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필재 김종직(1431) 90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次陜川東軒徐參判金承旨韻1 (차합천동헌서참판금승지운1)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次陜川東軒徐參判金承旨韻1(차합천동헌서참판금승지운1)합천 동헌에 있는 서 참판과 김 승지의 운을 차하다 荏苒光陰馬上消(임염광음마상소) : 지루한 세월을 말 위에서 보내니長安回首轉遙遙(장안회수전요요) : 장안으로 돌아보니 더욱 멀기만 하구나春風滿眼堪傷別(춘풍만안감상별) : 눈에 가득한 봄바람 이별을 슬퍼하고劍氣橫空陡覺高(검기횡공두각고) : 창중에 뻗친 살기 문득 높아짐을 알겠네捫蝨淸談宜月夕(문슬청담의월석) : 이를 문지르며 나누는 청담은 달뜬 밤이 좋고持螯狂興負花朝(지오광흥부화조) : 게 다리 쥐고 미친 듯한 흥은 꽃핀 아침을 저버렸구나澄心樓下寒溪水(징심루하한계수) : 징심루 아래를 흐르는 차가운 개울물醉拍欄干燭鬢毛(취박란간촉빈모) : 술취해 난간 치니 귀밑머리 촛불처럼 ..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次陜川東軒徐參判金承旨韻 1(차합천동헌서참판금승지운 1)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次陜川東軒徐參判金承旨韻 1(차합천동헌서참판금승지운 1)합천 동헌에 있는 서 참판과 김 승지의 운을 차하다 荏苒光陰馬上消(임염광음마상소) : 지루한 세월을 말 위에서 보내니長安回首轉遙遙(장안회수전요요) : 장안으로 돌아보니 더욱 멀기만 하구나春風滿眼堪傷別(춘풍만안감상별) : 눈에 가득한 봄바람 이별을 슬퍼하고劍氣橫空陡覺高(검기횡공두각고) : 창중에 뻗친 살기 문득 높아짐을 알겠네捫蝨淸談宜月夕(문슬청담의월석) : 이를 문지르며 나누는 청담은 달뜬 밤이 좋고持螯狂興負花朝(지오광흥부화조) : 게 다리 쥐고 미친 듯한 흥은 꽃핀 아침을 저버렸구나澄心樓下寒溪水(징심루하한계수) : 징심루 아래를 흐르는 차가운 개울물醉拍欄干燭鬢毛(취박란간촉빈모) : 술취해 난간 치니 귀밑머리 촛불처..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登買浦樓次雙梅堂韻(등매포루차쌍매당운). 매포루에 올라 쌍매당의 시운에 차하다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登買浦樓次雙梅堂韻(등매포루차쌍매당운)매포루에 올라 쌍매당의 시운에 차하다 布襪烏巾孰比流(포말오건숙비류) : 베 버선 검은 두건 그 누구와 비유하랴晴窓徙倚掉吟頭(청창사의도음두) : 날 개인 창에 배회하며 머리 흔들어 읊어본다牛羊遠牧草鋪野(우양원목초포야) : 소와 양은 저 멀리 푸른 들판에 기르고鵝鸛驚飛風打樓(아관경비풍타루) : 거위와 황새는 바람 치는 누각에 부딪히며 사는구나帆影遙看鄕井暮(범영요간향정모) : 돛대 그림자엔 멀리 고향 우물의 저문 해를 보고珂聲忽憶禁門秋(가성홀억금문추) : 수레 소리엔 문득 금문의 가을이 생각나네殷勤爲向沙鷗道(은근위향사구도) : 은근하게 갈매기를 향하여 이르노니莫怪盟寒不少留(막괴맹한불소류) : 약속 어기고 머물지 못하는 것 괴상하게 여기지 말라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和晉州權楊口淸風亭韻(화진주권양구청풍정운). 진주 권 양구의 청풍정 운에 화답하다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和晉州權楊口淸風亭韻(화진주권양구청풍정운)진주 권 양구의 청풍정 운에 화답하다 淸風君子政陽陽(청풍군자정양양) : 청풍군자는 반드시 마음도 즐거운데花滿園林水滿塘(화만원림수만당) : 동산엔 꽃이 가득 못에는 물이 가득하네恰有遠山通縹氣(흡유원산통표기) : 먼 산은 옥색 기운 통하는 것 같아任敎畏日爍朱光(임교외일삭주광) : 여름날은 뙤약볕 내리쬐도록 맡겨둔다네看雲看竹拖笻杖(간운간죽타공장) : 구름 구경 대나무 구경에 지팡이 끌고邀月邀朋醉羽觴(요월요붕취우상) : 달 맞고 친구 맞아 술잔에 취하기도 하네一片俗塵飛不到(일편속진비불도) : 한 점의 세속 티끌 오지 못하니丹靑須倩顧長康(단청수천고장강) : 단청에는 반드시 장강 고개지를 시켜 그려야겠네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長湍新軒次沈觀察使韻代郡事作 (장단신헌차침관찰사운대군사작)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長湍新軒次沈觀察使韻代郡事作(장단신헌차침관찰사운대군사작)장단의 신헌에서 심 관찰사의 운을 빌어 군사를 대신해서 짓다 常喜分符近日邊(상희분부근일변) : 분절 가비고 동쪽 변방에 온 것 항상 기뻐하며此心耿耿不欺天(차심경경불기천) : 염려하는 이 마음 하늘을 속이지 않았다네小軒酒散仍明月(소헌주산잉명월) : 작은 동헌에 술잔치 파해도 밝은 달은 그대로고喬木春殘自翠煙(교목춘잔자취연) : 교목에 봄이 다하니 절로 잎이 푸르러지는구나莫訝有人嘲骯髒(막아유인조항장) : 어느 누가 강직함 조롱한 것 의아해 말고只慚無術拯顚連(지참무술증전련) : 다만 곤궁함 구제할 지혜 없음이 부끄럽다네凶年枉費經營力(흉년왕비경영력) : 흉년에 잘못 경비를 허비하여時對棠陰一黯然(시대당음일암연) : 때로 소공이 ..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因雨留增若示大虛驛樹多鷺巢 (인우류증약시대허역수다로소)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因雨留增若示大虛驛樹多鷺巢(인우류증약시대허역수다로소)​비로 증약역에 머물며 대허에 보이다 客中愁霧雨(객중수무우) : 객지에서 비에 갇혀 걱정이나猶喜濕年萃(유희습년췌) : 봄 빛을 적시니 오히려 기쁘도다.馬埒菜芽吐(마랄채아토) : 마장에는 채소 싹이 터져나고鷺巢雲影斜(로소운영사) : 백로 둥지에 구름 그림자 비끼어 있다.竮竮不禁睡(병병불금수) : 외로워 졸음은 금하지 않아도蕭散却思茶(소산각사다) : 한적하여 문득 차가 생각난다.一似閑行李(일사한행리) : 한가한 나그네와 다름없어微吟到夕鴉(미음도석아) : 조용히 읊으며 저녁 까마귀 둥지에 이른다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二月三十日將入京(이월삼십일장입경). 서울로 가며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二月三十日將入京(이월삼십일장입경)서울로 가며 强爲妻孥計(강위처노계) : 어쩔 수 없이 처자식에 얽매여虛抛故國春(허포고국춘) : 내 고장 좋은 봄도 버려두고 왔네明朝將禁火(명조장금화) : 내일은 청명인데遠客欲沾巾(원객욕첨건) : 고향 떠난 나그넨 눈물로 수건 적신다花事看看晩(화사간간만) : 꽃을 보고 또 보고, 늦봄까지 보네農功處處新(농공처처신) : 여기저기 농사일 새로 시작하는구나羞將湖海眼(수장호해안) : 호수와 바다만 바라보던 나還眯市街塵(환미시가진) : 서울 거리 흙먼지에 눈이 어지럽다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渡桑巖灘隻履墮水惻然賦此(도상암탄척리타수측연부차)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渡桑巖灘隻履墮水惻然賦此(도상암탄척리타수측연부차)상암탄을 건너다가  日暮桑巖深(일모상암심) : 해는 저물고 상암탄 물은 깊어波浪滔滔去(파랑도도거) : 파도를 치며 도도히 흘러가는구나行人水迸鞾(행인수병화) : 행인이 그 물에 신을 떨어뜨렸으니隻履在何許(척리재하허) : 그 신 다른 한 짝은 어디 쯤에 있단 말인가應知落春漲(응지락춘창) : 알건대 응당 불은 봄물에 떨어져漂罥蘭杜渚(표견란두저) : 난두의 물가에 떠내려 걸렸으리라俱出不俱返(구출불구반) : 함께 나갔다 함께 돌아오지 못하면離思誰與語(리사수여어) : 이별의 슬픔을 누구와 얘기하리오蒼茫烟靄間(창망연애간) : 아득한 저 연기와 놀 사이를回首空延竚(회수공연저) : 머리 돌려 부질없이 바라보노라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開寧鄭著作榮親宴走筆(개녕정저작영친연주필) 개령 정저작의 영친연에서 붓을 달려 쓰다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開寧鄭著作榮親宴走筆(개녕정저작영친연주필)개령 정저작의 영친연에서 붓을 달려 쓰다​軒軒鄭著作(헌헌정저작) : 쾌활하고 준수한 정 저작來作二親榮(래작이친영) : 돌아와 어버이 영화롭게 한다桂影侵樽酒(계영침준주) : 계수의 그림자는 술동이에 비추고萱花耀府庭(훤화요부정) : 원추리 꽃은 관부 뜰에 빛춘다鄕閭父詔子(향려부조자) : 마을사람 자식에게 본받으라 하고樂部鼓和笙(악부고화생) : 풍악은 북에다 생황을 곁들였도다幸忝葭莩屬(행첨가부속) : 다행히도 나는 인척이 되어歡心不要醒(환심불요성) : 즐거운 마음에 술 깨길 바라지 않노라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素沙院茅亭(소사원모정) 소사원의 모정에서

佔畢齋 金宗直(점필재 김종직).   素沙院茅亭(소사원모정)소사원의 모정에서 凌晨渡泥潦(릉신도니료) : 이른 새벽에 진흙길 건너니茅宇壓平原(모우압평원) : 띠집이 평평한 들을 눌러 있구나雁鶩兼天遠(안목겸천원) : 기러기와 오리 하늘로 멀리 날고蔞蒿蓋地繁(루호개지번) : 물쑥들은 땅을 어지럽게 덮고 있구나紛紛三道馹(분분삼도일) : 분분하게 달리는 건 삼도의 역마요點點數家村(점점수가촌) : 띄엄띄엄 있는 건 몇 집 마을이구나回首南州客(회수남주객) : 남쪽 고을 나그네 머리 돌려보니情懷未易論(정회미역론) : 그 정회를 쉽게 이야기하지 못하겠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