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은 정몽주(1337) 67

圃隱 鄭夢周(포은 정몽주). 飮酒(음주)

圃隱 鄭夢周(포은 정몽주). 飮酒(음주) 客路春風發興狂(객로춘풍발흥광) 나그네길 봄바람에 미친듯이 흥이 일어나니 每逢佳處卽傾觴(매봉가처즉경상) 경치 좋은곳 만날때 마다 술잔을 기울이노라 還家莫愧黃金盡(환가막괴황금진) 집에 돌아와 황금을 다했다 부끄러워 말라 利得新詩滿錦囊(이득신시만금낭) 새로 지은 시가 비단 주머니에 가득하나니

圃隱 鄭夢周(포은 정몽주). 江南曲(강남곡) 강남의노래

圃隱 鄭夢周(포은 정몽주). 江南曲(강남곡) 강남의노래 江南女兒花押頭(강남여아화압두) 강남의 아가씨는 머리에다 꽃을 꽂고 笑呼伴侶遊芳洲(소호반려유방주) 웃으며 벗들 불러 방주에서 노닐다가 蕩漿歸來日慾暮(탕장귀래일욕모) 노를저어 돌아올제 해는 막 지려는데 鴛鴦雙飛無限愁(원앙쌍비무한수) 원앙새만 짝져나니 시름겹기 한이없네

圃隱 鄭夢周(포은 정몽주). 丹心歌(단심가).

圃隱 鄭夢周(포은 정몽주). 丹心歌(단심가). 此身死了死了 一百番更死了 (차신사료사료 일백번갱사료)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번 고쳐 죽어 白骨爲塵土 魂魄有無也 ( 백골위진토 혼백유무야 ) 백골이 진토 되어 넋이 라도 있고 없고 向主一片丹心 寧有改理歟 (향주일편단심 영유개리여)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圃隱 鄭夢周(포은 정몽주). 夢(몽) 꿈

圃隱 鄭夢周(포은 정몽주). 夢(몽) 꿈 世人多夢寐(세인다몽매) : 세상사람들 꿈을 자주 꾸나니 夢罷旋成空(몽파선성공) : 깨어나면 아무것도 남는 게 없다 自是因思慮(자시인사려) : 스스로 그로 인하여 깊은 생각하나니 何能有感通(하능유감통) : 어떻게 해야 감통을 얻으리오 殷家得傅說(은가득부열) : 은나라 고종은 부열을 얻었고 孔氏見周公(공씨견주공) : 공자는 꿈 속에서 주공을 뵈었다 此理人如問(차리인여문) : 사람에게 이 이치 적용을 묻는다면 當求至靜中(당구지정중) : 먼저 정신을 고요함에 이르게 해야 한다.

圃隱 鄭夢周(포은 정몽주). 登全州望景臺(등전주망경대)

圃隱 鄭夢周(포은 정몽주). 登全州望景臺(등전주망경대) 전주 망경대에 올라 千仞岡頭石徑橫(천인강두석경횡) 천 길 산마루에 돌길이 비껴있는데 登臨使我不勝情(등림사아불승정) 올라서 바라보니 감회가 끝이없어라. 靑山隱約扶餘國(청산은약부여국) 청산은 보일 듯 말 듯 부여국이요 黃葉繽紛百濟城(황엽빈분백제성) 누른 잎이 우수수 지는 백제성이로다. 九月高風愁客子(구월고풍수객자) 구월 높은 바람에 나그네 시름에 잠기고 百年豪氣誤書生(백년호기오서생) 백 년 호방한 기운 서생의 신세 그르쳤구나. 天涯日沒浮雲合(천애일몰부운합) 하늘가에 해가 지니 뜬 구름 어울리니 怊悵無由望玉京(초창무유망옥경) 슬프도다, 서울 바라볼 길이 하나도 없어라

圃隱 鄭夢周(포은 정몽주). 丹心歌(단심가)

圃隱 鄭夢周(포은 정몽주). 丹心歌(단심가) 此身死了死了 一百番更死了(차신사료사료 일백번갱사료)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번 고쳐 죽어 白骨爲塵土 魂魄有無也 ( 백골위진토 혼백유무야 ) 백골이 진토 되어 넋이 라도 있고 없고 向主一片丹心 寧有改理歟 (향주일편단심 영유개리여)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

圃隱 鄭夢周(포은 정몽주). 安東映湖樓(안동영호루)

圃隱 鄭夢周(포은 정몽주). 安東映湖樓(안동영호루) 閱遍東南郡縣多(열편동남군현다) 동남으로 여러고을 두루다녀 보았건만 映嘉形勝覺尤可(영가형승각우가) 영가의 경치가 제일 아름 다워라 邑居最得山川勢(읍거최득산천세) 고을이 산천형세 가장좋은 곳에 있어 人物紛然將相家 (인물분연장상가) 인물도 많아라 장상가가 분분하네 場圃歲功饒菽粟(장포세공요숙속) 논밭에 풍년들어 곡식들은 넉넉하고 樓臺春夢繞鶯花 (루대춘몽요앵화) 루대의 봄 날엔 꾀꼬리와 꽃이 있네 直須酩酊終今夕(직수명정종금석) 모름지기 오늘밤이 다새도록 취하리 萬里初回海上槎 (만리초회해상차) 만리길을 처음으로 배를 타고 왔잖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