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 백운거사 이규보(1168) 101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尋山迷路(심산미로) 산사를 찾아가다 길을 잃다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尋山迷路(심산미로)산사를 찾아가다 길을 잃다 暮尋山舍昧西東(모심산사매서동) : 저물어 산사를 찾다가 방향을 잃고 行墮荒榛暗莽中(행타황진암망중) : 우거진 잡목에 떨어지고 잡초 속에 빠지기도 했네. 失路忽逢樵徑在(실로홀봉초경재) : 길을 잃고 가까스로 좁은 나무꾼 길 발견하고 再三珍重採薪翁(재삼진중채신옹) : 나무하는 늙은이에게 재삼 묻곤 하였네.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寒食日待人不知(한식일대인부지)한식일 사람을 기다렸으니 오지 않고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寒食日待人不知(한식일대인부지)한식일 사람을 기다렸으니 오지 않고 百五佳辰人不來(백오가진인불래) : 동자 후 105일 한식일 이 좋은 때, 온다는 사람 오지 않고 鞦韆影外夕陽迴(추천영외석양회) : 그네 그림자 밖으로 석양이 돌아오네. 杏餳麥酪渾閑事(행당맥락혼한사) : 당나라 음식 행당과 맥락 먹는 일은 모두 한가한 일들 只對梨花飮一杯(지대이화음일배) : 배꽃 마주보며 술이나 한잔 들자구나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詠魚(영어) 고기를 읊다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詠魚(영어) 고기를 읊다 圉圉紅鱗沒又浮(어어홍린몰우부) : 겨우겨우 붉은 비늘 잠겼다간 다시 떠오르니 人言得志任遨遊(인언득지임오유) : 물고는 마음대로 노닌다고 사람들은 말하노라. 細思片隙無閑暇(세사편극무한가) : 자세 생각하면, 잠시도 한가한 시간 없으니 漁父纔歸鷺又謀(어부재귀로우모) : 어부가 겨우 돌아가자 백로가 다시 또 엿본다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過奇相林園(과기상임원) 재상 기홍수의 정원을 지나며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過奇相林園(과기상임원)재상 기홍수의 정원을 지나며  金鎈零落歸何處(김차영락귀하처) : 금비녀 미인들 영락하여 어디로 가고 珠履繽紡記昔年(주리빈방기석년) : 구슬 신 고귀한 사람들 옛 날을 생각하네 我亦常時居客後(아역상시거객후) : 나 또한 항상 손님들과 함께 했는데 白頭今過淚如泉(백두금과루여천) : 다 늙어 이제야 지나니 눈물이 샘물처럼 흘러내리네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開國寺池上(개국사지상) 개국사 연못에서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開國寺池上(개국사지상) 개국사 연못에서 尋僧散步樹陰中(심승산보수음중) : 스님 찾아 나무 그늘 사이로 걷다가遇勝留連曲沼東(우승류연곡소동) : 좋은 경치 만나 둥글게 늘어선 연못 동편에 머문다.點水蜻蜓綃翼綠(점수청정초익록) : 물 위를 나는 잠자리의 얇은 날개가 파릇하고浴波鸂鶒繡毛紅(욕파계칙수모홍) : 물놀이 하는 원앙새와 뜸부기의 날개털은 붉도다.仙人掌重蓮承露(선인장중연승로) : 신선의 손바닥 같은 연잎은 떨어지는 이슬 받고宮女腰輕柳帶風(궁녀요경류대풍) : 궁녀의 허리 같은 버들에는 바람이 이는구나.出戲游魚休避去(출희유어휴피거) : 나와 노는 고기들아, 피하여 달아나지 말아라.蹲池不必是漁翁(준지불필시어옹) : 못가에 앉은 사람이라고 고기 잡는 노인만은 아니라네.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杜門(두문) 문을 닫아두고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杜門(두문) 문을 닫아두고 爲避人間謗議騰(위피인간방의등) : 인간을 피하려하니 비방의 말들이 비등하여 杜門高臥髮鬅鬠(두문고와발붕괄) : 문 닫고 누워 헝클어진 머리를 묶어본다初如蕩蕩懷春女(초여탕탕회춘여) : 처음엔 마음이 잔잔하여 봄 여인 같았는데漸作寥寥結夏僧(점작요요결하승) : 점점 쓸쓸하여 안거하는 여름의 스님인 듯兒戱牽衣聊足樂(아희견의료족락) : 아이들이 옷을 당기며 장난을 치나 못내 즐거워客來敲戶不須應(객래고호불수응) : 손님이 와서 문을 두드려도 대답을 않네窮通榮辱皆天賦(궁통영욕개천부) : 궁하고 통하며 영화롭고 욕됨은 하늘이 주는 것인데 斥鷃何曾羨大鵬(척안하증선대붕) : 메추리 작다 해도 어찌 대붕을 부러워할까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梅花(매화) 매화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梅花(매화) 매화 庾嶺侵寒拆凍脣(유령침한탁동순) : 유령 추위에 언 입술이 터져不將紅粉損天眞(불장홍분손천진) : 붉은 꽃가루 지니고 참 모습 잃지 않네.莫敎驚落羌兒笛(막교경락강아적) : 오랑캐 피리 속에 놀라지게 하지 말고好待來隨驛使塵(호대래수역사진) : 잘 기다려 역사를 따르게해야 하리라.帶雪更粧千點雪(대설경장천점설) : 내리는 눈을 받아 천 송이 눈꽃으로 장식하여先春偸作一番春(선춘투작일번춘) : 봄보다 미리 또 한 봄을 훔쳤구나.玉肌尙有淸香在(옥기상유청향재) : 옥 같은 살결에 여전히 남은 맑은 향기 있으니竊藥姮娥月裏身(절약항아월이신) : 약 훔치던 항아의 달 속에 있던 몸이라네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訪覺月師(방각월사) 각월 스님을 방문하여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訪覺月師(방각월사)각월 스님을 방문하여 步步行隨入谷雲(보보행수입곡운) : 걷고걸어 구름 따라 골짜기로 들어서니自然幽洞辟紅塵(자연유동벽홍진) : 자연스런 깊숙한 골짝, 세정을 멀리했구나已將蚊雀觀鍾釜(이장문작관종부) : 이미 봉록을 모기나 참새처럼 여기고曾把螟蛉戲搢紳(증파명령희진신) : 일찍이 마디벌레나 잠자리 처럼 희롱했도다俯仰歸來推幻化(부앙귀래추환화) : 굽어보고 올려보고는 돌아오는 것을 환화로 보고死生得喪任天鈞(사생득상임천균) : 죽고 삶과 이해득실은 하늘에 맡겼도다多師雪裏猶賖酒(다사설리유사주) : 고맙게도 선사가 눈 속에 술 사와借與山中一日春(차여산중일일춘) : 산속의 하루 봄날을 빌려 주셨었구나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江上偶吟(강상우음) 강가에서 우연히 읊다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江上偶吟(강상우음)강가에서 우연히 읊다 滾滾長江流向東(곤곤장강류향동) : 쉼 없는 긴 강은 동으로 흘러흘러古今來往亦何窮(고금래왕역하궁) : 고금을 오고가니 어느새 다하리오 商船截破寒濤碧(상선절파한도벽) : 상선은 차고 푸른 물결 가르며 지나漁笛吹殘落照紅(어적취잔락조홍) : 고기잡이 피리소리 울리는데 석양이 진다 鷺格斗高菰岸上(로격두고고안상) : 줄풀 핀 언덕에 해오라기 높이 날아雁謀都寄稻畦中(안모도기도휴중) : 벼 익은 논두렁엔 기러기 모여 깃들려 한다嚴陵舊迹無人繼(엄릉구적무인계) : 엄자릉의 옛 자취 잇는 사람 하나 없어終抱煙波作釣翁(종포연파작조옹) : 끝내는 강호의 안개 속에서 어부가 되고 싶다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和宿天壽寺(화숙천수사) 천수사에 묵으며 화답하다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和宿天壽寺(화숙천수사) 천수사에 묵으며 화답하다 百花相倚鬪輕盈(백화상의투경영) : 온갖 꽃 서로 다투어 피면 準擬同君醉太平(준의동군취태평) : 그대와 함께 취하려 했었네. 嘉節無端揮淚別(가절무단휘루별) : 좋은 시절 까닭 없이 눈물로 이별하고 亂山何處皺眉行(난산하처추미행) : 여기저기 어지러운 산들은 어디로 가는가. 玉川文字五十卷(옥천문자오십권) : 옥천 노동(盧仝)은 오천 권의 글을 남기고 魯望生涯三十楹(노망생애삼십영) : 노망 육귀몽(陸龜蒙)은 삼십 간의 집뿐이었다네. 曾是少年爲客處(증시소년위객처) : 일찍이 소년 시절에 노닐던 곳이니 逢人問我舊姓名(봉인문아구성명) : 사람 만나거든 나의 옛 이름 물어보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