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춘정 변계량(1369) 94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차령통사벽상운(次靈通寺壁上韻) 영통사 벽의 시를 차운하다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차령통사벽상운(次靈通寺壁上韻) 영통사 벽의 시를 차운하다 地僻塵機息(지벽진기식) : 땅이 궁하여 세상 마음 사라지고 樓高暑氣微(루고서기미) : 누각이 높으매 더운 기운 사라진다 鳥隨鳴磬下(조수명경하) : 새는 울리는 경쇠소리 따라 날아내리고 僧趁暮鍾歸(승진모종귀) : 중은 저눌녘 종소리에 맞추어 돌아 온다 移石雲生袖(이석운생수) : 돌을 옮겨 앉으니 구름은 소매에서 일어나고 看松露滴衣(간송로적의) : 솔을 우러러 보니 옷자락에 이슬이 젖어든다 秋霜山菓熟(추상산과숙) : 가을 서리에 산과일 익어가는데 更此扣岩扉(경차구암비) : 다시 여기서 바윗문을 두드리노라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제청계산행상인원(題靑溪山行上人院) 계산 행상인원에 제하다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제청계산행상인원(題靑溪山行上人院) 계산 행상인원에 제하다 石路千崖盡(석로천애진) : 돌 길은 천길 절벽에서 끝나고香煙一室淸(향연일실청) : 향 연기 피어오르는 맑은 한 선실이로다客來求煮茗(객래구자명) : 손은 와서 차 끓여달라 청하고僧坐自飜經(승좌자번경) : 중은 앉아 스스로 경적을 뒤적인다樹老何年種(수로하년종) : 나무는 오래되었는데 어느 해에 심었는지鍾殘半夜聲(종잔반야성) : 종소리 잦아지니 한밤이 되었구나悟空人事絶(오공인사절) : 공을 깨달아 세속의 일을 다잊고高臥樂無生(고와악무생) : 높이 누워 무를 아는 삶을 즐기는구나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제승사(題僧舍) 사에 제하다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제승사(題僧舍) 사에 제하다 俗客來參佛(속객래참불) : 속객이 찯아와 부처님 뵙는데高僧坐誦經(고승좌송경) : 고승은 가만히 앉아 경을 외우시네晝燈熏古壁(주등훈고벽) : 낮 등불이 옛 벽을 그슬리고老檜響空庭(노회향공정) : 늙은 전나무는 빈 뜰에서 소리를 내네塔立三層白(탑립삼층백) : 탑은 솟아 세 층이 희고山回四面青(산회사면청) : 산은 둘러 사면으로 푸르구나禪窓更無事(선창경무사) : 선방에 다시 아무 일 없으니終日倚風欞(종일의풍령) : 종일토록 바람부는 난간에 기대었도다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등성거산금신사(登聖居山金神寺) 성거산 금신사에 올라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등성거산금신사(登聖居山金神寺)성거산 금신사에 올라 攀蘿登絶頂(반라등절정) : 칡 덩굴을 잡고 정상에 올라보니碧殿拱寒虛(벽전공한허) : 푸른 전각이 찬 허공에 꽂혀 있구나佛古稱尊者(불고칭존자) : 불상은 오래되었는데 존자라 일컫고山靈號聖居(산령호성거) : 산은 신령스러워 성거라 이름하는구나鍾聲雲外落(종성운외락) : 종소리는 구름 밖으로 떨어지고松影月中疏(송영월중소) : 솔 그림자는 달빛 속에 성글구나最愛安禪子(최애안선자) : 가장 사랑스러운 안선자여渠心政自如(거심정자여) : 선정에 든 이 마음 정말 자약하구나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차자강운(次子剛韻) 자강의 운을 빌어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차자강운(次子剛韻) 자강의 운을 빌어  關門一室淸(관문일실청) : 닫힌 문, 한 칸 방이 맑기도 한데 烏几淨橫經(오궤정횡경) : 책상에는 정갈히 경전이 가로 놓여있다 纖月入林影(섬월입림영) : 초승달은 숲 그늘로 비춰들고 孤燈終夜明(고등종야명) : 외로운 등불이 밤새도록 밝구나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寄鼎谷(기정곡) 정곡에 부침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寄鼎谷(기정곡) 정곡에 부침 蓬轉東南影與身(봉전동남영여신) : 동서남북 여기저기 떠돈 신세舊情誰復似雷陳(구정수복사뢰진) : 그 누구와 뇌진 같이 옛 정을 회복할까病深藥物渾無賴(병심약물혼무뢰) : 병이 깊어 온갖 약물 소용없고吟苦詩篇頗有神(음고시편파유신) : 시를 읊으니 기분 다소 편안하네 虛白連天江群曉(허백연천강군효) : 하늘까지 텅 빈 공간, 날 새어 강은 밝아지고暗黃浮地柳是春(암황부지류시춘) : 누른 먼지 이는 땅에 버드나무, 이제 봄이라 自憐令節情懷惡(자연령절정회악) : 좋은 시절에 도리어 내 마음 서글퍼져題句時還寄故人(제구시환기고인) : 때때로 시를 지어 그대 내 친구에게 부쳐본다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곽외도중시황생원(郭外道中示黃生員) 성 밖 길에서 황생원에게 보이다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곽외도중시황생원(郭外道中示黃生員)성 밖 길에서 황생원에게 보이다 匹馬城西路(필마성서노) : 필마로 도성 밖 서쪽 길로 나가 飄然是浪遊(표연시낭유) : 이리저리 정처 없이 마음껏 다녔도다. 夕陽尋岳寺(석양심악사) : 석양에 산 속의 절을 찾아가니 細雨上江樓(세우상강누) : 이슬비 속을 강루로 올라간다. 雲合孤村暮(운합고촌모) : 구름이 모이자 외로운 마을 저물고 山圍大野秋(산위대야추) : 산으로 에워싸여 큰 들판은 이미 가을. 行行頻得句(항항빈득구) : 다니면서 자주 시구를 얻었지만 愧欠玉人酬(괴흠옥인수) : 화답할 사람이 없어 부끄럽기만 하였다.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팔관대회(八關大會) 팔관 큰 모임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팔관대회(八關大會) 팔관 큰 모임 鴛鴦會此儼成行(원앙회차엄성항) : 원앙들 모여서 엄숙히 줄 지어再拜揚休禮度彰(재배양휴례도창) : 재배하고 덕을 드러내니 예절이 빛난다千步脩廊分左右(천보수낭분좌우) : 좌우에는 천보의 긴 행랑 펼쳐있고半空危殿拱中央(반공위전공중앙) : 반공 솟은 전각 중앙에 서 우뚝하다風飄鳳管雲烟斷(풍표봉관운연단) : 바람에 나부끼는 봉관이 노을에 사라진다山擁龍旗日月光(산옹룡기일월광) : 용의 깃발을 산이 끼니 일월이 빛난다朝罷百僚開錫宴(조파백료개석연) : 조회 뒤에 백관에게 연회를 베풀자一庭微雪報嘉祥(일정미설보가상) : 정원에 날린 눈발이 상서로운 해를 알린다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등금신사(登金神寺) 금신사에 올라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등금신사(登金神寺) 금신사에 올라 縹緲金神寺隔烟(표묘금신사격연) : 아득히 넌 금신사에 노을이 끼고 初登却似上靑天(초등각사상청천) : 처음 올라가자 푸른 하늘인가 싶었다. 星臨戶牖開山脊(성림호유개산척) : 별들은 창에 닿아 산등성이 펼쳐있고 風動幢幡照日邊(풍동당번조일변) : 바람은 깃발 흔들어 태양 가에 펄럭인다. 眼見高僧曾悟道(안견고승증오도) : 고승을 보아하니 일찍이 도를 깨쳐 誰能此地共安禪(수능차지공안선) : 누가 능히 이곳에서 함께 편히 참선할까 自嗟熱惱無終極(자차열뇌무종극) : 번뇌가 끝이 없어 탄식하고 있다가 溪水松聲爲肅然(계수송성위숙연) : 개울물 소리, 솔잎 소리에 숙연지는구나.

春亭 卞季良(춘정변계량). 송인귀녕(送人歸寧) 부모님 문안가는 사람을 보내며

春亭 卞季良(춘정변계량). 송인귀녕(送人歸寧) 부모님 문안가는 사람을 보내며 天寒霜雪頻(천한상설빈) : 날씨 추워져 눈과 서리 빈번히 날리는데 之子遠寧親(지자원녕친) : 그대는 먼 곳으로 부모님 문안 가신다지 爲問重逢日(위문중봉일) : 다시 만날 날을 물어보니 新春定暮春(신춘정모춘) : 새봄이나 늦어도 늦봄은 될 거라고 하였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