무 문을 열려 하네 37) 각재 하항(1538) 2023.01.23
覺齋 何沆(각재 하항). 西臺八詠 第1首(서대팔영 1수) 覺齋 何沆(각재 하항). 西臺八詠 第1首(서대팔영 1수) 淵嶽朝暾(연악조돈) 嶽雲朝散日飛空(악운조산일비공) 산의 구름 아침에 흩어지자 해는 솟고 萬像虛明淑氣濃(만상허명숙기농) 온갖 모습 연못에 비치며 맑은 기운이 짙었구나 報道主人黃道去(보도주인황도거) 주인이 말하기를, 해가 궤도에 오르면 靈臺看了一輪紅(령대간료일륜홍) 정자에서 연못에 비치는 둥근 해를 보리라 말한다. 37) 각재 하항(1538) 2023.01.17
覺齋 何沆(각재 하항). 題松亭南澗(제송정남간) 覺齋 何沆(각재 하항). 題松亭南澗(제송정남간) 송정의 남쪽 산골짜기에서 제하다 爲瀉愁哀兩兩行(위사추애량량행) 시름과 슬픔 토하여 모두 흘려보내니 愁哀還激聽溪聲(수애환격청계성) 시름과 슬픔은 도리어 부딧혀 시내소리로 들린다. 歸來凝坐堪惆悵(귀래응좌감추창) 돌아와 단정히 앉으니 슬픈 견딜 만하고 耳在潺潺碧玉淸(이재잔잔벽옥청) 귀에는 물소리 남아 있어 벽옥처럼 맑아진다. 37) 각재 하항(1538) 2023.01.10
覺齋 何沆(각재 하항). 덕천음(德川吟) 덕천을 노래하다 覺齋 何沆(각재 하항). 덕천음(德川吟) 덕천을 노래하다 赤葉驚秋色(적엽경추색) : 붉은 단풍잎 가을빛에 놀라고 靑眸喜舊容(청모희구용) : 푸른 눈동자 옛모습대로 반가워라. 五人談笑處(오인담소처) : 다섯 사람 웃으며 이야기 나누는 곳 不覺夕陽紅(불각석양홍) : 석양이 붉어지는 것을 알지도 못한다 37) 각재 하항(1538) 2023.01.04
覺齋 何沆(각재 하항). 문암음화(文巖飮話) 覺齋 何沆(각재 하항). 문암음화(文巖飮話) 문암에서 이야기하다 一杯復一杯(일배부일배) : 한 잔 마시고, 또 한 잔 마시니 靑眼阻懷開(청안조회개) : 맑은 눈도 닫혀 다시 떠고 싶어라. 願餘瓮底酒(원여옹저주) : 원하노니, 남은 항아리 바닥 술은 留待後人來(류대후인래) : 머물러 뒤에 오는 사람들 기다고 싶다 37) 각재 하항(1538) 2022.12.28
覺齋 何沆(각재 하항). 주학정증하성원(住鶴亭贈河性源) 覺齋 何沆(각재 하항). 주학정증하성원(住鶴亭贈河性源) 주학정에서 하서원 에게 주다 住鶴亭無鶴(주학정무학) : 주학봉에 학은 없고 白雲空被被(백운공피피) : 흰 구름만 허공에 덮혀어 있다 故人送故人(고인송고인) : 친구가 친구를 보내고 濺松無盡淚(천송무진루) : 소나무에 한없이 눈물을 뿌린다 37) 각재 하항(1538) 2022.12.22
覺齋 何沆(각재 하항). 만 음 (謾 吟) 편히 읊다 覺齋 何沆(각재 하항). 만 음 (謾 吟) 편히 읊다 江上老樐月(강상로로월) : 강 위의 한가한 달처럼 늙어 村居非本志(촌거비본지) : 시골에 사는 것이 본래 내 뜻 아니니 感時花濺淚(감시화천루) : 시절에 꽃처럼 눈물 뿌리는 자 吾與杜子美(오여두자미) : 나와 두자미 뿐이라네 37) 각재 하항(1538) 2022.12.10
覺齋 何沆(각재 하항). 부제엄혜사(復題嚴慧寺)엄혜사에서 다시 짓다 覺齋 何沆(각재 하항). 부제엄혜사(復題嚴慧寺)엄혜사에서 다시 짓다 寺黏蒼崖曲(사점창애곡) : 절은 푸른 절벽에 붙어있고 塵寰隔一江(진환격일강) : 세상은 강 하나 넘어에 있다 高吟巖上月(고음암상월) : 소리 높여 엄혜사 위의 달 읊으니 天與我爲雙(천여아위쌍) : 하늘과 내가 한 쌍이 되었다 37) 각재 하항(1538) 2022.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