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주 권 필(1569) 58

石洲 權韠(석주 권필). 村居雜題 1(촌거잡제 1) 시골에서 살며 이것저것 읊다

石洲 權韠(석주 권필).    村居雜題 1(촌거잡제 1)시골에서 살며 이것저것 읊다  渴人多夢井 (갈인다몽정)목마른 사람은 항상 우물을 꿈꾸고 飢人多夢庖 (기인다몽포)굶주린 사람은 늘 음식을 꿈꾸네. 春來遠遊夢 (춘래원유몽)봄이 온 뒤로 멀리 가서 노니는 꿈만 꾸어 夜夜到江郊 (야야도강교)밤마다 강가 교외郊外에 가네.

石洲 權韠(석주 권필). 雪後呈東岳(설후정동악) 눈 내린 뒤에 東岳 이안눌李安訥에게 지어 주다

石洲 權韠(석주 권필).    雪後呈東岳(설후정동악)눈 내린 뒤에 東岳 이안눌李安訥에게 지어 주다 中宵忽覺紙窓明 (중소홀각지창명)한밤중에 갑자기 종이창이 밝더니 淸曉開門雪正平 (청효개문설정평)맑은 새벽에 문을 여니 눈이 고르게 쌓였네. 安得與君乘興去 (안득여군승흥거)어찌하면 그대와 함께 흥겹게 가서 統軍亭上看新晴 (통군정상간신청)통군정統軍亭 위에서 말끔히 갠 경치를 바라볼 수 있을까.

石洲 權韠(석주 권필). 題慈山梨花堂(제자산이화당) 자산慈山 이화당梨花堂에 쓰다

石洲 權韠(석주 권필).    題慈山梨花堂(제자산이화당)자산慈山 이화당梨花堂에 쓰다 依山傍水十餘家 (의산방수십여가)산기슭 물가에 십여 집이 있는데 冒雨人來日已斜 (모우인래일이사)비를 무릅쓰고 사람은 오고 해는 이미 기울었네. 公館寂寥官吏少 (송관적요관리소)공관公館은 고요하고 쓸쓸한데 벼슬아치는 적고 滿庭零落海棠花 (만정령락해당화)뜰에 가득 해당화가 시들어 떨어져 있네.

石洲 權韠(석주 권필). 過松都口占(과송도구점) 송도松都에 들렀다가 즉석에서 짓다

石洲 權韠(석주 권필).   過松都口占(과송도구점)송도松都에 들렀다가 즉석에서 짓다  城池寂寞古臺荒 (성지적막고대황)성城 주위 연못은 고요하고 오래된 대臺는 거칠고 쓸쓸한데 樹木無言送夕陽 (수목무언송석양)살아 있는 나무는 말없이 저무는 해를 배웅하네. 牛背小童橫短笛 (우배소동횡단적)소 등에 탄 어린아이는 짧은 피리 불어 대지만 不知人世有興亡 (부지인세유흥망)인간 세상의 흥망성쇠興亡盛衰는 알지 못하네.

石洲 權韠(석주 권필). 秋夜( 추야 )가을밤

石洲 權韠(석주 권필).    秋夜( 추야 )가을밤 凄凄風露覺秋深 (처처풍로각추시)차갑고 쓸쓸한 바람과 이슬에 가을이 깊어가는 것을 알겠는데 一夜寒聲在竹林 (일야한성제죽림) 하룻밤 댓잎 사각거리는 소리가 대나무 숲에서 들리네. 除却平生管城子 (제각평생관성자) 한평생 벗으로 지내온 붓을 제외하고는 更無人會此時心 (경무인회차시심)지금 내 마음에 흐뭇하게 들어맞는 사람 아무도 없네.

石洲 權韠(석주 권필). 春題( 춘제 ) 봄에 쓰다

石洲 權韠(석주 권필).   春題( 춘제 ) 봄에 쓰다 風塵不到野人家 (풍진불도야인가)바람에 날리는 티끌이 시골에 사는 사람의 집에는 ​이르지 못하니 獨掩衡門度歲華 (독엄형문도세화)홀로 허술한 대문 닫고 세월 보내네. 莫笑此翁貧至骨 (맛소차옹빈지골)이 늙은이 너무 가난하다 비웃지 말아야 하니 春來嬴得滿山花 (춘래영득만산화)봄 온 뒤로 온 산에 가득하게 꽃을 많이도 얻었다네.

石洲 權韠(석주 권필). 嬋娟洞(선연동) 선연동

石洲 權韠(석주 권필).    嬋娟洞(선연동) 선연동  古洞寥寥草自春 (고동요요추자춘)고요하고 쓸쓸한 옛 골짜기에 풀 저절로 푸른데 客來何事暗傷神 (객래하사암상신)여기 온 나그네는 무슨 일로 남몰래 마음 아파하는가. 可憐此地埋珠翠 (가련차지매주취)가엾고 불쌍하게도 이곳에 진주眞珠와 비취翡翠가 묻혔으니 盡是當時歌舞人 (진시당시가무인)모두가 그때 노래하고 춤추던 여인들이네.

石洲 權韠(석주 권필). 秦始皇(진시황)진시황제

石洲 權韠(석주 권필).    秦始皇(진시황)진시황제  焚書計太拙 (분서계태졸)책을 불살라 버린 방법은 매우 졸렬했으니 黔首豈曾愚 (검수기회우)백성들이 어찌 일찍이 어리석었을까. 竟發驪山塚 (경발려산총)마침내 여산驪山의 무덤을 파헤친 것은 還非詩禮儒 (환비시례유)도리어 시詩와 예禮를 배운 선비가 아니었네.

石洲 權韠(석주 권필). 白蓮寺訪鄭德容林子愼(백련사방정덕용임자신)白蓮寺로 鄭德容과 林子愼을 찾아가다

石洲 權韠(석주 권필). 白蓮寺訪鄭德容林子愼(백련사방정덕용임자신) 백련사白蓮寺로 鄭德容과 林子愼을 찾아가다 ​ 不識招提路 (불식초제로) 절로 가는 길 알지 못하는데 天寒雪滿山 (천한설만산) 날씨가 추워 눈이 온 산에 가득하네. 忽看烟起處 (홀간연기처) 갑자기 연기가 일어나는 곳이 보이니 知在亂松間 (지재란송간) 저 어지러운 솔숲에 있음을 알겠네.

石洲 權韠(석주 권필). 村居雜題 2(촌거잡제 2) 시골에서 살며 이것저것 읊다

石洲 權韠(석주 권필). 村居雜題 2(촌거잡제 2) 시골에서 살며 이것저것 읊다 昨夜月沈霧 (작야월심무) 어젯밤에는 달이 안개 속에 잠기더니 今朝山出雲 (금조산출운) 오늘 아침에는 산이 구름 속에서 나왔네. 無端波上雨 (무단파상우) 아무런 까닭 없이 물결 위에 내리는 비가 細細作靴紋 (세세작화문) 매우 자세하게 신발무늬를 만들어 내네.

石洲 權韠(석주 권필). 村居雜題 1(촌거잡제 1) 시골에서 살며 이것저것 읊다

石洲 權韠(석주 권필). 村居雜題 1(촌거잡제 1) 시골에서 살며 이것저것 읊다 渴人多夢井 (갈인다몽정) 목마른 사람은 항상 우물을 꿈꾸고 飢人多夢庖 (기인다몽포) 굶주린 사람은 늘 음식을 꿈꾸네. 春來遠遊夢 (춘래원유몽) 봄이 온 뒤로 멀리 가서 노니는 꿈만 꾸어 夜夜到江郊 (야야도강교) 밤마다 강가 교외郊外에 가네.

石洲 權韠(석주 권필). 題畫梅竹月(제화매죽월) 매화나무·대나무·달 그림에 쓰다

石洲 權韠(석주 권필). 題畫梅竹月(제화매죽월) 매화나무·대나무·달 그림에 쓰다) 老竹何龍鍾 (노죽하룡종) 늙은 대나무는 어찌나 병든 것처럼 쇠약衰弱해 보이는데 新梅更奇絶 (신매경기절) 새로 핀 매화는 더욱 신기神奇하고 기이奇異하네. 已令魂骨醒 (이령혼골성) 이미 넋과 뼛속까지 깨웠는데 況着淸宵月 (황착청소월) 하물며 맑게 갠 밤에 달도 떠 있네.

石洲 權韠(석주 권필). 用前韻, 呈石田(용전운, 정석전) 앞의 운을 써서 석전 성로 에게 드리다

石洲 權韠(석주 권필). 用前韻, 呈石田(용전운, 정석전) 앞의 운韻을 써서 석전 성로 에게 드리다 歡伯是良友 (환백시랑우) 술은 좋은 벗이요, 睡鄕爲廣居 (우향위광거) 꿈나라는 넓은 집인데 如何石田老 (여하석전노) 어찌하여 석전石田 노인은 詩句每煩予 (시구매번여) 시구詩句를 보내 늘 나를 번거롭게 하시는지…

石洲 權韠(석주 권필). 簡李子敏[간이자민] 이자민에게 부치다.

石洲 權韠(석주 권필). 簡李子敏[간이자민] 이자민에게 부치다. 江漢春風起 [강한춘풍기] : 강한에는 봄바람이 일어나건만 離懷又一年 [이회우일년] : 이별을 위로하며 또 한 해로구나. 南飛有鴻鴈 [남비유홍안] : 남쪽으로 나는 가을 기러기 있거든 書札儻相傳 [서찰당상전] : 편지나 마음대로 서로 전하려므나.

石洲 權韠(석주 권필). 讀兵書有感(독병서유감) 병서兵書를 읽고 느끼는 바가 있어

石洲 權韠(석주 권필). 讀兵書有感(독병서유감) 병서兵書를 읽고 느끼는 바가 있어 局促英雄老 (국촉영웅노) 몸을 움츠린 신세로 영웅英雄은 늙어 가고 蒼茫日月奔 (창망일월분) 아득한 가운데 세월은 빨리도 흘러가네. 平生三尺劍 (평생삼척검) 한평생 지녀온 긴 칼로 何以答君恩 (하이답군은) 어찌 임금의 은혜에 보답할까.

石洲 權韠(석주 권필). 簡李子敏[간이자민] 이자민에게 부치다.

石洲 權韠(석주 권필). 簡李子敏[간이자민] 이자민에게 부치다. 江漢春風起 [강한춘풍기] : 강한에는 봄바람이 일어나건만 離懷又一年 [이회우일년] : 이별을 위로하며 또 한 해로구나. 南飛有鴻鴈 [남비유홍안] : 남쪽으로 나는 가을 기러기 있거든 書札儻相傳 [서찰당상전] : 편지나 마음대로 서로 전하려므나.

蛟山 許筠(교산 허균). 口號同仲仁天老賦卽事(구호동증인천로부즉사) 입으로 불러 중인 천로와 함께 즉사로 시를 짓다

蛟山 許筠(교산 허균). 口號同仲仁天老賦卽事(구호동증인천로부즉사) 입으로 불러 중인 천로와 함께 즉사로 시를 짓다 卷幔羅書帙(권만라서질) 휘장을 걷고 책 벌여놓은 채 燒香坐寂寥(소향좌적요) 향 사르며 고요히 앉았었다 雪消山色近(설소산색근) 눈 녹아 산 빛은 더욱 가까워지고 天闊海聲遙(천활해성요) 하늘은 넓어 바다 물결소리 아득하다 撫古心還折(무고실환절) 옛 날을 더듬으니 마음 오히려 꺽이고 傷時鬢欲凋(상시빈욕조) 시대를 슬퍼하니 귀밑머리 희어진다 梅花疏影動(매화소영동) 매화꽃 성근 그림자 움직이는데 相約醉溪橋(상약취계교) 서로 만나 시냇가 다리에서 취해나 보자

石洲 權 韠(석주 권필). 林下十詠 10 (임하십영 10) 숲속에서 열가지를 읊다. 存養(존양) : 본심을 잃지 않고 착한 성풍을 기르다

石洲 權 韠(석주 권필). 林下十詠 10 (임하십영 10) 숲속에서 열가지를 읊다 存養(존양) : 본심을 잃지 않고 착한 성풍을 기르다 世間萬事摠相忘(세간만사총상망) 세상의 여러 가지 온갖 일을 다 잊어버리니 顔氏簞瓢一味長(안씨단표일미장) 변변찮은 음식도 맛있게 먹은 안연의 그 뜻이 오래도록 이어졌네 淸曉卷書聊合眠(청효권서료합면) 맑은 새벽 책을 덮고 애오라지 눈을 감으니 一簾微雨可燒香(일렴미우가소향) 주렴 너머 이슬비 내리는데 향을 피울 만하네

石洲 權 韠(석주 권필). 林下十詠 9(임하십영 9) 숲속에서 열가지를 읊다. 觀心(관심) : 마음 본바탕을 바르게 살펴보다

石洲 權 韠(석주 권필). 林下十詠 9(임하십영 9) 숲속에서 열가지를 읊다 觀心(관심) : 마음 본바탕을 바르게 살펴보다 此心非色亦非空(차심비색역비공) 이 마음은 색도 아니고 또한 공도 아닌데 方寸之間萬里融(방촌지간만리융) 마음속에 수많은 이치가 다 녹아 들었네 本地風光誰解得(본지풍광수해득) 타고난 심성을 누가 깨달아 알까 向來都在寂然中(향래도재적연중) 본디 사람의 마음은 모두 고요하고 맑은 상태에 있는 것을

石洲 權 韠(석주 권필). 林下十詠 8(임하십영 8) 숲속에서 열가지를 읊다. 獨樂(독락) : 혼자 즐기다

石洲 權 韠(석주 권필). 林下十詠 8(임하십영 8) 숲속에서 열가지를 읊다 獨樂(독락) : 혼자 즐기다 已將身世寄山樊(이장신세기산번) 이미 내 신세를 산과 숲에 맡겼으니 俗客年來不到門(속객년래불도문) 속세에서 온 손님이 지나간 몇 해 동안 문에 이르지 않네 四壁圖書燈一盞(사벽도서들일잔) 사방의 벽에는 책이 가득하고 등잔 하나 此間眞意欲忘言(차간진의욕망언) 이 가운데 참뜻이 있는데 말을 잊으려 하네

石洲 權 韠(석주 권필). 林下十詠 7(임하십영 7) 숲속에서 열가지를 읊다. 溪亭(계정) : 시냇가 정자

石洲 權 韠(석주 권필). 林下十詠 7(임하십영 7) 숲속에서 열가지를 읊다 溪亭(계정) : 시냇가 정자 林下淸溪溪上亭(임하청계계상정) 숲 속에는 맑고 깨끗한 시내 시냇가에는 정자 亭邊無數亂峯靑(정변무수란봉청) 정자 주변에 수없이 여기저기 솟은 산봉우리가 푸르기만 하네 幽人醉臥日西夕(유인취와일서석) 속세를 피해 조용히 사는 사람은 술에 취해 누웠고 해는 서산으로 저무는데 萬壑松風吹自醒(만학송풍취자성) 첩첩이 겹쳐진 골짜기에 부는 솔바람에 술이 저절로 깨네

石洲 權 韠(석주 권필). 林下十詠 6(임하십영 6) 숲속에서 열가지를 읊다. 觀物(관물) : 사물을 보며

石洲 權 韠(석주 권필). 林下十詠 6(임하십영 6) 숲속에서 열가지를 읊다. 觀物(관물) : 사물을 보며 鳶魚飛躍太和中(연어비약태화중) 온 세상에 가득한 화기 속에서 솔개는 하늘 높이 날아 오르고 물고기는 물 위로 뛰어오르니 萬物浮沈一氣融(만물부심일기융) 세상에 있는 모든 것이 성하고 쇠하는 것은 타고난 기운이 바뀌는 것이네 春雨歇時庭草綠(춘우헐시정초록) 봄비가 그칠 때 뜰에 난 풀은 푸릇푸릇하니 這般生意與人同(저반생의여인동) 이와 같이 풀이 살려고 하는 뜻은 사람과 같네

石洲 權 韠(석주 권필). 林下十詠 5(임하십영 5) 숲속에서 열가지를 읊다. 無爲(무위) : 하는일 없이

石洲 權 韠(석주 권필). 林下十詠 5(임하십영 5) 숲속에서 열가지를 읊다. 無爲(무위) : 하는일 없이 避俗年來不過溪(피속년래불과계) 속세를 벗어나려고 지나간 몇 해 동안 시내를 건너지 않고 小堂分與白雲樓(소당분여백운루) 작은 집은 흰 구름에게 나누어 주어 깃들이게 했네 晴窓日午無人到(청창일오무인도) 맑게 갠 날 창가에 서 있자니 한낮이 되도록 오는 사람 없고 唯有山禽樹上啼(유유산금수상제) 오직 산새들만 나무 위에서 울고 있을 뿐이네

石洲 權 韠(석주 권필). 林下十詠 4(임하십영 4) 숲속에서 열가지를 읊다. 喜雨(희우) : 단비

石洲 權 韠(석주 권필). 林下十詠 4(임하십영 4) 숲속에서 열가지를 읊다 喜雨(희우) : 단비 澗邊靑草漸看長(간변청초점간장) 시냇가 생풀을 바라보니 점점 자라고 階上閑花滿意香(계상한화만의향) 섬돌 위 한라롭게 피어 있는 꽃을 살펴보니 향기가 가득하네 蓬戶捲簾終日雨(봉호권렴종일우) 초가집 발 걷어 올리니 온종일 비가 내려 小池鳧浴綠汪汪(소지부욕록왕왕) 작은 연못 가득한 푸른 물에서 오리가 몸을 씻고 있네

石洲 權 韠(석주 권필). 林下十詠 3(임하십영 3) 숲속에서 열가지를 읊다 悶旱(민한): 가뭄걱정

石洲 權 韠(석주 권필). 林下十詠 3(임하십영 3) 숲속에서 열가지를 읊다 悶旱(민한): 가뭄걱정 椿事闌殘雨不來(춘사란잔우불래) 봄이 저물어 가는데 비가 내리지 않으니 野田無水起黃埃(야전무수기황애) 들에 있는 논에는 물이 없어 누런 먼지만 이네 老農淸曉開門出(노농청효개문출) 늙은 농부는 맑은 새벽에 물을 열고 나와서 山下尋泉午未回(산하심천오미회) 산 아래서 샘을 찾느라 낮이 되도록 돌아오지 않네

石洲 權 韠(석주 권필). 林下十詠 2(임하십영 2) 숲속에서 열가지를 읊다. 暮春(모춘):이른봄

石洲 權 韠(석주 권필). 林下十詠 2(임하십영 2) 숲속에서 열가지를 읊다. 暮春(모춘):이른봄 疏籬短短兩三家(소리단단양삼가) 성근 울타리 무척이나 낮은 두세 집 水滿池溏吠亂蛙(수만지당폐란와) 연못에 물이 다득해서 개구리들 어지럽게 뛰노니 개가 짖네 山客夢回山鳥語(산객몽회산조어) 산 사람이 꿈에서 깨니 산새가 지저귀고 曉風催發碧桃花(효풍최발벽도화) 새벽바람은 벽도화를 재촉해 꽃을 피우네

石洲 權 韠(석주 권필). 林下十詠 1(임하십영 1) 숲속에서 열가지를 읊다제1수. 早春(조춘):이른봄

石洲 權 韠(석주 권필). 林下十詠 1(임하십영 1) 숲속에서 열가지를 읊다 제1수 早春(조춘):이른봄 早春林木澹孤淸(조춘림목담고청) 이른 봄 숲의 나무들 조용히 고고하고 깨끗한데 無數山禽下上鳴(무수산금하상명) 수많은 산새들이 내려앉았다가는 날아오르며 울어 대네 昨夜無端南澗雨(작야무단남간우) 어젯반에 까닭 없이 남쪽 산골짜기에 비 내렸으니 澗邊多少草芽生(간변다소초아생) 시냇가에 어는 정도로 풀싹이 돋아났네

石洲 權 韠(석주 권필). 題畵六絶 4(제화륙절 4) 그림에 절구 여섯수를 쓰다. 제4 : 冬(동) : 겨울

石洲 權 韠(석주 권필). 題畵六絶 4(제화륙절 4) 그림에 절구 여섯수를 쓰다. 제4 : 冬(동) : 겨울 皎皎梅梢月(교교매초월) 무척이나 맑고 밝게 매화나무 가지 끝에 뜬 달 淸宵分外寒(청소분외한) 맑게 갠 밤은 유달리 춥네 猶嫌未奇絶(유혐미기절) 여전히 경치가 신기하고 기이하지 않아서 싪으면 更向水中看(경향수중간) 다시 물속을 향해서 보시게나

石洲 權 韠(석주 권필). 題畵六絶 3(제화륙절 3) 그림에 절구 여섯수를 쓰다. 제3 : 秋(추) : 가을

石洲 權 韠(석주 권필). 題畵六絶 3(제화륙절 3) 그림에 절구 여섯수를 쓰다 제3 : 秋(추) : 가을 爲愛霜楓晩(위애상풍만) 철 늦게까지 매달려 있다가 서리 맞은 단풍잎이 사랑스러워 維舟古樹根(유주고수근) 오래된 나무의 뿌리에 배를 매어 두었네 深知垂釣意(심지수조의) 낚시 드리운 뜻을 잘 알겠으니 只是佐淸尊(지시좌청존) 단지 맑은 술 마시는 데 도움이나 될까 싶어서라네

石洲 權 韠(석주 권필). 題畵六絶 2(제화륙절 2) 그림에 절구 여섯수를 쓰다. 夏(하) : 여름

石洲 權 韠(석주 권필). 題畵六絶 2(제화륙절 2) 그림에 절구 여섯수를 쓰다. 夏(하) : 여름 露髮烏巾小(로발오건소) 오건이 작아 머리털이 드러났는데도 哦詩對曲塘(아시대곡당) 굽은 연못과 마주하며 시를 읊네 耽看荷色淨(탐간하색정) 맑고 깨끗한 연꽃 빛을 바라보느라 정신이 팔려 不覺柳陰涼(불각유음량) 버드나무 그늘 시원한 줄도 모르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