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 상촌 신흠(1566) 101

象村 申欽(상촌 신흠) . 癸丑元日(계축원일) 계축년 설날에

象村 申欽(상촌 신흠) . 癸丑元日(계축원일) 계축년 설날에 季世悲吾道(계세비오도) : 말세가 우리의 진리를 슬프게 하니 徘徊且歲時(배회차세시) : 배회하는 사이 또 새해가 되었네. 但令身却健(단령신각건) : 내 몸만은 건실하고자 하는데 遮莫老相欺(차막로상기) : 늙어가면서 서로 속이는 것을 가릴 수 없네 鳧鶴誰長短(부학수장단) : 물오리와 학 어느 것이 더 낫고 못한가. 蕭蘭替盛衰(소란체성쇠) : 쓸쓸한 난초가 성하고 쇠하기를 반복하네 人犧吾不願(인희오불원) : 사람의 제물이 되는 것 나는 원하지 않아 歸臥故山陂(귀와고산피) : 고향 산비탈에 돌아가 살고 싶어라.

象村 申欽(상촌 신흠). 壬辰亂後到平壤(임진란후도평양) 임진란 뒤에 평양에 와서

象村 申欽(상촌 신흠). 壬辰亂後到平壤(임진란후도평양) 임진란 뒤에 평양에 와서 漠漠箕城草(막막기성초) : 아득한 평양성의 초야 春來動客愁(춘래동객수) : 봄날 나그네 수심이 인다 繁華問無處(번화문무처) : 그 번화했던 일, 물을 곳 없어 獨上仲宣樓(독상중선루) : 홀로 중선루에 올라본다

象村 申欽(상촌 신흠). 晴窓軟談(청창연담) 갠 창가에서 부드럽게 이야기하며

象村 申欽(상촌 신흠). 晴窓軟談(청창연담) 갠 창가에서 부드럽게 이야기하며 未見聖人心(미견성인심) : 성인의 마음 씀을 못 봤는데 焉知聖人事(언지성인사) : 어찌 성인의 일을 알리요 安得洗心人(안득세심인) : 어찌해야 마음 씻은 사람 얻어 與之論時義(여지론시의) : 그와 시대의 바름을 논할 수 있을까

象村 申欽(상촌 신흠). 停雲 1-4(정운 1-4) 머무른 구름

象村 申欽(상촌 신흠). 停雲 1-4(정운 1-4) 머무른 구름 제 1 수 烈烈其風(열렬기풍) 매서운 그 바람 曀曀其雨(에에기우) 음산한 그 비로다. 瞻彼同好(첨피동호) 좋아하는 그 사람 바라보니 山河重阻(산하중조) 산과 바다가 이 중으로 가로막는다. 我有絲桐(아유사동) 나에게 거문고가 있지만 誰與共撫(수여공무) 그 누구와 함께 어루만질까. 日居月諸(일거월저) 자꾸 흐르는 세월이여 矯首以佇(교수이저) 머리 쳐들고 우두커니 서 있도다. 제 2 수 惟風其烈(유풍기열) 바람 저리도 매섭고 惟雨其濛(유우기몽) 비마저 부슬부슬 내린다. 豈不爾思(기불이사) 어찌 그대를 생각지 않을까만 漭彼湖江(망피호강) 넓은 저 강과 호수 있도다. 載笑載歌(재소재가) 웃기도하고 노래도 부르며 悵望軒窓(창망헌창) 한스럽게 창을 바라..

象村 申欽(상촌 신흠). 時運 3(시운 3) 시절 운수

象村 申欽(상촌 신흠). 時運 3(시운 3) 시절 운수 毖彼泉水(비피천수) 졸졸 흐르는 저 물 惟魯之沂(유로지기) 바로 노 나라 기수이어라. 安此田廬(안차전려) 그 전원에 편히 살면 如客得歸(여객득귀) 나그네 고향에 온 것 같아라. 雪月風花(설월풍화) 눈과 달, 바람과 꽃 爲我發揮(위아발휘) 나를 위해 제 할 일 다하리라. 今人與棄(금인여기) 지금 사람들이 버려두지만 古人與追(고인여추) 나는 옛사람 뒤따라 가리라.

象村 申欽(상촌 신흠). 時運 2(시운 2) 시절 운수

象村 申欽(상촌 신흠). 時運 2(시운 2) 시절 운수 杖策登原(장책등원) 지팡이 짚고 언덕에 오르고 臨流斯濯(임류사탁) 물 가에 가서는 씻는다. 曠彼郊墟(광피교허) 아득히 저 넓은 평야를 보면 盈我游矚(영아유촉) 내 보고 싶은 것 실컷 보노라. 萬鍾匪豐(만종비풍) 만종록처럼 많은게 아니라 一瓢亦足(일표역족) 표주박같이 한 모금으로 족하도다. 從吾所好(종오소호) 나는 내가 좋아하는 길로 가리니 孔顏之樂(공안지악) 공자와 안자가 즐기던 곳으로 가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