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학봉 김성일(1538) 65

鶴峯 金誠一(학봉 김성일). 再遊洗心臺(재유세심대) 다시 세심대에 노닐며

鶴峯 金誠一(학봉 김성일). 再遊洗心臺(재유세심대) 다시 세심대에 노닐며 ​人世少適韻(인세소적운) : 세상은 운치 있는 곳이 드물어 出門何所歸(출문하소귀) : 문을 나왔으니 어디로 갈까. 城西足幽賞(성서족유상) : 성 서편은 감상하기 충분하니 有臺連翠微(유대련취미) : 푸른 기운 도는 누대가 있도다. 喚我二三子(환아이삼자) : 친구 두세 명 불러내어서 散策爭學晩(산책쟁학만) : 막대 짚고 거닐며 석양을 본다. 壺天隔九衢(호천격구구) : 호천이 큰길과 건너 있어서 一塵淸不飛(일진청부비) : 맑은 날이라 티끌 하나 날지 않는다. 松陰護雲關(송음호운관) : 소나무 그늘, 구름 낀 관문 둘렀고 竹影侵煙扉(죽영침연비) : 대나무 그림자 대문 안에 들었구나. 巖泉淨可洗(암천정가세) : 바위 사이 샘물 맑아 씻을 만..

鶴峯 金誠一(학봉 김성일). 我所思四首 1(아소사사수 1) 내가 생각하는 것

鶴峯 金誠一(학봉 김성일). 我所思四首 1(아소사사수 1) 내가 생각하는 것 我所思兮在何許(아소사혜재하허) : 나의 생각 어디쯤에 머물러 있는가 華山之陽漢水涘(화산지양한수사) : 화산의 남쪽이요, 한수의 물가이라네. 五雲宮闕起天中(오운궁궐기천중) : 오색 궁궐은 하늘 복판에 우뚝 솟아 玉皇高拱層城裏(옥황고공층성리) : 옥황황제 성 안에 단정하게 앉아 있네. 憶我初爲香案吏(억아초위향안리) : 생각하노라, 내가 처음 향안 관리 되니 天語洋洋如在耳(천어양양여재이) : 임금 말씀 양양하게 귓가에 맴돌았었네. 觀周此日走原隰(관주차일주원습) : 사신 길 가는 오늘 언덕과 진흙 뻘을 내닫고 一別美人千萬里(일별미인천만리) : 임 한 번 이별함에 천리만리 떨어졌다네. 賢勞孰非分內事(현노숙비분내사) : 현명한 수고 어느 ..

鶴峯 金誠一(학봉 김성일). 大陵河(대릉하) 대릉하

鶴峯 金誠一(학봉 김성일). 大陵河(대릉하) 대릉하 ​陵河之水去悠悠(능하지수거유유) : 대릉하의 물은 유유히 흘러 馳波日域無停流(치파일역무정류) : 동녘으로 치닫는 물결 쉬지 않고 흐른다. 河邊行客首西路(하변항객수서노) : 강변을 지나는 나그네 서쪽 길을 향하고 渡頭落日思綢繆(도두낙일사주무) : 나루터에 지는 해에 생각이 얽히는구나. 歸心長與水東注(귀심장여수동주) : 돌아가고 픈 마음 길이 물과 동으로 쏠리는데 王事有程難自由(왕사유정난자유) : 나랏일에 일정이 있어 자유롭지 못 하구나. 芳洲杜若采盈掬(방주두야채영국) : 물가에 모인 향긋한 풀 한 움큼 가득 뜯어 欲贈美人關河脩(욕증미인관하수) : 임에게 주려 해도 관하는 멀고 대득하다. 年華苒苒可柰何(년화염염가내하) : 더딘 세월을 내 어찌할 수 있으랴 ..

鶴峯 金誠一(학봉 김성일). 偶 吟(우 음) 우연히 읊다

鶴峯 金誠一(학봉 김성일). 偶 吟(우 음) 우연히 읊다 出處亦何常(출처역하상) : 이 세상 출저가 또한 항상 같을까 卷舒雲無心(권서운무심) : 피었다 말리는 무심한 흰 구름이여. 抱病歸故山(포병귀고산) : 병들어 고향 산에 돌아오니 倦飛憐野禽(권비련야금) : 날다 지친 들새가 가련하구나. 南窓夏景長(남창하경장) : 남쪽 창가 여름 경치 유장하고 北塢松桂深(배오송계심) : 북쪽 언덕 소나무 숲 유심도 하다. 塵機坐消歇(진기좌소헐) : 앉은 채로 세상 생각 삭이노라니 何者爲升沈(하자위승심) : 무엇이 내 인생에 부침이 되리오. 雖無耦耕人(수무우경인) : 함께 밭 갈 사람이야 없지만 至樂吾獨尋(지낙오독심) : 지극한 그 즐거움을 나 홀로 찾는다. 時從鹿豕遊(시종녹시유) : 때로 노루 따라 사슴 따라 놀며 相..

鶴峯 金誠一(학봉 김성일). 歸雁答(귀안답)돌아가는 기러기가 답하다

鶴峯 金誠一(학봉 김성일). 歸雁答(귀안답) 돌아가는 기러기가 답하다 物性無南北(물성무남북) : 물성에는 남과 북이 없고 動息隨天時(동식수천시) : 활동과 휴식도 천시를 따른다. 天時自不爽(천시자불상) : 자연도 절로 어긋나고 去留亦何疑(거류역하의) : 가고 머묾을 또한 어찌 의심하랴. 隆冬集炎州(륭동집염주) : 한겨울에는 염주 땅에 모이고 陽德長熙熙(양덕장희희) : 양의 덕이 길이 빛나는구나. 盛夏浴瀚海(성하욕한해) : 한여름에는 한해에서 목욕하니 涼風日颸颸(량풍일시시) : 서늘한 바람 날마다 솔솔 불어온다. 蘆或備不虞(로혹비불우) : 갈대 잎으로 비상시를 준비하고 稻取充其飢(도취충기기) : 벼 낟알로는 허기진 배를 채운단다. 肯學名利人(긍학명리인) : 명예와 이익을 좇는 사람 배워야지 見幾尙遲遲(견기..

鶴峯 金誠一(학봉 김성일). 問歸雁(문귀안) 돌아가는 기러기에게 묻는다

鶴峯 金誠一(학봉 김성일). 問歸雁(문귀안) 돌아가는 기러기에게 묻는다 ​嗷嗷彼鳴鴈(오오피명안) : 울며 가는 저 기러기야 往來何數數(왕내하수수) : 왕래함이 어찌 그리도 자주하나. 昨日飛燕雲(작일비연운) : 어제는 북녘 연나라 구름 속을 날다가 今晨叫楚月(금신규초월) : 오늘 아침 남녘 초나라 달을 보고 우는구나. 天長地又闊(천장지우활) : 하늘은 아득하고 땅 또한 넓은데 何處有栖息(하처유서식) : 깃들여서 쉴 곳은 그 어디란 말인가. 莫倚口中蘆(막의구중노) : 입에 문 갈대를 믿지를 말라 恐爾罹矰繳(공이리증격) : 네가 주살 맞을까 걱정되어라. 稻粱亦何慕(도량역하모) : 곡식 낟알도 어찌 부러워할 것이랴 身肥禍不測(신비화부측) : 몸이 비대해지면 화를 짐작하기 어럽구나. 何如丹穴鳳(하여단혈봉) : 단..

鶴峯 金誠一(학봉 김성일). 豐潤縣雨中(풍윤현우중) 풍윤현에 비 내리는데

鶴峯 金誠一(학봉 김성일). 豐潤縣雨中(풍윤현우중) 풍윤현에 비 내리는데 天公似欲妒餘暉(천공사욕투여휘) : 하느님이 남은 햇빛 시기하는지 小雨廉纖向晚飛(소우렴섬향만비) : 보슬비 보슬보슬 저녁 향해 나는구나. 細打花枝紅撲地(세타화지홍박지) : 꽃가지 살짝 치니 붉은 꽃 땅에 지고 輕沾柳絮白黏衣(경첨류서백점의) : 버들솜 가볍게 적셔 허옇게 옷에 묻는구나. 一春物色行將盡(일춘물색항장진) : 한 봄날의 물색이 다 지려 하는데 千里征人尙未歸(천리정인상미귀) : 천리의 나그네는 아직 돌아가지 못한다. 明發更愁泥路滑(명발갱수니노골) : 내일 떠나려니 진흙길에 미끄러질까 黃昏無語倚郵扉(황혼무어의우비) : 황혼녘에 말없이 여관 문에 기대어 선다

鶴峯 金誠一(학봉 김성일). 遼東城(요동성) 요동성

鶴峯 金誠一(학봉 김성일). 遼東城(요동성) 요동성 懷遠門前擡遠眸(회원문전대원모) : 회원문 앞에서 고개 들어 멀리 보는 눈 千山一半夕陽收(천산일반석양수) : 천산은 절반이 석양빛에 물들어 있다. 隋唐戰伐乾坤老(수당전벌건곤노) : 수와 당의 정벌 속에 하늘과 땅는 늙어 가고 漢魏紛爭歲月悠(한위분쟁세월유) : 한나라 위나라가 다투고 세월이 유구히 흐른다. 遼鶴獨悲人物變(료학독비인물변) : 신선인 요동 학이 인물이 변함을 슬퍼할 뿐 居民豈識古今愁(거민개식고금수) : 백성들이 어찌 고금의 시름 알겠는가. 逄公管子曾爲客(방공관자증위객) : 방공과 관자가 일찍이 나그네가 되었니 欲問仙舟何處求(욕문선주하처구) : 신선 배를 묻고싶으나 그 어디에서 찾아야하나

鶴峯 金誠一(학봉 김성일). 奉送伯氏克一出宰星山(봉송백씨극일출재성산)

鶴峯 金誠一(학봉 김성일). 奉送伯氏克一出宰星山 (봉송백씨극일출재성산) 큰형 극일이 성산 수령으로 가는 것을 전송하며 熊轓皁蓋出東城(웅번조개출동성) : 웅번 수레 타고 일산 쓰고 동쪽 성을 나서서 南望家山指日行(남망가산지일항) : 남쪽으로 고향 산 가리키며 날마다 길을 간다. 奉檄偏知毛義喜(봉격편지모의희) : 격문을 받들음에 모의의 기쁜 알아서 彈琴慣領海雲情(탄금관령해운정) : 가야금을 뜯음에 해운 최치원의 마음 알겠노라. 一區民物歸洪造(일구민물귀홍조) : 한 구역의 백성들이 커다른 조화에 들어가고 百里絃歌入太平(백리현가입태평) : 일백 리가 학문하여 태평성대에 들어간다. 川谷至今開白鹿(천곡지금개백녹) : 시내 골짝 속엔 지금 백록동 서원이 생겼으니 更將心學闡誠明(갱장심학천성명) : 다시금 심학으로 참된..

鶴峯 金誠一(학봉 김성일). 雨後遊山莊(우후유산장) 비가 내린 뒤에 산장에서 노닐며

鶴峯 金誠一(학봉 김성일). 雨後遊山莊(우후유산장) 비가 내린 뒤에 산장에서 노닐며 ​久雨見天日(구우견천일) : 긴 장마 끝에 하늘에 해 曳杖投山園(예장투산원) : 지팡이 짚고 산장에 든다. 溪雲尙含滋(계운상함자) : 골짝 구름은 아직도 촉촉한데 露葉風飜飜(노엽풍번번) : 이슬 젖은 나뭇잎 바람에 날린다. 靑山忽入望(청산홀입망) : 청산에 홀연히 들어가보니 妙意終難言(묘의종난언) : 오묘한 뜻 끝내 말로 하기 어려워라. 惜無同聲子(석무동성자) : 함께 노래할 사람 없음이여 獨往傷吟魂(독왕상음혼) : 홀로 돌아가 시 읊으니 마음 아파라. 日暮還空廬(일모환공려) : 날 저물어 빈 집에 돌아오니 新月滿柴門(신월만시문) : 초승달 빛만이 사립문에 가득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