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봉 백광훈(1537) 48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松京有感(송경유감) 송경유감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松京有感(송경유감) 송경유감 五百年間瞥眼春(오백년간별안춘) : 오백년 세월이 잠깐 스치는 봄 같아 繁華無處覓遺塵(번화무처멱유진) : 번화한 그 시절 간 곳 없어, 남은 자취 찾아보니 傷心二十橋頭月(상심이십교두월) : 상심한 이십교 다리 위의 달이 留照悠悠行路人(유조유유행로인) : 머물러 유유히 길가는 나그네를 비춰주네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有懷(유회) 그리움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有懷(유회) 그리움 窓前獨起天將嘵(창전독기천장효) : 혼자 깨어나 창에서니 날 새려하네 山外日沈啼子規(산외일침제자규) : 산밖엔 해가 잠겨, 두견새 울음소리 知去爾陵三百里(지거이릉삼백이) : 거대 무덤까지 삼백리 夢中眉目勝相思(몽중미목승상사) : 꿈속의 그대 모습 생각보다 분명했소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夫餘有感(부여유감)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夫餘有感(부여유감) 靑山重疊碧江流(청산중첩벽강류) : 산 첩첩, 강물은 흘러만 가네 不是金宮卽玉樓(불시금궁즉옥루) : 이곳 궁궐, 아니면 옥 같은 누각이라 全盛只今無問處(전성지금무문처) : 왕성했던 지난 일, 지금은 물어 볼 곳 하나 없어 月明潮落倚孤舟(월명조락의고주) : 조수에 밝은 달 빛, 외로운 배에 몸을 실었네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回鄕(회향) 고향에 돌아오다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回鄕(회향) 고향에 돌아오다 江海茫茫路幾千(강해망망로기천) : 바다는 아득한데 길은 몇 천리던가 歸來隣山故依然(귀래인산고의연) : 돌아오는 산천은 엣 날 같구나 兒童恠我客顔改(아동괴아객안개) : 아이들은 나 이상하다 얼굴을 돌리네 異地光陰日抵年(이지광음일저년) : 타향살이 하루하루가 일년이었소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別家(별가) 집을 떠나며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別家(별가) 집을 떠나며 浮生自苦百年間(부생자고백년간) : 덧없는 인생, 괴로운 내 한 평생 說與妻兒各好顔(설여처아각호안) : 처자와 이야기 나누니 모두 밝은 얼굴이었네 却到金陵城下望(각도금릉성하망) : 그러나 금릉에 이르러 성 아래를 굽어보니 白雲猶在九峰山(백운유재구봉산) : 흰 구름만 여전히 구봉산을 맴도네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竹籬(죽리) 대나무 울타리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竹籬(죽리) 대나무 울타리 愛竹防侵竹(애죽방침죽) : 대나무 사랑하여 대나무 지키려 還將竹作籬(환장죽작리) : 대나무로 울타리를 만들었네 短從山映戶(단종산영호) : 짧으면 산이 비추어 지키고 疎任水通池(소임수통지) : 성긴 곳은 물을 못으로 통하게 하여 지키네 護暖梅兼絶(호난매겸절) : 따스함을 지키기는 매화와 더불어 제일인데 留陰雪一奇(유음설일기) : 음지에 남은 눈이 기이하구나 兒孫如滿眼(아손여만안) : 자손들이 만약 눈에 가득 채운다면 恣意爲君爲(자의위군위) : 내 마음엔 군자가 될 것이라 생각되네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憶孤竹(억고죽)고죽 최경창 을 기억하며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憶孤竹(억고죽) 고죽 최경창 을 기억하며 門外草如積(문외초여적) : 문밖에 자란 풀은 풀더미를 이루는데 鏡中顔已凋(경중안이조) : 거울 속, 내 얼굴은 이미 다 늙었구나. 那堪秋風夜(나감추풍야) : 어찌 가을 부는 이 밤을 견딜 수 있나 復此雨聲朝(부차우성조) : 이곳은 다시 빗소리 들리는 아침이로다. 影在時相弔(영재시상조) : 그대 모습 때때로 궁금해지고 情來每獨謠(정래매독요) : 그리운 마음 밀려오면 혼자 노래 부른다. 猶憐孤枕夢(유련고침몽) : 홀로 자는 꿈자리 여전히 아쉬우니 不道海山遙(부도해산요) : 산과 바다가 아득하다고 말하지 말게나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漫興 2(만흥 2) 흥에 젖어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漫興 2(만흥 2) 흥에 젖어 欲說春來事(욕설춘래사) : 봄날의 일들을 말해볼까 柴門昨夜雨(시문작야우) : 사립문 밖에는 어제 밤 내린 비. 閒雲度峰影(한운도봉영) : 한가한 구름은 봉우리 지나며 그림자 남기고 好鳥隔林聲(호조격림성) : 정다운 새들은 숲 건너서 운다. 客去水邊坐(객거수변좌) : 나그네는 떠나고 물가에 앉아 夢廻花裏行(몽회화이행) : 꿈에 돌아와 꽃 속을 걷는다. 仍聞新酒熟(잉개신숙주) : 바로 새로 술익는 내음 풍겨나니 瘦婦自知情(수부자지정) : 내 마음 알아주는 이, 수척한 아내뿐이네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漫興1(만흥1) 흥에 젖어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漫興1(만흥1) 흥에 젖어 二月江南雨(이월강남우) : 이월 강남에 비가 내리는데 郊扉日日陰(교비일일음) : 교외의 사립문은 날마다 흐리다. 靑苔掩人迹(청태엄인적) : 푸른 이끼는 사람의 자취 가리고 芳樹怯花心(방수겁화심) : 향기로운 나무는 꽃에 겁을 먹는다. 戲鴨池塘滿(희압지당만) : 작난스런 오리는 연못에 가득하고 歸鴻關塞深(귀홍관새심) : 돌아오는 기러기는 변방에 깊숙이 들다. 客遊偏悵望(객유편창망) : 나그네 방랑하며 슬프게 바라보며 獨對暮山吟(독대모산음) : 홀로 저문 산을 마주보며 시를 읊느다.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巴山夜話(파산야화) 파산의 밤 이야기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巴山夜話(파산야화) 파산의 밤 이야기 何處離君苦憶君(하처리군고억군) : 어디선가 그대와 헤어져 그대를 그리워했노라 巴山秋雨夜深聞(파산추우야심문) : 파산의 가을 비를 밤 깊어 듣는구나 那知共話西窓燭(나지공화서창촉) : 서창에 등불 밝히고 서로 얘기할 줄 어찌 알았으리 古寺殘鍾又曉雲(고사잔종우효운) : 옛 절엔 종소리 울리고 또 새벽 구름 이는구나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松月(송월)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松月(송월) 手持一卷蘂珠篇(수지일권예주편) : 손에 쥔 한 권 책은 예주편 讀罷松壇伴鶴眠(독파송단반학면) : 송단에서 읽고나 학을 친구하여 잠 들었다 驚起中宵滿身影(경기중소만신영) : 한 밤에 놀라 깨어나니 몸에 가득 달그림자 冷霞飛盡月流天(냉하비진월류천) : 차가운 이내 없어지고 달은 하늘을 흘러간다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宋高宗(송 고종) 송 고종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宋高宗(송 고종) 송 고종 痛飮黃龍計亦疎(통음황룡계역소) : 황룡부에서 통음하려니 계획이 이미 소원하고 廷臣爭議拜穹廬(정신쟁의배궁려) : 조정 신하들 다투니 오랑캐를 섬기게 되었구나 江南自有全身地(강남자유전신지) : 장강 남쪽에 몸을 보전할 땅이 있어 河北空傳半臂書(하북공전반비서) : 하북에서는 공연히 밀서만 전했었구나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淸暎亭四時詞(청영정사시사)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淸暎亭四時詞(청영정사시사) 중 冬 . 겨울 一天晴雪夜迢迢(일천청설야초초) 아득한 밤하늘에 눈도 맑게 개이니 駕鶴人歸碧玉簫(가학인귀벽옥소) 벽옥 피리 불면서 학 탄 신선 돌아오네 吟夢不知寒意重(음몽불지한의중) 노래하는 꿈 속에선 추운 줄도 모르고 也尋梅信到南橋(야심매신도남교) 매화 소식 찾다가 남쪽 다리 이르렀소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寒川灘(한천탄) 한천탄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寒川灘(한천탄) 한천탄 寒川灘上水如藍(한천탄상수여람) : 한천탄에는 물빛이 쪽빛 같고 兩石巖西雪滿潭(양석암서설만담) : 양석암 서편에는 눈이 못에 가득하다 明月不逢騎鶴侶(명월불봉기학려) : 밝은 달빛 아래 학 탄 친구를 못 만나 夜深鳴笛下江南(야심명적하강남) : 깊은 밤 피리 불며 강남으로 내려간다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春後(춘후) 봄이 지난 뒤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春後(춘후) 봄이 지난 뒤 春去無如病客何(춘거무여병객하) : 봄이 지나는 것을 병든 나그네가 어찌하랴 出門時少閉門多(출문시소폐문다) : 집을 나서는 일 적고 문 닫을 때가 많구나 杜鵑恐有繫華戀(두견공유계화련) : 두견새는 공연히 화려함을 좋아하여 啼在靑山未落花(제재청산미낙화) : 청산의 아직지지 않은 꽃에서 울고있구나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卽事贈僧(즉사증승) 눈에 본대로 스님에게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卽事贈僧(즉사증승) 눈에 본대로 스님에게 歸心日夜建溪南(귀심일야건계남) : 가고 싶은 마음 밤낮으로 건계 남쪽에 있어 舊疾逢春更不堪(구질봉춘갱불감) : 고질병이 봄을 만나니 더욱 견디지 못하겠어요 偶見山僧話新夢(우견산승화신몽) : 우연히 스님 만나 새로 꾼 꿈 이야기했으니 野梅香裏到西菴(야매향리도서암) : 들매화 향기 속을 걸으며 서쪽 암자에 아르렀다고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春望(춘망) 봄의 정경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春望(춘망) 봄의 정경 日日軒窓似有期(일일헌창사유기) : 무슨 기약이나 있는 듯 날마다 창에 기대고 捲簾時早下廉遲(권렴시조하렴지) : 일찌감치 발을 걷었다가 늦어서야 발을 내린다 春風正在山頭寺(춘풍정재산두사) : 봄바람 한창 산머리 절간에서 부는데 花外歸僧自不知(화외귀승자부지) : 꽃 너머로 돌아가는 스님은 알지도 못하는구나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徐君受第(서군수제)서군수의 집에서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徐君受第(서군수제) 서군수의 집에서 西出松坊舊路疑(서출송방구로의) : 서쪽으로 소나무 고을 나오니 옛길이 어렴풋하여 古梧新柳問人知(고오신류문인지) : 오래된 오동나무와 새 버드나무를 사람에게 물어 알았다 秋風無限江南思(추풍무한강남사) : 가을 바람에 무한한 강남 생각에 半壁靑燈一水詩(반벽청등일수시) : 나지막한 벽에에 걸린 등불에 지은 한 수의 시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介山(개산) 개산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介山(개산) 개산 秋山雨過夕陽明(추산우과석양명) : 가을산에 비 지나가 석양이 밝아지고 亂水交流引獨行(난수교류인독행) : 여기저기 산골물은 흘러 외로이 가는 나그네를 붙드네 岸上數村疏樹裡(안상수촌소수리) : 언덕 위에 집 몇 채와 성긴 나무 몇 그루 寂無人語有蟬聲(적무인어유선성) : 적막하고 사람소리 하나 없고 매미소리만 들리는구나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綾陽北亭(능양북정)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綾陽北亭(능양북정) 능양 북정 長堤日晩少人行(장제일만소인행) : 긴 뚝에 날이 저무니 행인이 드물어 楊柳靑靑江水聲(양류청청강수성) : 푸르고 푸른 버드나무 사이로 강물소리 들린다 爲是昔年別離地(위시석년별리지) : 지난날 이별한 땅인지라 不緣別離亦多情(불연별리역다정) : 이별하지 않아도 정이 짙어지는구나

천(石川) 임억령(林億齡). 送白光勳還鄕(송백광훈환향) 백광훈이 고향가는 것을 전송하며

석천(石川) 임억령(林億齡). 送白光勳還鄕(송백광훈환향) 백광훈이 고향가는 것을 전송하며 江月圓復缺(강월원부결) : 강위의 달은 둥글다 이지러지고 庭梅落又開(정매락우개) : 뜰 앞 매화는 졌다는 피는구나 逢春歸未得(봉춘귀미득) : 봄 되어도 돌아가지 못하고 獨上望鄕臺(독상망향대) : 나 홀로 그리워 망향대에 오른다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寄梁天維(기양천유)양천유에 부치다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寄梁天維(기양천유) 양천유에 부치다 一庭晴雨長新苔(일정청우장신태) : 비 개자 온 뜰에 새로 이끼 자라고 泥墜書床乳燕回(니추서상유연회) : 책상에 진흙 떨어지니 제비 새끼 돌아왔구나. 閑思悠悠却惆悵(한사유유각추창) : 한가한 생각 하염없다 어느덧 슬퍼지니 綠陰終日待君來(녹음종일대군래) : 불빛 그늘 아래 종일토록 그대 오길 기다렸다오.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過龍湖(과용호) 용호를 지나며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過龍湖(과용호) 용호를 지나며 岸上誰家碧樹村(안상수가벽수촌) : 언덕 위 푸른 나무 고을 누구네 집이런가 釣船無纜在籬根(조선무람재리근) : 고깃배는 닻줄도 없이 울타리 아래 매여있다. 輕霞一抹山開處(경하일말산개처) : 산맥이 열리는 곳에 옅은 안개가 깔리는데 留住殘陽照掩門(류주잔양조엄문) : 아직도 남은 저녁볕에 닫힌 문을 비추는구나.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題金季綏畵八幅 2(제김계수화팔폭2) 김계수의 그림 여덟 폭에 쓴 시. 夕陽(석양)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題金季綏畵八幅 2(제김계수화팔폭2) 김계수의 그림 여덟 폭에 쓴 시. 夕陽(석양) 不知醉行緩 (불지취행완) 취한 걸음 더딘 줄 몰랐었는데 但道歸路長 (단도귀로장) 갈 길이 멀다고 말을 하누나. 寒鴉亦何事 (한아역하사) 갈까마귀 너는 또 무슨 일이냐 山外是斜陽 (산외시사양) 산 너머엔 어느새 석양이예요.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龍江別成甫(용강별성보) 용강서 성보와 이별하다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龍江別成甫(용강별성보) 용강서 성보와 이별하다 千里奈君別(천리내군별) : 천리 멀리 어찌 그대를 보내나 起看中夜行(기간중야행) : 한 밤에 떠나는 그 대를 일어나 본다 孤舟去已遠(고주거이원) : 외로운 배는 떠나 이미 멀어졌는데 月落寒江鳴(월락한강명) : 달은 지고 차가운 강은 소리내어 우는구나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洛中別友(낙중별우) 서울서 친구와 이별하다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洛中別友(낙중별우) 서울서 친구와 이별하다 長安相送處(장안상송처) : 서울서 서로 헤어지는 처지 無語贈君歸(무어증군귀) : 그대가 떠나도 보내줄 말이 없구나 却向江南望(각향강남망) : 문득 강남 땅 바라보니 靑山又落暉(청산우낙휘) : 청산에는 또 해가 저무는구나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寶林寺 (보림사 )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寶林寺 (보림사) 山行不知路(산행부지노) : 산길을 가는데 길도 모르고 暝色千林裏(명색천림이) : 울창한 숲 속이라 어둑하구나 彷佛疎鐘聲(방불소종성) : 이따금 들려오는 소리, 종소리 같은데 雲心何處寺(운심하처사) : 구름은 속 어느 곳에 절이 있는지 落葉鳴沙逕(낙엽명사경) : 낙엽은 작은 모랫길에 딩굴고 寒流走亂山(한류주난산) : 추위는 이곳저곳 온 산을 달리네 獨行愁日暮(독행수일모) : 홀로 산길을 걸으니 해는 지고 마음은 외로워 僧磬白雲間(승경백운간) : 절간의 경쇠소리 흰 구름 속으로 흩어지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