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 우암 송시열(1607) 86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示金仲和使君 2(시김중화사군 2) 사군 김중화 에게 보여주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示金仲和使君 2(시김중화사군 2)사군 김중화 에게 보여주다  晦翁何恢廓(회옹하회곽)주자는 어찌 그리 도량이 넓으신가 八九呑雲夢(팔구탄운몽)운몽택 여덟아홉 개를 삼키신 듯하네 曾從戰棘生(증종전극생)일찍이 영웅은 전전긍긍 하면서 생겨났으니 此道誰公共(차도수공공)이 도를 누가 고과 함께 하겠는가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李子重垕挽(이자중후만) 자중 이후에 대한 만사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李子重垕挽(이자중후만) 자중 이후에 대한 만사 夫人不可見(부인불가견) 대저 사람을 볼 수가 없고 松竹對草堂(송죽대초당) 소나무와 대나무만 초당을 마주하네 去歲生還意(거세생환의) 지난해에 살아서 돌아왔는데 終不見君王(종불견군왕) 끝내 임금을 뵙지 못했구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趙滄江涑挽(조창강속만) 창강 조속에 대한 만사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趙滄江涑挽(조창강속만) 창강 조속에 대한 만사 數日蟬聲語(수일선성어) 두서너 날 매미 소리 맑더라는 이야기를 書之寄丈人(서지기장인) 써서 어른께 보내 드렸는데 丈人今不在(장인금구재) 그 어른 이제 계시지 않으니 此意竟誰陳(차의경수진) 이 마음을 마침내 누구에게 말할 것인가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次李同甫喜朝韻(차리동보희조운) 동보 이희조 의 시에 차운하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次李同甫喜朝韻(차리동보희조운) 동보 이희조 의 시에 차운하다 世路嗟無盡(세로차무진) 허 세상살이는 다함이 없으니 年華故不留(년화고불유) 세월은 본디 머무르지 않네 坐看今古事(좌간금고사) 앉아서 옛날가 지금의 일을 살펴보니 多少壑藏舟(다소학장주) 상당수가 골짜기에 배를 숨기는 격이었구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次疇孫韻(차주손운) 손자 주석의 시에 차운하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次疇孫韻(차주손운) 손자 주석의 시에 차운하다 遯翁有善謔(둔옹유선학) 주자 께서 해학을 좋아해서 仙聖亦三災(선성역삼재) 부처 또한 삼재가 있다고 하셨지 況余塵土者(황여진토자) 하물며 티끌과 흙 같은 나는 虀粉亦宜哉(제분역의재) 가혹한 형벌도 마땅한 것을,,,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贈別李聖彌碩堅諸人(증별리성미석견제인) 성미 이석견 등 여러 사람에게 지어 주고 헤어지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贈別李聖彌碩堅諸人(증별리성미석견제인) 성미 이석견 등 여러 사람에게 지어 주고 헤어지다 珍重二三子(진중이삼자) 아주 소중한 두세 친구가 相隨至德院(상수지덕원) 서로 따르며 덕원에 이르렀네 今朝還送別(금조환송별) 오늘 아침 다시 헤어지니 千里莫招魂(천리막초혼) 천리 밖에서 넋을 부르지 마시구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寄金壽徵(기김수징) 김수징 에게 부치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寄金壽徵(기김수징) 김수징 에게 부치다 死生在於前(사생재어전) 삶과 죽음이 눈앞에 있을 때 學力要試耳(학력요시이) 학문의 실력을 반드시 시험해야 하네 須將此一言(수장차일언) 모름지기 이 한 마디의 말을 가지고 歸語伯仲氏(귀어백중씨) 돌아가서 맏형과 둘째 형에게 이야기 하게나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申曼倩挽(신만천만) 만천 신만 에 대한 만사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申曼倩挽(신만천만) 만천 신만 에 대한 만사 我死人誰哭(아사인수곡) 내가 죽으면 누가 슬프게 울어 줄까 君今先我歸(군금선아귀) 그대 지금 나보다 먼저 세상을 떠났네 秋山寥落處(추산료락처) 가을 산속 황폐하여 쓸쓸한 곳에서 獨立涕空揮(독립체공휘) 홀로서서 부질없이 눈물 뿌리는 구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次栗谷韻 1(차율곡운 1) 율곡 이이의 시에 차운하여 子孫(자손)에게 보여주다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次栗谷韻 1(차율곡운 1) 율곡 이이의 시에 차운하여 子孫(자손)에게 보여주다 豈欲人相惡(기욕인상악) 어찌 다른 사람을 미워했을까마는 胡然見屢憎(호연견루증) 어찌하여 자주 미움을 받는가 淵明雖止酒(연명수지주) 도연명은 비록 술을 끊을지라도 恥作白蓮僧(치작백련승) 백련사 의 승려가 되는 것을 부끄러워했으리라 33. 次栗谷韻 2(차율곡운 2)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耽羅舟中 2(탐라주중 2) 제주도로 가는 배안에서

尤庵 宋時烈(우암 송시열). 耽羅舟中 2(탐라주중 2) 제주도로 가는 배안에서 孔聖思浮海(공성사부해) 공자도 뗏목 타고 바다에 떠다닐 생각을 했고 涪翁灎澦時(부옹색여시) 부주에 귀양 갔던 정이도 거센 물결 만나던 때가 있었지 千秋相感意(천추상감의) 오래 세월 서로 느껴온 그 뜻을 今日有誰知(금일유수지) 오늘 누가 알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