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 옥봉 백광훈(1537) 48

천(石川) 임억령(林億齡). 送白光勳還鄕(송백광훈환향) 백광훈이 고향가는 것을 전송하며

석천(石川) 임억령(林億齡). 送白光勳還鄕(송백광훈환향) 백광훈이 고향가는 것을 전송하며 江月圓復缺(강월원부결) : 강위의 달은 둥글다 이지러지고 庭梅落又開(정매락우개) : 뜰 앞 매화는 졌다는 피는구나 逢春歸未得(봉춘귀미득) : 봄 되어도 돌아가지 못하고 獨上望鄕臺(독상망향대) : 나 홀로 그리워 망향대에 오른다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寄梁天維(기양천유)양천유에 부치다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寄梁天維(기양천유) 양천유에 부치다 一庭晴雨長新苔(일정청우장신태) : 비 개자 온 뜰에 새로 이끼 자라고 泥墜書床乳燕回(니추서상유연회) : 책상에 진흙 떨어지니 제비 새끼 돌아왔구나. 閑思悠悠却惆悵(한사유유각추창) : 한가한 생각 하염없다 어느덧 슬퍼지니 綠陰終日待君來(녹음종일대군래) : 불빛 그늘 아래 종일토록 그대 오길 기다렸다오.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過龍湖(과용호) 용호를 지나며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過龍湖(과용호) 용호를 지나며 岸上誰家碧樹村(안상수가벽수촌) : 언덕 위 푸른 나무 고을 누구네 집이런가 釣船無纜在籬根(조선무람재리근) : 고깃배는 닻줄도 없이 울타리 아래 매여있다. 輕霞一抹山開處(경하일말산개처) : 산맥이 열리는 곳에 옅은 안개가 깔리는데 留住殘陽照掩門(류주잔양조엄문) : 아직도 남은 저녁볕에 닫힌 문을 비추는구나.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題金季綏畵八幅 2(제김계수화팔폭2) 김계수의 그림 여덟 폭에 쓴 시. 夕陽(석양)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題金季綏畵八幅 2(제김계수화팔폭2) 김계수의 그림 여덟 폭에 쓴 시. 夕陽(석양) 不知醉行緩 (불지취행완) 취한 걸음 더딘 줄 몰랐었는데 但道歸路長 (단도귀로장) 갈 길이 멀다고 말을 하누나. 寒鴉亦何事 (한아역하사) 갈까마귀 너는 또 무슨 일이냐 山外是斜陽 (산외시사양) 산 너머엔 어느새 석양이예요.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龍江別成甫(용강별성보) 용강서 성보와 이별하다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龍江別成甫(용강별성보) 용강서 성보와 이별하다 千里奈君別(천리내군별) : 천리 멀리 어찌 그대를 보내나 起看中夜行(기간중야행) : 한 밤에 떠나는 그 대를 일어나 본다 孤舟去已遠(고주거이원) : 외로운 배는 떠나 이미 멀어졌는데 月落寒江鳴(월락한강명) : 달은 지고 차가운 강은 소리내어 우는구나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洛中別友(낙중별우) 서울서 친구와 이별하다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洛中別友(낙중별우) 서울서 친구와 이별하다 長安相送處(장안상송처) : 서울서 서로 헤어지는 처지 無語贈君歸(무어증군귀) : 그대가 떠나도 보내줄 말이 없구나 却向江南望(각향강남망) : 문득 강남 땅 바라보니 靑山又落暉(청산우낙휘) : 청산에는 또 해가 저무는구나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寶林寺 (보림사 )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寶林寺 (보림사) 山行不知路(산행부지노) : 산길을 가는데 길도 모르고 暝色千林裏(명색천림이) : 울창한 숲 속이라 어둑하구나 彷佛疎鐘聲(방불소종성) : 이따금 들려오는 소리, 종소리 같은데 雲心何處寺(운심하처사) : 구름은 속 어느 곳에 절이 있는지 落葉鳴沙逕(낙엽명사경) : 낙엽은 작은 모랫길에 딩굴고 寒流走亂山(한류주난산) : 추위는 이곳저곳 온 산을 달리네 獨行愁日暮(독행수일모) : 홀로 산길을 걸으니 해는 지고 마음은 외로워 僧磬白雲間(승경백운간) : 절간의 경쇠소리 흰 구름 속으로 흩어지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