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 청련거사 이백(701) 100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送陸判官往琵琶峽 (송륙판관왕비파협)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送陸判官往琵琶峽(송륙판관왕비파협) 육판관을 보내어 비파협을 다녀오게 하다 水國秋風夜(수국추풍야) : 가을 바람 불어오는 섬의 밤 殊非遠別時(수비원별시) : 특히 멀리 떠나는 때는 아니어라 長安如夢裡(장안여몽리) : 장안의 일은 꿈속 같은데 何日是歸期(하일시귀기) : 어느 때가 곧 돌아갈 때인가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賦得白鷺鷥送宋少府入三峽) 부득백로사송송소부입삼협)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賦得白鷺鷥送宋少府入三峽) 부득백로사송송소부입삼협) 백로사를 얻어 송소부에게 주어 삼협에 든 것을 짓다 白鷺拳一足(백로권일족) : 백로가 한 쪽 발을 들고 서있고 月明秋水寒(월명추수한) : 달은 밝고 가을물은 차기만 하다 人驚遠飛去(인경원비거) : 사람에게 놀란 백로 멀리 날아가다가 直向使君灘(직향사군탄) : 바로 사군탄 여울을 향하는구나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哭宣城善釀紀叟(곡선성선양기수) 선성 선양기 노인을 곡하다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哭宣城善釀紀叟(곡선성선양기수) 선성 선양기 노인을 곡하다 紀叟黃泉裡(기수황천리) : 기가 늙은이가 죽어 황천에 가서도 還應釀老春(환응양로춘) : 그곳에서도 응당 노춘수를 빚을 것이네 夜臺無曉日(야대무효일) : 밤 누대에 밝은 해, 곧 나 이백이 없으니 沽酒與何人(고주여하인) : 어느 누구에게 술을 팔건가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敕放歸山留別陸侍御不遇詠鸚鵡 (칙방귀산류별륙시어불우영앵무)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敕放歸山留別陸侍御不遇詠鸚鵡) (칙방귀산류별륙시어불우영앵무) 落羽辭金殿(낙우사금전) : 떨어진 깃이 금전을 떠나 孤鳴吒繡衣(고명타수의) : 외로운 학이 울며 어사에게 의탁 했었소 能言終見棄(능언종견기) : 능히 말할 수 있으되 끝내 버림을 당하여 還向隴西飛(환향롱서비) : 도리어 농서를 향해 달아 난다오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望木瓜山(망목과산)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望木瓜山(망목과산) 목과산을 바라보며 早起見日出(조기견일출) : 일찍 일어나 일출을 보고 暮見棲鳥還(모견서조환) : 저물면 둥지 찾는 새를 본다 客心自酸楚(객심자산초) : 나그네 마음 저절로 뒤숭숭한데 況對木瓜山(황대목과산) : 하물며 목과산을 마주보고 있음에야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魯中都東樓醉起作(노중도동루취기작)

靑蓮居士 李白(청련거사 이백). 魯中都東樓醉起作(노중도동루취기작) 노 중도의 동루에서 취하여 일어나 짓다 昨日東樓醉(작일동루취) : 어제는 동루에서 취했으니 還應倒接䍦(환응도접리) : 분명히 두건을 거꾸로 써고 쓸어졌을 것이다 阿誰扶馬上(아수부마상) : 누가 나를 부축하여 말에 태웠나 不省下樓時(불성하루시) : 동루를 내려온 때가 생각나지 않은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