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 익재 이제현(1287) 100

益齋 李齊賢(익재 이제현). 金山寺(금산사) 금산사

益齋 李齊賢(익재 이제현). 金山寺(금산사) 금산사 舊聞兜率莊嚴勝(구문두솔장엄승) : 도솔암 장엄한 경관 일찍이 들었는데 今見蓬萊氣像閑(금견봉래기상한) : 봉래산 조용한 분위기 오늘에야 보는구나. 千步回廊延漲海(천보회랑연창해) : 천 걸음 긴 회랑은 넓은 바다에 연해있고 百層飛閣擁浮山(백층비각옹부산) : 백 층 넘는 날아갈 듯한 누각 물 위 봉우리 안고있다. 忘機鷺宿鍾聲裏(망기로숙종성리) : 생각을 잊은 해오라기는 종소리에 잠들어있고 聽法龍蟠塔影間(청법용반탑영간) : 탑 그림자에 서린 용이 독경소리 듣는구나. 雄跨軒前漁唱晩(웅과헌전어창만) : 난간에 걸터앉아 고기 잡는 노래 높이 부르니 練波如掃月如彎(연파여소월여만) : 비단 같은 물결 씻은 고요한데 달은 활처럼 둥글구나

益齋 李齊賢(익재 이제현). 和贈李外郞元弼(화증리외랑원필) 외랑 이원필에게 화답하여 주다

​ 益齋 李齊賢(익재 이제현). 和贈李外郞元弼(화증리외랑원필) 외랑 이원필에게 화답하여 주다 男子平生志四方(남자평생지사방) : 남자의 평생 뜻은 사방 천지에 두어야지 不應羞澁爲空囊(불응수삽위공낭) : 돈 없는 빈 주머니라고 부끄러울 게 없도다. 靈均去楚唯飱菊(영균거초유손국) : 굴평은 초나라 떠나서 국화만 먹었고 魯叟過陳也絶糧(노수과진야절량) : 노수도 진나라 지날 때, 식량이 떨어졌도다. 搔首只緣詩作崇(소수지연시작숭) : 머리가 빠진 것은 시가 원인이 되어서니 揚眉更覺酒能狂(양미갱각주능광) : 눈썹을 펴니 술이 사람 미치게 함 알았도다 愧非指廩周公瑾(괴비지름주공근) : 곡식 창고 보여준 주유가 못됨 부끄러우니 傾蓋相從亦不妨(경개상종역불방) : 양산 기울이며 친히 지냄도 방해되지 않겠지

益齋 李齊賢(익재 이제현). 病中呈愚谷(병중정우곡) 병중에 우곡에게 드립니다

益齋 李齊賢(익재 이제현). 病中呈愚谷(병중정우곡) 병중에 우곡에게 드립니다 讀書嗟聽瑩(독서차청형) : 글 읽고 보고도 모르는 한심함 한심하고 聞道愧支離(문도괴지리) : 도를 들으려니 지리함이 너무 부끄럽구나. 豈繫蒼生望(기계창생망) : 어찌 창생들의 희망이 달렸는데 謬蒙明主知(류몽명주지) : 그릇 밝은 임금이 알아줌만을 받겠는가. 病諳年去速(병암년거속) : 병들매 세월이 몹시도 빠르고 閑厭日斜遲(한염일사지) : 한가하니 하루해가 몹시도 지루하구나. 臥念平生事(와념평생사) : 누워서 평생 일을 곰곰이 생각니 多爲識者嗤(다위식자치) : 허다히 식자의 웃음거리 되는 일이 많도다

益齋 李齊賢(익재 이제현). 哭尙德洪宰相瀹(곡상덕홍재상약) 재상 홍약을 곡하며 덕을 기리며

益齋 李齊賢(익재 이제현). 哭尙德洪宰相瀹(곡상덕홍재상약) 재상 홍약을 곡하며 덕을 기리며 邂逅俄成別(해후아성별) : 기약 없이 만나 이내 이별하고 驚呼已隔生(경호이격생) : 놀라서 불러보니 삶을 떠났구려 臨書懷善誘(림서회선유) : 책을 펼치면 그대의 충고 생각나고 對酒憶眞情(대주억진정) : 술 대하니 참다운 정이 생각나오. 淚溢大同水(루일대동수) : 눈물은 흘러 대동강을 넘치고 名縣平壤城(명현평양성) : 이름은 평양성에 드높습니다. 應敎吠天喙(응교폐천훼) : 원 나라에 고자질하는 그 입을 永愧首丘誠(영괴수구성) : 고국의 정성에 부끄럽게 하시옵소서

益齋 李齊賢(익재 이제현). 山中雪夜(산중설야) 산 속 눈 오는 밤

益齋 李齊賢(익재 이제현). 山中雪夜(산중설야) 산 속 눈 오는 밤 紙被生寒佛燈暗(지피생한불등암) : 얇은 이불에 한기가 일고 등잔불 어둑한데 ​ 沙彌一夜不鳴鍾(사미일야부명종) : 사미승 밤새도록 종을 울리지 않네 ​ 應嗔宿客開門早(응진숙객개문조) : 나그네 일찍 문 연다고 성내겠지만 ​ 要看庵前雪壓松(요간암전설압송) : 암자 앞 눈에 눌린 소나무 보고 싶네

益齋 李齊賢(익재 이제현). 山中雪夜(산중설야) 산 속 눈 오는 밤

益齋 李齊賢(익재 이제현). 山中雪夜(산중설야) 산 속 눈 오는 밤 紙被生寒佛燈暗(지피생한불등암) : 얇은 이불에 한기가 일고 등잔불 어둑한데 ​ 沙彌一夜不鳴鍾(사미일야부명종) : 사미승 밤새도록 종을 울리지 않네 ​ 應嗔宿客開門早(응진숙객개문조) : 나그네 일찍 문 연다고 성내겠지만 要看庵前雪壓松(요간암전설압송) : 암자 앞 눈에 눌린 소나무 보고 싶네

益齋 李齊賢(익재 이제현). 張 良(장 양) 장 량

益齋 李齊賢(익재 이제현). 張 良(장 양) 장 량 五世君恩未足酬(오세군은미족수) : 오대를 섬긴 임금 은혜를 충분히 갚지 못해 ​ 誓將心力快秦讎(서장심력쾌진수) : 마음 속으로 진나라 원수 갚으려 맹세하였네 韓王又作彭城土(한왕우작팽성토) : 한왕 또한 팽성의 흙이 되었고 ​ 借箸何辭轉一籌(차저하사전일주) : 젓가락 빌려 설명한 계책을 어찌 사양하겠는가

益齋 李齊賢(익재 이제현). 陳 平(진 평) 진평

益齋 李齊賢(익재 이제현). 陳 平(진 평) 진평 呂氏應非項氏儔(여씨응비항씨주) : 여씨는 애당초 항우(項羽)의 짝이 안 될 터인데 何緣到此獨深憂(하연도차독심우) : 어이하여 이렇게 홀로 근심하였을까 絳侯椎樸王陵戇(강후추박왕릉당) : 강후 주발은 미련하고 왕능은 어리석은데 更欠高皇用我謀(경흠고황용아모) : 게다가 고황처럼 나의 계책을 써줄 이도 없구나

益齋 李齊賢(익재 이제현). 蒯 通(괴 통) 괴통은 齊나라의 변론가

益齋 李齊賢(익재 이제현). 蒯 通(괴 통) 괴통은 齊나라의 변론가 嫉功樂禍亡三儁(질공낙화망삼준) : 공로를 질투하고 화 즐김은 세 영웅을 망쳤고 肆辯邀名起兩臣(사변요명기량신) : 구변으로 이름 날려 두 신하를 일으켰네. 其主一言能免鑊(기주일언능면확) : 그가 주인이라고 한 마디 말이 죽음을 면하게 했으니 豈如緘口廟中人(기여함구묘중인) : 후직의 사당 앞에 세워진 입 꿰맨 사람과 어찌 같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