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 212

三峰 鄭道傳(삼봉 정도전). 遊山寺(유산사) 산사에 노닐며

三峰 鄭道傳(삼봉 정도전). 遊山寺(유산사) 산사에 노닐며 ​霧重成微雨(무중성미우) : 안개 짙어져 이슬비 되니山寒五月天(산한오월천) : 때는 오월이나 산이 차갑다.林深數間屋(림심수간옥) : 깊은 숲에 두어 간 암자僧住十餘年(승주십여년) : 중은 십여 년을 머물렀단다.北壁玉燈火(북벽옥등화) : 북쪽 벽엔 옥 등잔이 밝고西方金色僊(서방금색선) : 서쪽엔 금빛 신선이 앉아있다.整襟相對越(정금상대월) : 옷깃을 여미고 멀리 대면하니自覺思超然(자각사초연) : 번거롭던 생각 절로 초연해진다

圃隱 鄭夢周 (포은 정몽주). 贈孔主事 2(증공주사 2) 주사 공관 에게 지어 주다

圃隱 鄭夢周 (포은 정몽주). 贈孔主事 2(증공주사 2)주사 공관 에게 지어 주다 曾作南宮錦帳郞 (증작남궁금장랑)일찍이 상서성의 낭관이 되었다가 藥溝臨水構茅堂 (약구김수구모당)악구촌의 시냇가에 초당을 지었네. 聖朝每下徵贒詔 (성조매하증현조)어진 임금이 다스리는 조정에서 늘 어진 이를 부르는 조서를 내리니 他日尋君鴛鷺行 (타일심군원로행)훗날 조정의 문관의 반열에서 그대를 찾아야겠구려.

無衣子 慧諶(무의자 혜심). 답최시랑(答崔侍郞) 최 시랑 께 답하다

無衣子 慧諶(무의자 혜심). 답최시랑(答崔侍郞) 최 시랑 께 답하다 賢勞王事日忙忙 (현로왕사인망망)홀로 나랏일에 힘써 수고하느라 날마다 바쁘시고 憂國憂民用意長 (우국우민용의장)나라와 백성을 근심하느라 늘 마음을 가다듬으시네. 威振一方風草偃 (위진일방풍초언)한쪽에서 위엄을 떨치셔도 바람이 부는 대로 풀이 눕듯이 백성들이 따르고 使華千里耀皇皇 (사화천리요황황)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사신의 일을 잘 처리하시네.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己巳年燈夕 翰林奏呈 2 (기사년등석 한림주정 2) 1209년 정월대보름에 한림원에서 지어 바치다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己巳年燈夕 翰林奏呈 2(기사년등석 한림주정 2)1209년 정월대보름에 한림원에서 지어 바치다문기장자시文機障子詩 祥煙繚繞紫宸高(상연료요자신고)상서로운 연기가 얽혀 있어서 紫宸殿은 높고幄座中央認赭袍(악좌중앙인자포)영좌의 중앙에 행차하는 임금님.洞府徵歌敲玉索(동부징가고옥색)동부에선 노래 부르며 옥줄을 두드렸고敎坊選妓醉仙桃(교방선기취선조)교방에선 기녀 뽑으며 선도에 취했구나.九層爐爇金龍腦(구층로열금룡뇌)9층 향로에는 금빛 용뇌가 사용되었고四炤燈燃白鳳膏(사소등연백봉고)사방의 등불에는 흰 봉황의 기름이 사용되었네.西母獻來千歲壽(서모헌래천세수)서왕모 도 와서 천년수를 올리니指呼弟子皷雲璈(지호제자고운오)제자를 지목하여 불러 운오 를 타게 한다네

圃隱 鄭夢周(포은 정몽주). 溫 泉(온 천) 금강산 소동함 온천

圃隱 鄭夢周(포은 정몽주). 溫 泉(온 천) 금강산 소동함 온천 火龍吐水潛藏地(화룡토수잠장지)불을 등에 진 용이 땅속에 숨어 있다가 물을 뿜어내는 듯 小洞含春別有天(소동함춘별유천)좁은 골짜기에 봄이 찾아드니 경치가 그만이네 浴罷身心正無累(욕파신심정무루)마음과 몸을 씻고 나니 바로 깨끗해져서 舞雩歸興信悠然(무우귀흥신유연)무우에서 돌아오는 것처럼 흥취가 여유롭기만 하네

금강산관련 시 2025.04.23

宋妮(송이). 春(춘) 봄을 찾아다니다

宋妮(송이). 심春(심춘) 봄을 찾아다니다 盡日尋春不得春 (진일심춘부득춘) 진종일 봄 찾았으나 봄은 얻지 못하고 芒鞋踏遍隴頭雲 (망혜답편롱두운) 짚신 끌고 언덕위의 구름 속 서성이네 ​還來適過梅花下 (환래적과매화하) 돌아오다가 마침 매화꽃 밑을 지나니​春在枝頭已十分 (춘재지두이십분) : 매화가지 머리에 이미 봄빛이 완연하네

매화관련한시 2025.04.23

九山禪師(구산선사) (1910~1983). 悟道頌(오도송) 高僧(고승)들이 부처의 도(道)를 깨닫고 지은 시가(詩歌).

九山禪師(구산선사) (1910~1983). 悟道頌(오도송) 高僧(고승)들이 부처의 도(道)를 깨닫고 지은 시가(詩歌). 深入普賢毛孔裡(심입보현모공리) 깊이 보현의 터럭 속에 들어가 促敗文殊大地閑(촉패문수대지한) 문수를 붙잡으니 대지가 한가롭구나 冬至陽生松自綠(동지양생송자록) 동짓날에 소나무가 저절로 푸르르니 石人駕鶴過靑山(석인가학과청산) 돌사람이 학을 타고 청산을 지나가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