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백사 이항복(1556) 82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春日春遊(춘일춘유) 봄놀이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春日春遊(춘일춘유) 봄놀이 芳郊氣煖惠風徐(방교기난혜풍서) : 꽃다운 들판, 날은 화창하고 바람 살랑거리고 天朗衣輕體自舒(천랑의경체자서) : 하늘은 맑고 옷차림은 가벼워 몸은 편안하다 縱蹇平原隨所往(종건평원수소왕) : 둔한 말이라도 말 가는 대로 들판을 따라가며 杜鵑多處少蹰躇(두견다처소주저) : 두견화가 많은 곳에선 잠깐 머뭇거리며 논다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德山驛(덕산역) 덕산역에서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德山驛(덕산역) 덕산역에서 古驛荒涼雪壓籬(고역황량설압리) : 황량한 고역, 흰 눈은 울타리르 누르고 僕夫相伴夜啼飢(복부상반야제기) : 노복들은 한밤중에 배고프다 울어 댄다 騷家情景嘗應盡(소가정경상응진) : 시인의 정취는 일찍이 다했을 것인데 天遣詩豪發妙思(천견시호발묘사) : 하늘이 시인을 보내어 묘한 생각 열어준다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二月初六日到北靑(이월초육일도북청)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二月初六日到北靑(이월초육일도북청) 이월 육일에 북청에 이르러 古堠松牌記北靑(고후송패기북청) : 옛 돈대의 소나무 팻말에 북청이라 쓰였는데 板橋西畔少人迎(판교서반소인영) : 판교의 서쪽 둔덕에서 마중 나오는 이 적구나 群山定欲囚豪傑(군산정욕수호걸) : 뭇 산들은 정히 호걸을 가두고자 하여 回望千峯鎖去程(회망천봉쇄거정) : 돌아보니, 일천 봉우리가 갈 길을 막아 버린다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二月初六日到北靑(이월초육일도북청)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二月初六日到北靑(이월초육일도북청) 이월 육일에 북청에 이르러 古堠松牌記北靑(고후송패기북청) : 옛 돈대의 소나무 팻말에 북청이라 쓰였는데 板橋西畔少人迎(판교서반소인영) : 판교의 서쪽 둔덕에서 마중 나오는 이 적구나 群山定欲囚豪傑(군산정욕수호걸) : 뭇 산들은 정히 호걸을 가두고자 하여 回望千峯鎖去程(회망천봉쇄거정) : 돌아보니, 일천 봉우리가 갈 길을 막아 버린다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夜坐(야좌) 밤에 앉아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夜坐(야좌) 밤에 앉아 終宵默坐算歸程(종소묵좌산귀정) : 밤새도록 묵묵히 앉아 돌아온 길 헤아리는데 曉月窺人入戶明(효월규인입호명) : 새벽달 사람 엿보며 문에 들어와 밝도다 忽有孤鴻天外過(홀유고홍천외과) : 갑자기 외기러기 하늘 밖에서 지나가니 來時應自漢陽城(래시응자한양성) : 올 때는 응당 한양성에서 출발했으리라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端午思先墓(단오사선묘)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端午思先墓(단오사선묘) 단오에 선묘를 생각하며 忠孝傳家及此身(충효전가급차신) : 충효를 대대로 집안에 전하여 나에게 왔는데​ 爺孃常戒汝爲人(야양상계여위인) : 부모님께서 항상 너 사람 되라 경계하셨도다 龍荒是日天連海(룡황시일천련해) : 오랑캐 땅 오늘은 하늘과 바다가 연접했는데 每聽林烏哭令辰(매청림오곡령진) : 좋은 때에 곡하는 숲속 까마귀 소리 매번 들린다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四月初二日霜降(사월초이일상강)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四月初二日霜降(사월초이일상강) 사월 초이튿날 서리가 내리다 ​ 人事天時孰主張(인사천시숙주장) : 사람의 일과 하늘의 때를 누가 주관하는지 ​征途搔盡鬢滄浪(정도소진빈창랑) : 가는 도중 창랑수에 귀밑머리 긁어 다 빠진다 ​君王欲識蒼生事(군왕욕식창생사) : 임금님께서 만 백성의 일을 아시려 하면 ​四月光州有殞霜(사월광주유운상) : 사월 하늘, 광주 고을에 서리가 내렸습니다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雨後巡邊(우후순변)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雨後巡邊(우후순변) 비 내린 뒤에 변방을 순찰하며 ​ 雨後旌旗媚夕陽(우후정기미석양) : 비 온 뒤의 깃발은 석양 아래 아름답고 萬條楊柳拂陂塘(만조양류불피당) : 수 만 가지 수양버들은 둑에서 날리는구나 ​ 慙吾宦迹偏榮達(참오환적편영달) : 부끄럽구나, 내 벼슬길 특별히 영달하여 ​ 四十元戎鬢未蒼(사십원융빈미창) : 귀밑머리 시꺼먼 마흔 살의 원수라니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曉起(효기)새벽에 일어나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曉起(효기)새벽에 일어나 雪屋風鳴戶(설옥풍명호) 눈 내린 집안 바람이 문풍지 울리고 鉤簾月影哀(구렴월영애) 주렴 걷으니 그림자 슬프기도 하여라 時危有隱慮(시위유은려) 시절이 위중하여 숨긴 걱정이 있으니 隣女曉歌懷(린녀효가회) 이웃 여인 이른 새벽 심회를 노래 하누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