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춘정 변계량(1369) 94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將赴京都長湍途中寄呈鼎谷) 장부경도장단도중기정정곡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將赴京都長湍途中寄呈鼎谷)장부경도장단도중기정정곡경성으로 가다가 장단의 도중에서 정곡에게 蓬轉東南影與身(봉전동남영여신) : 이내몸과 그림자 동남으로 떠도는데 舊情誰復似雷陳(구정수복사뇌진) : 옛정으로는 그 누가 뇌의와 진중과 같을까 病深藥物渾無效(병심약물혼무효) : 병 깊어서 약물이 전혀 효과 없지만 吟苦詩篇頗有神(음고시편파유신) : 애써 시편 읊조리니 다소 정신이 든다. 虛白連天江郡曉(허백련천강군효) : 빈 하늘 저쪽으로 강 고을에 새벽 오고 暗黃浮地柳郊春(암황부지류교춘) : 누런빛 땅에 일고 버들나무 들판은 봄. 自憐令節情懷惡(자련령절정회악) : 가련하다, 좋은 계절에 회포 씁쓸하여 題句時還寄故人(제구시환기고인) : 시를 지어 때때로 고인에게 부쳐 본다.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숙부흥사(宿復興寺)부흥사에서 묶다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숙부흥사(宿復興寺)부흥사에서 묶다 失路投山寺(실노투산사) : 길 잃어 산 속의 절간을 찾았더니 人傳是復興(인전시복흥) : 사람들이 말하는 부흥사 그 절이란다. 靑松惟見鶴(청송유견학) : 푸른 소나무에 오직 학만 보여서 白日不逢僧(백일부봉승) : 낮에는 스님을 만나 보지 못하였다. 古壁留金象(고벽류금상) : 오래된 고벽에는 금불상 남아 있고 空樑耿玉燈(공량경옥등) : 빈 들보에는 옥등잔이 빛나고 있었다.前軒頗淸絶(전헌파청절) : 앞마루가 자못 깨끗한 절경이라 過客獨來憑(과객독내빙) : 지나가는 나그네 특별이 이곳만 찾는다.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숙부흥사(宿復興寺) 부흥사에서 묶다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숙부흥사(宿復興寺) 부흥사에서 묶다 失路投山寺(실노투산사) : 길 잃어 산 속의 절간을 찾았더니 人傳是復興(인전시복흥) : 사람들이 말하는 부흥사 그 절이란다. 靑松惟見鶴(청송유견학) : 푸른 소나무에 오직 학만 보여서 白日不逢僧(백일부봉승) : 낮에는 스님을 만나 보지 못하였다. 古壁留金象(고벽류금상) : 오래된 고벽에는 금불상 남아 있고 空樑耿玉燈(공량경옥등) : 빈 들보에는 옥등잔이 빛나고 있었다.前軒頗淸絶(전헌파청절) : 앞마루가 자못 깨끗한 절경이라 過客獨來憑(과객독내빙) : 지나가는 나그네 특별이 이곳만 찾는다.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제오원용봉사(題五原龍鳳寺) 오원용봉사에 제하여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제오원용봉사(題五原龍鳳寺)오원용봉사에 제하여 五原多勝處(오원다승처) : 오원에는 아름다운 곳 많지만 龍鳳寺尤嘉(룡봉사우가) : 용봉사가 더욱 아름답도다. 樓閣臨平野(누각림평야) : 누각의 앞에는 평평한 들판 山川到大河(산천도대하) : 산천은 큰 강에 이어져 있도다. 泉聲和雨急(천성화우급) : 냇물 소리는 비에 급해지고 松影拂雲斜(송영불운사) : 소나무 그림자는 구름에 닿아 눕고 竟日無餘事(경일무여사) : 하루가 다 가도록 별다른 일 없으나 沙彌解煮茶(사미해자다) : 사미승은 차라도 끓일 줄 안다.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우제(偶題) 우연히 짓다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우제(偶題) 우연히 짓다 寓居龍鳳寺(우거룡봉사) : 임시로 용봉사에 머물러서 白晝掩苔扉(백주엄태비) : 대낮에도 사립문 닫아 놓았다. 歲月丹靑古(세월단청고) : 세월에 단청이 오래되고 風霜樹木奇(풍상수목기) : 풍상을 거친 나무가 기이하다. 壁燈熏佛坐(벽등훈불좌) : 벽 위의 등불은 불좌에 스미고 山翠暎僧衣(산취영승의) : 푸른 산 빛은 스님 옷을 비춘다. 城市高堂在(성시고당재) : 성 안에 부모님 계시니 思之却自悲(사지각자비) : 생각나니 갑자기 스스로 슬퍼진다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만흥(漫興) 흥겨워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만흥(漫興) 흥겨워 爲客崇陵寺(위객숭능사) : 숭릉사의 나그네 된 몸沈綿不出門(심면부출문) : 집에 들어 문 밖에도 나가지 않아片心包宇宙(편심포우주) : 조그만 마음은 우주를 싸고佳興在風雲(가흥재풍운) : 기꺼운 흥취 풍운 속에 산다네世故多翻覆(세고다번복) : 세상일이란 무수히 뒤집어지는 법塵機正糾紛(진기정규분) : 티끌 속 사정이야 요란하리라渺然伊呂輩(묘연이려배) : 까마득한 옛날의 이윤과 여상千載揖餘芬(천재읍여분) : 천 년의 뒤의 남은 향기에 경건해진다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송승남귀(送僧南歸) 남쪽으로 돌아가는 스님을 송별하며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송승남귀(送僧南歸)남쪽으로 돌아가는 스님을 송별하며 飄然一枝杖(표연일지장) : 표연한 지팡이 하나去去向何山(거거향하산) : 어느 산을 향해서 떠나시는가抱病知交態(포병지교태) : 병을 앓고서야 우정을도 알아吟詩送別顔(음시송별안) : 시 지어서 떠나는 사람을 송별하네孤程千壑裏(고정천학리) : 뭇 계곡 속 외로운 길에서幽夢白雲間(유몽백운간) : 흰 구름 사이로 한가로이 꿈꾼다네且問南遊遍(차문남유편) : 또다시 묻노니 남쪽을 유람하고寧幾日還 (寧幾日還 ) : 정녕 어느 때야 돌아 오시렵니까

春亭 卞季良(춘정변계량). 차동창가영매운(次東窓家詠梅韻) <동창가영>을 차운하여

春亭 卞季良(춘정변계량).   차동창가영매운(次東窓家詠梅韻)을 차운하여 陌上輕塵萬丈黃(맥상경진만장황) : 거리에 가벼운 흙먼지 하늘이 온통 누렇다  宦途何處賞幽芳(환도하처상유방) : 벼슬살이에 어디에서 그윽한 꽃나무 감상하나.  箇中端合高人在(개중단합고인재) : 그 중에는 고상한 사람에게 맞은 곳 있으니  雙樹梅花一院香(쌍수매화일원향) : 두 그루 매화나무 꽃이 온 집안이 향기롭구나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金神寺(금신사) 금신사에 묵으며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金神寺(금신사) 금신사에 묵으며 金神洞府深復深(금신동부심복심)금신동 그 골짜기는 깊고도 깊은데時有老僧邀獨尋(시유노승요독심)때때로 늙은 스님 맞으려 홀로 찾았다鹿糜穩眠草如織(녹미온면초여직)사슴이 편히 잠든곳 풀은 베 짠 듯한데蝙蝠亂飛山正陰(편복난비산정음)박쥐가 어지러이 날자 산그늘이 내린다石根嵓泉碎玉斗(석근암천쇄옥두)바위 아래 돌샘의 물소리 옥 부서지듯風吹蘿月散黃金(풍취나월산황금)바람은 담쟁이덩굴 사이로 황금 달빛 흩는다曉來欲覺聞鍾坐(효내욕각문종좌)새벽 잠 깰 무렵 앉아 종소리 듣는데當日少陵知此心(당일소능지차심)그 날의 소릉도 이 마음을 느꼈으리라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신흥(晨興) 벽에 일어나

春亭 卞季良(춘정 변계량).    신흥(晨興) 벽에 일어나 殘夜涼侵簟(잔야량침점) : 새벽 서늘한 기운 대자리에 들고窓虛露氣通(창허노기통) : 창문이 비어 이슬 기운 스며든다四鄰明宿火(사린명숙화) : 사방의 이웃에 등불을 밝고萬井動晨鍾(만정동신종) : 마을마다 새벽종이 울려온다日出疎煙外(일출소연외) : 엷게 낀 노을 밖에 해 떠오르고秋生積雨中(추생적우중) : 지루한 장마 끝에 가을이 찾아왔다幽棲忘盥櫛(유서망관즐) :깊숙이 살다 보니 세수와 빗질도 잊었는데客至强爲容(객지강위용) : 손님이 찾아와 억지로 단장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