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 정조대왕 (1752) 53

弘齋 正祖(홍재 정조). 到逍遙亭觀瀑聽琴次壁上韻(도소요정관폭청금차벽상운)

弘齋 正祖(홍재 정조).  到逍遙亭觀瀑聽琴次壁上韻(도소요정관폭청금차벽상운)소요정逍遙亭에 가서 폭포를 구경하고, 거문고 타는 소리를 들으면서 벽에 걸려 있는 시에 次韻하다  林端飛沫濺鳴琴 (임단비말천명금)숲 저편에서 날아 흩어진 물방울이 소리를 내는 거문고에 흩뿌리는데 空翠濛濛小閣深 (공취몽몽소각심)수목이 울창한 산속 물보라 자욱한 곳에 작은 누각樓閣이 깊숙이 자리 잡았네. 偶與諸君同此席 (우여제군동차석)우연히 여러분과 이 자리를 함께했으니 道是無心却有心 (도시무심각유심)도道는 바로 아무런 생각이 없는 가운데 다시 속뜻이 있는 것이네.

弘齋 正祖(홍재 정조). 棊 ( 기 ) 바 둑

弘齋 正祖(홍재 정조). 棊 ( 기 ) 바 둑 銀簟紅簾午景遲 (은점홍염오경지) 은빛 대자리와 붉은 주렴에 낮 그림자 더딘데 丁丁落子爛柯時 (정정락자란가시) 바둑판에 바둑돌 두는 소리에 시간 가는 줄 모르네. 高樓留客花陰靜 (고루유객하음정) 높은 누각樓閣에 손님 머물게 하고 꽃나무 그늘 고요하니 萬事輸贏一局棊 (만사수영일국기) 여러 가지 온갖 일의 승부勝負를 바둑 한 판에 맡기네.

弘齋 正祖(홍재 정조). 雨 過 (우 과)비가 그치다

弘齋 正祖(홍재 정조). 雨 過 (우 과)비가 그치다 蒼蒼遠樹淡抹 (창창원수담말) 멀리 보이는 나무 짙푸르게 무성하니 엷은 녹색을 칠한 듯하고 嫋嫋垂簾斜陽 (뇨뇨수렴사양) 하늘하늘하며 드리운 주렴에는 석양이 비치네. 庭院雨過綠潤 (정원우과녹윤) 뜰에 비 그치니 더욱 푸르고 池塘波暖微香 (지당파난미향) 연못 물결 따뜻하니 향기 약하게 풍기네.

弘齋 正祖(홍재 정조). 社壇祈穀日唫示諸臣(사단기곡일음시제신)

弘齋 正祖(홍재 정조). 社壇祈穀日唫示諸臣(사단기곡일음시제신) 사직단社稷壇에 농사가 잘되기를 기원하는 날에 읊으며 여러 신하에게 보이다) 穀日仍祈穀 (곡일잉기곡) 초여드렛날에 농사가 잘되기를 기원했는데 人逢七日嘉 (인봉칠일가) 초이렛날도 경사스러운 일곱째 날을 만났네. 知今年大有 (지금년대유) 올해는 풍년이 들 것을 알겠으니 壇木雪生花 (단목설생화) 사직단社稷壇의 나무에 눈꽃이 피었네.

弘齋 正祖(홍재 정조). 無逸閤夜話(무일합야화) 無逸閤 에서 밤에 이야기를 나누다

弘齋 正祖(홍재 정조). 無逸閤夜話(무일합야화) 無逸閤 에서 밤에 이야기를 나누다 彩閣臨花潊 (채각임하서) 아름답게 단청丹靑한 누각樓閣이 물가의 꽃을 내려다보니 新香一半生 (신향일반생) 새로운 향기가 반이나 생겨나네. 有時瑤瑟語 (유시요슬어) 때맞추어 아름다운 거문고 소리가 簷鐸與同鳴 (첨탁여동명) 처마 끝에 달려 있는 풍경과 함께 울리네.

正 祖 (정 조). 鐘 閣 (종 각) 종각

正 祖 (정 조). 鐘 閣 (종 각) 종각 通衢高閣鎭王城 (통구고각진왕성) 사방으로 통하여 왕래가 잦은 거리에 있는 높은 누각 樓閣이 왕궁王宮이 있는 도시를 지켜 萬斛洪鐘曉夜鳴 (만곡홍종효야명) 엄청나게 큰 쇠북이 새벽과 밤에 울리네. 動息吾民聲以準 (동식오민성이준) 우리 백성들이 움직이고 쉬는 것을 이 종소리로 표준으로 삼아 夜聲能定曉聲行 (야성능정효성행) 밤에 울리는 종소리에는 자리에 들고 새벽 종소리에는 나다녔네.

正 祖 (정 조). 松 屛 (송 병) 소나무 병풍(屛風)

正 祖 (정 조). 松 屛 (송 병) 소나무 병풍屛風 嫋嫋其松殖殖庭 (뇨뇨기송식식정) 평평하고 반듯한 뜰에 길게 휘늘어진 그 소나무 橫遮門逕布蒼屛 (횡차문경포창병) 문길을 가로막아 푸른 병풍을 펼쳤네. 細吹晩籟泠然爽 (세추만뢰령연상) 저녁 바람 솔솔 불어오니 맑고 시원한데 更傲嚴霜獨也靑 (경오암상독야청) 도리어 된서리 업신여겨서 혼자서만 푸르네.

正 祖 (정 조). 望白塔(망백탑) 백탑白塔을 바라보며

正 祖 (정 조). 望白塔(망백탑) 백탑白塔을 바라보며 累石平如掌 (누석평여장) 포개 놓은 돌이 손바닥처럼 평평한데 穹崇任獨尊 (궁숭임독존) 우뚝 서 있으니 혼자만 높고 귀하네. 不由持重力 (불유지중력) 행여 중력重力을 지니지 않았다면 何以抵天門 (하이저천문) 어떻게 천국으로 통하는 문에 다다를 수 있을까.

正 祖 (정 조). 國都八詠 8(국도팔영 8) 通橋霽月(통교제월) : 광통교 비개인 후의맑은 달

正 祖 (정 조). 國都八詠 8(국도팔영 8) 通橋霽月(통교제월) : 광통교 비개인 후의맑은 달 去去來來第五橋(거거래래제오교) 제 오교를 가고 또 가고 오고 또 오니 十分明月上元宵(십분명월상원소) 십분 밝은 달 두둥실 상원의 밤이로세 誰家簾幕開新酒(수가렴막개신주) 뉘 집의 주렴 안에 새로 빚은 술 펼치었으며 何處樓臺弄碧簫(하처루대롱벽소) 어느 곳 누대에선 푸른 퉁소를 불어 대는고 可意雨從三夜霽(가의우종삼야제) 기분 좋아라 비는 삼일 밤 만에 활짝 개었고 耽遊時好一春饒(탐유시호일춘요) 즐거운 놀이는 때 좋은 한 봄이 넉넉하구려 昇平百歲伊誰賜(승평백세이수사) 백 년의 태평성대를 그 누가 내리었던고 童舞翁歌卽聖朝(동무옹가즉성조) 아이들 춤추고 늙은이 노래하는 곧 우리 성조라오

正 祖 (정 조). 國都八詠 7(국도팔영 7) 洗劍氷瀑(세검빙폭) : 세검정 계류의 시원한 폭포

正 祖 (정 조). 國都八詠 7(국도팔영 7) 洗劍氷瀑(세검빙폭) : 세검정 계류의 시원한 폭포 洗劒亭前百道冰(세검정전백도빙) 세검정 앞에는 온갖 도로가 빙판이고 懸崖倒壑雪霜凝(현애도학설상응) 낭떠러지 깊은 구렁엔 눈서리 얼어붙으니 琉璃錯布三千界(유리착포삼천계) 유리는 삼천 세계에 어지러이 펼쳐졌고 鵬鶴飛冲九萬層(붕학비충구만층) 붕학은 구만 층의 창공으로 날아오르누나 赤脚踏來消夏渴(적각답래소하갈) 맨발로 걷노라면 여름 갈증이 사라지고 玄陰鑿盡納周凌(현음착진납주릉) 얼음은 캐어다가 주릉으로 들인다오 聖人臨履存昭戒(성인림리존소계) 성인이 임리에 밝은 경계를 남기었기에 到此吾心倍戰兢(도차오심배전긍) 여기 이르니 내 마음 갑절이나 두려워지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