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춘정 변계량(1369) 94

변계량(卞季良). 야우(夜雨) 밤비

변계량(卞季良). 야우(夜雨) 밤비 小雨冥冥久未晴(소우명명구미청) : 보슬비 부슬부슬 오랫동안 개이지 않아 連雲接塞暗重城(련운접새암중성) : 구름 떼 변방에 닿아 성마다 깜깜하여라 無端更向空階滴(무단갱향공계적) : 실없이 빈 계단에 또 빗방울 뿌리어 遮莫幽人夢不成(차막유인몽부성) : 숨어사는 사람의 꿈일랑 막지 말아라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동지(冬至) 동짓날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동지(冬至) 동짓날 繡紋添線管灰飛(수문첨선관회비) : 비단에 선 두르고 관회가 날리니 冬至家家作豆糜(동지가가작두미) : 동지날 집집마다 팥죽을 쑤는구나 欲識陽生何處是(욕식양생하처시) : 처음 양의 기운 어디서 이는지 알고 싶노니 梅花一白動南枝(매화일백동남지) : 매화꽃 한 흰꽃이 남쪽 가지에서 꿈클거린다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雪晴(설청)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雪晴(설청) 風急雪花飄若絮(풍급설화표야서) : 불어오는 강풍에 눈꽃은 솜처럼 날리고 山晴雲葉白於綿(산청운엽백어면) : 산이 개니 구름 잎사귀 솜보다 더 희구나 箇中莫怪無新句(개중막괴무신구) : 여기서 좋은 시 없음을 이상히 여기지 말라 佳興從來未易傳(가흥종내미역전) : 예부터 좋은 흥취 쉽게 전하지 못한다하네.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병기(病起) 병에서 일어나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병기(病起) 병에서 일어나 伏枕傷心久(복침상심구) : 병석에 누워 상심한지 오래인데 登樓發興長(등누발흥장) : 누대에 올라보니 한없이 흥겹구나. 江山多態度(강산다태도) : 강과 산이 모양이 다양하니 時節到重陽(시절도중양) : 구월 구일 중양절이 돌아왔구나. 處處黃花嫰(처처황화눈) : 가는 곳마다 노란 꽃이 새롭고 家家白酒香(가가백주향) : 집집마다 막걸리 향기를 피우리라. 何如連袂坐(하여련몌좌) : 어찌하면 그대와 나란히 앉아 談笑引輕觴(담소인경상) : 이야기 나누며 가벼운 술잔 나눌까.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야좌정중려(夜坐呈中慮) 밤에 앉아 마음 속 생각을 드러내다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야좌정중려(夜坐呈中慮) 밤에 앉아 마음 속 생각을 드러내다 入夜思君切(입야사군절) : 밤이 들자 그대 생각 간절해 高吟獨未眠(고음독미면) : 소리 높여 시 읊으며 잠들지 못했다. 牀風搖燭影(상풍요촉영) : 평상의 바람에 촛불 그늘 흔들리고 簷雨慢琴絃(첨우만금현) : 처마의 빗물에 거문고가 무색하구나. 世路吾垂翅(세노오수시) : 험한 세상 이내몸 자신감을 잃었는데 名場子着鞭(명장자착편) : 그대들은 채찍 들고 명장으로 달려간다. 知心更誰在(지심갱수재) : 내 마음을 알아줄 사람 어디 있나 得句卽相傳(득구즉상전) : 시구를 얻었기에 바로 그대에게 전하노라.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사루만망(寺樓晩望) 사루에서 저녁에 바라보다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사루만망(寺樓晩望) 사루에서 저녁에 바라보다 湖海秋風起(호해추풍기) : 호수와 강에 가을바람 이니 旅遊心正悲(려유심정비) : 다니는 나그네 마음이 정말 슬프다. 一身曾不定(일신증부정) : 이 한 몸 일찍이 정처 없었는데 二子故相隨(이자고상수) : 두 사람이 서로 따라 다니었다. 失學名難著(실학명난저) : 배울 기회 잃어 이름나기 어려워 思親淚易垂(사친누역수) : 어버이 생각하며 눈물 흘렸었단다. 舊交惟爾輩(구교유이배) : 옛날에 사귄 사람 너희뿐이라 時復共題詩(시복공제시) : 때로는 같이 시를 짓기도 하였었다.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유서(幽棲) 그윽한 나 사는 곳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유서(幽棲) 그윽한 나 사는 곳 幽棲自寂寞(유서자적막) : 그윽한 나의 집은 본래부터 적막하니 竟日無招携(경일무초휴) : 종일토록 찾아오는 사람 아무도 없구나. 黃鳥忽飛來(황조홀비내) : 갑자기 꾀꼬리 날아와서 綠楊深處啼(녹양심처제) : 푸른 버드나무 깊은 곳에서 노래한다. 淸音互相答(청음호상답) : 청아한 소리로 서로 화답하니 獨坐意還迷(독좌의환미) : 홀로 앉으니 마음은 도리어 우울해진다. 且復出門望(차복출문망) : 그리고 다시 밖에 나가 사방을 바라보니 街頭車馬嘶(가두거마시) : 거리에는 수레와 말들이 여기저기 우는구나.

春亭卞季良(춘정 변계량). 조춘유회기우인(早春有懷寄友人) 이른 봄날 회포를 적어 친구에게 부치다

春亭卞季良(춘정 변계량). 조춘유회기우인(早春有懷寄友人) 이른 봄날 회포를 적어 친구에게 부치다 客裏逢新歲(객리봉신세) : 객지에서 새해를 만나니 春光憶故鄕(춘광억고향) : 봄 풍경에 고향 생각이 난다. 園蔬含嫰碧(원소함눈벽) : 밭의 채소는 싹 머금어 푸르고 江柳動輕黃(강류동경황) : 강가의 버들잎에 연 노랑이 감돈다. 擧目傷時物(거목상시물) : 고개 들어보나 시사에 상심되어 開襟託酒觴(개금탁주상) : 옷깃을 풀어 놓고 술잔에 맡기었다. 惟應舊交在(유응구교재) : 옛날에 사귀던 벗들이 남아 있으리니 書札不相忘(서찰부상망) : 편지 나누면서 서로 잊지나 말아 다오.

변계량(春亭卞季良). 기양곡(寄陽谷) 양곡에게 부치다

변계량(春亭卞季良). 기양곡(寄陽谷) 양곡에게 부치다 落落隴西彦(낙낙롱서언) : 농서 땅에서 제일 뛰어난 선비 早年成大家(조년성대가) : 젊어서 대가를 이루었도다. 新篇惟我共(신편유아공) : 새 글은 지으면 오직 나와만 함께 하니 高義更誰過(고의갱수과) : 그대의 높은 의리 그 누가 능가하리오 樹密聞幽鳥(수밀문유조) : 나무는 빽빽한데 새 소리 들리고 簷虛對晩花(첨허대만화) : 처마는 비어있고 늦어 피는 꽃을 본다. 佳辰看又近(가신간우근) : 아름다운 계절이 지금 또 다가오니 身病欲如何(신병욕여하) : 병든 이 몸으로 어찌해야 하는가.

변계량(春亭卞季良). 기동창(寄東窓) 동창에게

변계량(春亭卞季良). 기동창(寄東窓) 동창에게 祖翁多積善(조옹다적선) : 할아버지가 선한 일을 많이 하니 故此有賢孫(고차유현손) : 이런 까닭에 훌륭한 손자가 생기노라. 詩態春雲麗(시태춘운려) : 시어는 봄날의 구름처럼 아름답고 容儀白玉溫(용의백옥온) : 용모는 새하얀 옥처럼 따뜻하도다. 林花依屋角(림화의옥각) : 숲속 꽃들은 집모퉁이에 우거지고 庭樹到窓根(정수도창근) : 뜰의 나뭇가지 창가에 뻗어 왔구나. 窮巷誰曾過(궁항수증과) : 궁벽한 마을에 그 누가 찾아올까 殘經手自翻(잔경수자번) : 해진 경전만 손으로 뒤적이고 있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