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택당 이식(1584) 100

澤堂 李植( 택당 이식). 秋述二章 2(추술이장 2) 가을에 지은 시

澤堂 李植( 택당 이식).  秋述二章 2(추술이장 2) 가을에 지은 시  凍死如霜竹(동사여상죽) : 서리 맞은 대나무처럼 얼어 죽고飢死如枯松(기사여고송) : 마른 소나무처럼 굶어 죽어도士有溝壑志(사유구학지) : 선비라면 구렁텅이에 빠질 생각도 있으니安可辭固窮(안가사고궁) : 어떻게 곤궁한 환경을 사양할 수 있으리오.古來聖人徒(고내성인도) : 옛날부터 성인을 따르던 사람들은一瓢傲萬鍾(일표오만종) : 한 표주박의 물로써 만종의 봉록 무시하고而我撫空懷(이아무공회) : 나는 빈 가슴 속을 쓸어내리며分甘守愚憃(분감수우창) : 분수 달게 여기며 바보처럼 지낸다.荒年困糊口(황년곤호구) : 흉년에 호구지책도 어려운데啜菽無懽悰(철숙무환종) : 콩죽으로도 기쁘게 해드릴 길이 없도다.至樂詎能尋(지낙거능심) : 지극한 즐거움..

澤堂 李植( 택당 이식). 秋述二章 1首(추술이장 1수) 가을에 지은 시

澤堂 李植( 택당 이식).   秋述二章  1首(추술이장 1수) 가을에 지은 시  刻鵠不類鵠(각곡부류곡) : 고니 만들어 보려도 고니 같지 않고畫虎不成虎(화호부성호) : 호랑이 그려보아도 호랑이 같지 않구나.文辭費工巧(문사비공교) : 글을 지르려다 노력만 허비했을 뿐經術終鹵莽(경술종로망) : 학문의 세계는 끝내 황폐해졌구나.由由俗同流(유유속동류) : 그럭저럭 세속의 흐름에 휩쓸려碌碌世不數(녹녹세부삭) : 녹록하게도 세상에는 끼워 주지 않는다.歲月坐晼晚(세월좌원만) : 세월은 어느듯 한 해의 마지막風霜變草樹(풍상변초수) : 풍상이 풀과 나무들도 변하게 하였구나.人情感氣序(인정감기서) : 인정은 계절의 변화에 따르고百端侵腸肚(백단침장두) : 온갖 느낌이 심장을 파고 든다.平生定微尙(평생정미상) : 평소의 나의..

澤堂 李植( 택당 이식). 竹淵亭贈尹進士奎(죽연정증윤진사규) 죽연정에서 진사 윤규에게 주다

澤堂 李植( 택당 이식).   竹淵亭贈尹進士奎(죽연정증윤진사규)죽연정에서 진사 윤규에게 주다 文老才名第一流(문로재명제일류) : 문로의 재주와 명성은 일류이고從前卜築更深幽(종전복축갱심유) : 전에 터잡아 집 지으니 깊고 그윽하다.性耽泉石堪棲隱(성탐천석감서은) : 천성이 자연을 즐겨 숨어 살만 만하고身厭簪紳不宦遊(신염잠신불환유) : 관복이 싫어 벼슬살이 하지 않았단다.魂夢欲尋迷半路(혼몽욕심미반로) : 꿈 속에서 찾아도 중에서 길을 잃고書筒難遞隔三秋(서통난체격삼추) : 편지 전하기 어려워 삼 년이나 몰랐도다.名場宿債今抛盡(명장숙채금포진) : 명리의 마당에서 묵은 빚 이제 버렸지만老境光陰亦不留(로경광음역불류) : 노경의 세월은 또한 멈추지를 않는다

澤堂 李植( 택당 이식). 夜坐有感(야좌유감) 밤에 앉아 생각에 젖어

澤堂 李植( 택당 이식).   夜坐有感(야좌유감) 밤에 앉아 생각에 젖어 十日天風不啓關(십일천풍부계관) : 바람 부는 열흘 동안 문도 열지 않고短檠烏几伴人閑(단경오궤반인한) : 호롱불에 책상 하나, 친구하며 보냈다.名場得失妨開眼(명장득실방개안) : 과거 시험 득실도 개안하는 데는 방해客舍呻吟儘苦顔(객사신음진고안) : 객사에서 신음하며 죽을 몰골하고 있다.歲暮氷霜埋大壑(세모빙상매대학) : 세모에 얼음과 서리, 큰 골짝을 묻고夜深星月動寒山(야심성월동한산) : 깊은 밤, 별과 달은 겨울 산에 움직인다.莫敎靜界多煩想(막교정계다번상) : 청정 세계에 번뇌가 많게 하지 말라造化胚胎在此間(조화배태재차간) : 이 가운데 천지조화가 배태되어 가노라

澤堂 李植( 택당 이식). 五月九日口占代筆(오월구일구점대필) 오월구일 입으로 말한 것을 대신 적다

澤堂 李植( 택당 이식).   五月九日口占代筆(오월구일구점대필)오월구일 입으로 말한 것을 대신 적다 行年六十四春秋(행년육십사춘추) : 내 나이 예순 넷弧失生涯苦未休(호실생애고미휴) : 곧은 생애 괴로움이 그치지 않네文字虛名終速禍(문자허명종속화) : 문자의 헛된 명예 끝내 화를 촉진하고淸班素廩每包羞(청반소름매포수) : 청빈한 관리의 깨끗한 봉록이 항상 부러웠네.眼看天地無窮事(안간천지무궁사) : 천지를 보니 할 일 끝없는데心抱君民不盡愁(심포군민부진수) : 마음은 임금과 백성 생각으로 근심 끝없다使入九原無一念(사입구원무일념) : 이 몸 구천으로 갈 생각 조금도 없는데碧山長在水東流(벽산장재수동류) : 푸른 산은 영원하고 물은 동으로 흘러만 가네

澤堂 李植( 택당 이식). 淸明日無酒簡隣友(청명일무주간린우) 청명일에 술이 없어 이웃에게 글을 쓰다

澤堂 李植( 택당 이식).   淸明日無酒簡隣友(청명일무주간린우)청명일에 술이 없어 이웃에게 글을 쓰다 纔臨寒食又淸明(재림한식우청명) : 한식날 맞자 바로 청명일인데但覺春愁逐日生(단각춘수축일생) : 봄날의 시름 날마다 따름을 느끼노라.芳草已看閑處徧(방초이간한처편) : 한가한 곳에 두루 깔린 방초도 이미 봤고恠禽頗厭寂中鳴(괴금파염적중명) : 고요함 깨뜨리는 새소리도 지겨워진다.貧兼景物渾無事(빈겸경물혼무사) : 가난함과 경치에다 모두가 할 일 없어病向交遊太薄情(병향교유태박정) : 그동안 병들어 우정도 너무 박정하게 지냈소.不爲禁煙廚火絶(부위금연주화절) : 연기 금하려고 부엌에 불을 끈 것 아니라數盃安得對君傾(삭배안득대군경) : 몇 잔의 술을 어떡하면 그대들과 나눌는지요.

澤堂 李植( 택당 이식). 次早朝大明宮四首 4(차조조대명궁사수4) 이른 아침 대명궁에 입조하여 를 차운하다

澤堂 李植( 택당 이식).   次早朝大明宮四首 4(차조조대명궁사수4)이른 아침 대명궁에 입조하여 를 차운하다 層城綺閣鎻春寒(층성기각쇄춘한) : 높은 성 화려한 누각 봄추위 막혔으니星斗垂輝抱曲闌(성두수휘포곡란) : 북두성은 별빛 드리워 굽은 난간 감싸 준다.鳷鵲樓前追曉漏(지작누전추효누) : 자작루 앞에서 새벽 물시계에 따라가고鳳凰池上集仙宮(봉황지상집선궁) : 봉황 연못 위에 모여 있는 신선의 궁전이라.香飄玉道春風轉(향표옥도춘풍전) : 옥도에 향기 나부끼며 봄바람 감돌고日出瓊林宿雨乾(일출경림숙우건) : 비원의 숲에 해 솟아 간밤의 빗방울 말려 준다.共沐洪恩遺補地(공목홍은유보지) : 큰 은혜 함께 입고 임금 보좌할 자리古來遭際歎才難(고내조제탄재난) : 예로부터 좋은 운 만나도 인재의 어려움 탄식하더라

澤堂 李植( 택당 이식). 次早朝大明宮四首 3(차조조대명궁사수3) 이른 아침 대명궁에 입조하여 를 차운하여

澤堂 李植( 택당 이식).   次早朝大明宮四首 3(차조조대명궁사수3)이른 아침 대명궁에 입조하여 를 차운하여 祥曦冏冏昇金掌(상희경경승금장) : 아침 햇빛 밝아오는 금장 위에 올라타고瑞露微微濕玉桃(서노미미습옥도) : 이슬은 함초롬히 선도 복숭아 적셔 준다.蓬島樓臺六鰲聳(봉도누대륙오용) : 여섯 척 자라 등에 불쑥 솟은 신선의 누대玉京城闕五雲高(옥경성궐오운고) : 옥경의 성곽에 오색 빛 구름 드높아라.鏗鏘劍佩趨龍尾(갱장검패추룡미) : 쟁그랑 칼을 차고 용미 따라 가는데淸切珠璣落兎毫(청절주기낙토호) : 옥구슬 같은 해맑은 빛살이 토끼털처럼 떨어진다.補衮無能叨際會(보곤무능도제회) : 보좌할 능력도 없이 멋진 이 기회를 만나九霄風力順鴻毛(구소풍력순홍모) : 높은 하늘 바람결에 기러기털처럼 밀려 간다

澤堂 李植( 택당 이식). 次早朝大明宮四首 2(차조조대명궁사수2) 이른 아침 대명궁에 입조하여 를 차운하여

澤堂 李植( 택당 이식).    次早朝大明宮四首 2(차조조대명궁사수2)이른 아침 대명궁에 입조하여 를 차운하여 鈴索丁東輟漏籌(령삭정동철누주) : 방울소리 딸랑거리고 물시계 소리 멈칫하고掖垣風露透重裘(액원풍노투중구) : 대궐 속의 바람과 이슬은 털옷 속까지 파고 든다.瓊樓逈壓三千界(경누형압삼천계) : 저 멀리 삼천 세계 압박하는 비단 누각寶座高開十二旒(보좌고개십이류) : 보좌가 높이 열렸으니 열두 줄 면류관이라.闕角乍看星漢落(궐각사간성한낙) : 전각 모서리 틈으로 언뜻 보이는 은하수 길殿中遙認彩雲浮(전중요인채운부) : 건물 안에서 오색 구름 떠다닐 걸이 알겠어라.仙班不是蓬萊遠(선반부시봉래원) : 봉래산 신선들 멀리 있는 것 아니리라只在螭坳最上頭(지재리요최상두) : 용상 제일 가까운 곳이 위쪽이 그곳이어라

澤堂 李植( 택당 이식). 次早朝大明宮四首 1(차조조대명궁사수 1) 이른 아침 대명궁에 입조하여 를 차운하여

澤堂 李植( 택당 이식).   次早朝大明宮四首 1(차조조대명궁사수 1)이은 아침 대명궁에 입조하여 를 차운하여 虎衞疏行輦道長(호위소항련도장) : 호위 군사 드물고 길고 긴 왕궁 복도五城樓閣壓靑蒼(오성누각압청창) : 다섯 성 누각에 짓눌리는 짙푸른 산 그림자.風吹仙漏殘三點(풍취선누잔삼점) : 물시계에 바람불어 삼점 남았음을 알리는데日繞天衣煥九章(일요천의환구장) : 해는 하늘 옷을 둘러 궁장을 비추는구나.上苑鸎歌隨佩響(상원앵가수패향) : 상림원의 꾀꼬리 노래 구슬 소리에 화답하고侍臣鷄舌雜花香(시신계설잡화향) : 시종하는 신하의 말이 잡화 속에 향기롭다.一聲臚句排鵷序(일성려구배원서) : 납신다는 한 마디에 숙연해지는 조관들의 반열共說忠良翊聖王(공설충량익성왕) : 거룩한 임금 충량 보좌를 모두가 다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