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응물(737) 36

韋應物(위응물). 聽嘉陵江水聲寄深上人(청가릉강수성기심상인) 가릉강의 물소리를 듣고 심 상인에세 부치다

韋應物(위응물). 聽嘉陵江水聲寄深上人(청가릉강수성기심상인) 가릉강의 물소리를 듣고 심 상인에세 부치다 鑿崖세奔湍(착애세분단) 벼랑을 뚫고 급류가 쏟아지니 稱古神禹跡(칭고신우적) 이를기를 그 옛날 신령스러운 우임금의 자취라네 夜喧山門店(야훤산문점) 한밤중에 산 어귀 객사가 시끄러우니 獨宿不安席(독숙불안석) 홀로 자는 잠자리가 편하지 않네 水性自云靜(수성자운정) 물의 본성은 원래 고요하고 石中本無聲(석중본무성) 돌에는 본디 소리가 없는데 如何兩相激(여하량상격) 어찌하여 둘이 서로 부딪치면 雷轉空山驚(뢰전공산경) 우렛소리가 텅 빈 산을 놀라게 하는가 貽之道門舊(이지도문구) 불가의 옛 친구에게 보내니 了此物我情(료차몰아정) 나 이외의 것과 나와의 이러한 이치를 그는 알고 있겠지

위응물(737) 2023.12.29

韋應物(위응물). 寄全椒山中道士(기전초산중도사)

韋應物(위응물). 寄全椒山中道士(기전초산중도사) 今朝郡齋冷[금조군재냉] 오늘 아침 관사가 싸늘하여 忽念山中客[홀념산중객] 문득 산에 있는 사람 떠올렸네. 澗底束荊薪[간저속형신] 계곡물 밑에서 땔나무 묶어 歸來煮白石[귀래자백석] 돌아와서는 흰 돌 삶고 있겠지 欲持一瓢酒[욕지일표주] 술 한 병 가지고 멀리 가 遠慰風雨夕[원위풍우석] 비바람 치는 밤 위로하고 싶은데 落葉滿空山[낙엽만공산] 낙엽이 빈산에 가득하니 何處尋行跡[하처심행적] 어디서 발자취 찾을 수 있을까?

위응물(737) 2023.12.21

韋應物(위응물). 與友生野飮效陶體 (여우생야음효도체) 벗들과 함께 들판에서 술을 마시며 도연명의 시체를 본받아 짓다

韋應物(위응물). 與友生野飮效陶體 (여우생야음효도체) 벗들과 함께 들판에서 술을 마시며 도연명의 시체를 본받아 짓다 攜酒花林下(휴주화림하) 술병 들고 꽃나무로 이루어진 숲 아래 이르니 前有千載墳(정유천재분) 아득히 오래된 무덤이 앞에 있네 於時不共酌(어시불공작) 지금 함께 술 마시지도 못하는데 奈此泉下人(내차천하인) 저승에 있는 이 사람을 어찌 해야 할까 始自翫芳物(시자완방물) 아름다운 경치를 바야흐로 이제부터 즐기려고 했더니 行當念徂春(행당념조춘) 장차 마땅히 봄이 가는 것을 걱정해야 하네 聊舒遠世踪(료서원세종) 애오라지 티끌세상의 자취에서 멀어지는 꿈을 펼치다가 坐望還山雲(좌망환산운) 앉아서 산으로 돌아가는 구름을 바라보네 且遂一歡笑(차수일환소) 그러다가 마침내 한바탕 즐겁게 웃으니 焉知賤與貧(언지천..

위응물(737) 2023.12.13

韋應物(위응물). 效陶彭澤(효도팽택) 도연명을 본받아

韋應物(위응물). 效陶彭澤(효도팽택) 도연명을 본받아 霜露悴百草(상로췌백초) 서리 내려 온갖 풀 시들었는데 時菊獨姸華(시국독연화) 대맞추어 국화가 홀로 예쁘게 피었네 物性有如此(물성유여차) 국화의 본바탕이 이와 같으니 寒暑其奈何(한서기내하) 추위와 더위도 어쩌지 못하네 掇英泛濁醪(철영범탁료) 국화꽃 따서 막걸리에 띄워서는 日入會田家(일입회전가) 해 기울면 농가에 모이네 盡醉茅簷下(진취모첨하) 초가의 처마 아래서 잔뜩 취하니 一生豈在多(일생기재다) 한평생의 즐거움이 어찌 재물 많음에 있겠는가

위응물(737) 2023.11.25

韋應物(위응물). 寺居獨夜寄崔主簿(사거독야기최주부) 절에서 홀로 지내는 밤에 주부 최탁에게 부치다

韋應物(위응물). 寺居獨夜寄崔主簿(사거독야기최주부) 절에서 홀로 지내는 밤에 주부 최탁에게 부치다 幽人寂不寐 (유인적불매) 속세를 피해 조용히 사는 사람은 적막해서 잠 못 이루는데 木棄紛紛落 (목엽분분락) 나뭇잎만 어지럽게 떨어지네. 寒雨暗深更 (한우암심경) 찬비 내리는데 밤은 더욱 깊어 가고 流螢度高閣 (류형도고각) 바람을 타고 날아다니는 반딧불이도 높은 누각樓閣으로 건너갔네. 坐使靑燈曉 (좌사청등효) 푸른 등과 더불어 앉은 채 새벽을 맞으니 還傷夏衣薄 (환상하의박) 얇은 여름옷에 다시 한기를 느끼네. 寧知歲方晏 (녕지세방안) 바야흐로 한 해가 저무는 것을 어찌 알겠는가마는 離居更蕭索 (이거경소색) 멀리 떨어져서 따로 사는 몸이라 더욱 고요하고 쓸쓸하네.

위응물(737) 2023.11.15

韋應物(위응물). 難 言 (난 언) 하기 어려운 것

韋應物(위응물). 難 言 (난 언) 하기 어려운 것 掬土移山望山盡(국토이산망산진) 두 손으로 흙을 떠서 산이 다 옮겨지기를 바라고 投石塡海望海滿(투석전해망해만) 돌을 던져서 바다가 메워지기를 바라네. 持索捕風幾時得(지색포풍기시득) 동아줄을 잡고 바람을 붙잡으려 하니 언제 잡을 것이며 將刀斫水幾時斷(장도작수기시단) 칼로 물을 베려 하니 언제 끊어질 것인가? 未若不相知(미약불상지) 이런 것들도 서로 모르는 것보다는 쉬울 것이니 中心萬仞何由款(중심만인하유관) 만 길이나 되는 사람 마음속에 어떻게 닿겠는가?

위응물(737) 2023.11.03

韋應物(위응물). 易 言 (이 언) 하기 쉬운 것

韋應物(위응물). 易 言 (이 언) 하기 쉬운 것 洪爐熾炭燎一毛(홍로치탄요일모) 큰 화로 속 활활 타오르는 숯불에 털 한 가닥 태우고 大鼎炊湯沃殘雪(대정취탕옥잔설) 커다란 솥 끓는 물에 녹다 남은 눈을 담그네. 疾影隨形不覺至(질영수형불각지) 재빠르고 날쌘 그림자가 몸을 따르지만 곁에 온 것도 모르고 千鈞引縷不知絶 (천균일누부지절) 가느다란 실로 엄청나게 무거운 것을 끌면 끊어지는 것도 모르네. 未若同心言(미약동심언) 이런 것들도 마음 맞는 사람들의 말보다는 어려울 것이니 一言和同解千結(일언화동해천결) 한 마디 말에 마음이 맞아 숱한 매듭을 풀어내네.

위응물(737) 2023.10.25

韋應物(위응물). 淮上卽事寄廣陵親故(회상즉사기광릉친고) 회수 가에서 바로 지어 광릉 친구에게 부치다

韋應物(위응물). 淮上卽事寄廣陵親故(회상즉사기광릉친고) 회수 가에서 바로 지어 광릉 친구에게 부치다 全舟已眇眇(전주이묘묘) 먼저 떠난 배는 이미 아득히 멀리 있고 欲度誰相待(욕도수상대) 회수를 건너가고 싶은데 누가 기다리겠는가 秋山起暮鐘(추산기모종) 가을 산에서 저녁 종소리 들려오기 시작하는대 楚雨連滄海(초우연창해) 초 땅에 내리는 비는 넓고 큰 바다까지 잇닿았네 風波離思滿(풍파이사만) 세찬 바람과 험한 물결 앞에 이별의 시름 가득하고 宿昔容鬢改(숙석용빈개) 바룻밤 사이에 얼굴과 귀밑털도 변했네 獨鳥下東南(도조하동남) 새 한 마리 외롭게 동남쪽으로 내려가는데 廣陵何處在(광릉하처재) 광릉 땅은 어지쯤에 있을까

위응물(737) 2023.10.17

韋應物(위응물). 初發揚子寄元大校書(초발양자기원대교서) 양자진을 떠나며 원대 에게

韋應物(위응물). 初發揚子寄元大校書(초발양자기원대교서) 양자진을 떠나며 원대 에게 淒淒去親愛[처처거친애] 서글프게도 사랑하는 그대를 떠나 泛泛入煙霧[범범입연무] 안개 자욱한 곳으로 아득히 들어간다. 歸棹洛陽人[귀도낙양인] 돌아가는 배를 탄 낙양사람에겐 殘鐘廣陵樹[잔종광릉수] 광릉 숲 속의 아련한 종소리 들리는구나. 今朝爲此別[금조위차별] 오늘 아침 여기서 이별하면 何處還相遇[하처환상우] 어디에서 다시 만나랴? 世事波上舟[세사파상주] 세상일은 물결 위의 배와 같아 沿洄安得住[연회안득주] 물결 따르다보면 어찌 머물 수 있겠는가?

위응물(737) 2023.10.08

韋應物(위응물). 夕次盱眙縣(석차우이현) 밤에 우이현 에서

韋應物(위응물). 夕次盱眙縣(석차우이현) 밤에 우이현 에서 落帆逗淮鎭[낙범두회진] 돛을 내려 淮水가 고을에 머무니 停舫臨孤驛[정방임고역] 배를 정박한 곳 외로운 역과 마주하네. 浩浩風起波[호호풍기파] 바람은 드넓게 물결을 일으키고 冥冥日沈夕[명명일침석] 해는 잠겨 어둑어둑 저녁이 되었네. 人歸山郭暗[인귀산곽암] 사람들이 돌아간 산마을은 어둡고 雁下蘆洲白[안하로주백] 기러기 내려앉은 갈대밭은 하얗다. 獨夜憶秦關[독야억진관] 홀로 밤에 秦關을 그리워하다 聽鐘未眠客[청종미면객] 종소리 들으며 잠 못 드는 나그네

위응물(737) 2023.09.26

韋應物(위응물). 長安遇馮著(장안우풍저) 장안에서 우연히 풍저를 만나다

韋應物(위응물). 長安遇馮著(장안우풍저) 장안에서 우연히 풍저를 만나다 客從東方來[객종동방객] 동쪽에서 온 나그네 衣上灞陵雨[의상패릉우] 옷에는 패릉의 빗물이 묻어 있네. 問客何爲來[문객하위래] 묻노니 객은 무슨 일로 오셨는가? 采山因買斧[채산인매부] 채석하기 위해 도끼 사러 왔겠지. 冥冥花正開[명명화정개] 무성한 꽃들은 활짝 피었고 颺颺燕新乳[양양연신유] 훨훨 나는 제비는 새끼에게 먹이를 주네. 昨別今已春[작별금이춘] 작년에 헤어졌는데 지금 벌써 봄이니 鬢絲生幾縷[빈사생기루] 흰 살쩍은 몇 가닥이나 더 늘었는가?

위응물(737) 2023.09.12

韋應物(위응물). 遊開元精舍(유개원정사) 개원정사에 놀러가다

韋應物(위응물). 遊開元精舍(유개원정사) 개원정사에 놀러가다 夏衣始輕體(하의시경체) 여름옷 입으니 비로소 몸이 가벼워서 遊步愛僧居(유보애승거) 천천히 걸으니 절이 둘러보기에 좋네 果園新雨後(과원신우후) 과수원 에는 비가 막 그쳤고 香臺照日初(향대조일초) 향로 받침대를 아침 해가 비추는구나 綠陰生晝靜(녹음샌주정) 푸른 잎 우거진 나무 그늘 속에 낮이 고요하고 孤花表春餘(고화표춘여) 외롭게 남은 꽃은 봄이 끝났음을 알리네 符竹方爲累(부죽방위누) 바야흐로 자사로 근무 하느라 形跡一來疏(형적일래소) 한번 찾아오기가 힘들었구나

위응물(737) 2023.09.05

韋應物(위응물). 對萱草(대훤초) 원추리를 마주하고

韋應物(위응물). 對萱草(대훤초) 원추리를 마주하고 何人樹萱草(하인수훤초) 누가 원추리를 심었는지 對此郡齋幽(대차군재유) 이를 마주하니 관가 그윽하네 本是忘憂物(본시망우물) 본디 시름을 잊게 하는 꽃인데 今夕重生憂(금석중생우) 오늘 저녁 또다시 시름을 불러일으키네 叢疏露始滴(총소로시적) 원추리 떨기가 성글어지니 이슬 비로소 떨어지기 시작하고 芳餘蝶尙留(방여접상류) 꽃향기 남아 있으니 나비 아직 머물러 있네 還思杜陵圃(환사두릉포) 다시 고향 두릉의 꽃밭이 그리워지니 離披風雨秋(이피풍우추) 가을 비바람 속에 그 많은 꽃잎 흩날리며 떨어지겠지

위응물(737) 2023.08.27

韋應物(위응물). 遊 溪 (유 계) 계곡물에서 노닐며

韋應物(위응물). 遊 溪 (유 계) 계곡물에서 노닐며 野水煙鶴唳(야수연학려) 들판의 물안개 속에서 학 울음소리 들리고 楚天雲雨空(초천운우공) 초 땅의 하늘은 비 온 뒤 구름 한 점 없이 탁 트였네 玩舟淸景晩(완주청경만) 맑은 경치 속에 뱃놀이하는데 해 저물어 垂釣綠浦中(수조록포중) 초록빛 냇버들에 낚시를 드리웠네 落花飄旅衣(낙화표여의) 떨어지는 꽃은 나그네 옷 나부끼게 하고 歸流澹淸風(귀류담청풍) 흘러내리는 물은 부드럽고 맑은 바람을 더욱 맑게 하네 綠源不可極(녹원불가극) 계곡물의 근원 찾아가니 도무지 다다를 수가 없는데 遠樹但靑蔥(원수단청총) 멀리 있는 나무들만 푸르게 보이네

위응물(737) 2023.08.20

韋應物(위응물). 淮上喜會梁川故人(회상희회양천고인) 회수 가에서 양천의 옛 친구를 기쁘게 만나다

韋應物(위응물). 淮上喜會梁川故人(회상희회양천고인) 회수 가에서 양천의 옛 친구를 기쁘게 만나다 ​江漢曾爲客(강한증위객) 장강과 한수에서 일찍이 나그네 되었을 적에 相逢每醉還(상봉매취환) 서로 만나면 언제나 술에 취하여 돌아갔도다 浮雲一別後(부운일별후) 한 번 헤어진 뒤로 뜬구름처럼 떠돌다가 流水十年間(유수십년간) 유수같이 10년 세월이 지나버렸구나 歡笑情如舊(환소정여구) 기뻐 웃으니 정은 예전 그대로인데 蕭疏鬢已斑(소소빈이반) 듬성한 귀밑머리는 이미 희어졌구나 何因不歸去(하인불귀거) 무엇 때문에 돌아가지 못하는가 淮上有秋山(회상유추산) 회수 가에 가을 산이 있어서라네

위응물(737) 2023.08.11

韋應物(위응물). 賦得暮雨送李冑(부득모우송리주)

韋應物(위응물). 賦得暮雨送李冑(부득모우송리주) 楚江微雨里(초강미우리) 초 땅을 지나는 장강은 이슬비 속에 흐르고 建業暮鍾時(건업모종시) 건업에는 저녁 종소리 울릴 때네 漠漠帆來重(막막범래중) 아득히 멀리 돗단배 느릿느릿 다가오고 冥冥鳥去遲(명명조거지) 날 어두워지니 새들도 더디게 날아가네 海門深不見(해문탐불견) 바다 입구는 깊숙이 있어 보이지 않는데 浦樹遠含滋(포수원함자) 멀리 포구의 숲은 물기를 머금었네 相送情無限 상송정무한) 그대 보내는 정은 끝이 없으니 沾襟比散絲(점금차산사) 옷깃을 적시는 눈물은 흩뿌리는 빗물같네

위응물(737) 2023.08.03

韋應物(위응물). 采玉行(채옥행) 옥을 캐며 부르는 노래

韋應物(위응물). 采玉行(채옥행) 옥을 캐며 부르는 노래 官府征白丁(관부정백정) 관가에서 장정들을 징집해서 言采藍溪玉(언채남계옥) 남계의 옥을 캐라고 하네 絶嶺夜無家(절령야무가) 깎아지른 고개에는 밤에 인가가 없으니 深榛雨中宿(심진우중숙) 비가 내리는 가운데 우거진 덤불 속에서 자는구나 獨婦餉糧還(독부향량환) 홀로 남은 아내가 양식을 가져다주고 돌아와서는 哀哀舍南哭(애애사남곡) 집 남쪽을 바라보며 몹시도 슬프게 울어 대네

위응물(737) 2023.07.26

韋應物(위응물). 休暇日訪王侍御不遇(휴가일방왕시어불우) 휴가를 얻어 쉬는 날에 시어를 찾아 갔지만 만나지못하고

韋應物(위응물). 休暇日訪王侍御不遇(휴가일방왕시어불우) 휴가를 얻어 쉬는 날에 시어를 찾아 갔지만 만나지못하고 九日驅馳一日閒(구일구치일일한) 9일 동안 몹시 바쁘게 돌아다니다가 하루 휴가를 얻어서 尋君不遇又空還(심군불우우공환) 그대를 찾아갔다가 만나지 못하고 또 헛되이 돌아오네 怪來詩思淸人骨(괴래시사청인골) 기이하게고 시상이 사람으 뼛속까지 맑게 해준다 하였더니 門對寒流雪滿山(문대한류설만산) 문 앞에는 차가운 물이 흐르고 산에는 눈이 가득하네

위응물(737) 2023.07.18

韋應物(위응물). 閑居寄諸弟(한거기제제) 한가롭게 지내며 여러 아우에게 부치다

韋應物(위응물). 閑居寄諸弟(한거기제제) 한가롭게 지내며 여러 아우에게 부치다 秋草生庭白露時(추초생정백로시) 이슬내려 뜰에 가을 풀 자라니 故園諸弟益相思(고원제제익상사) 고향의 여러 아우가 더욱 그리워지는구나 盡日高齋無一事(진일고재무일사) 온종일 고아한 서재에서 아무런 일도 없으니 芭蕉葉上獨題詩(파초엽상독제시) 파초 잎 위에 홀로 시를 적네

위응물(737) 2023.07.09

韋應物(위응물). 神靜師院(신정사원)신정 스님의 절

韋應物(위응물). 神靜師院(신정사원)신정 스님의 절 靑苔幽巷徧(청태유항편) 그윽한 산길에 푸른 이기 널리 끼었고 新林露幾微(신림로기미) 신록 우거진 숲에는 이슬기가 조금 맺혔네 經聲在深竹(경성재심죽) 경문 읽는 소리가 대나무 우거진 숲 속에서 들리는데 高齋獨掩扉(고재독엄비) 사립문 닫혀 있는 그윽한 암자 하나 있네 憩樹愛嵐嶺(게수애람영) 나무 아래에서 쉬며 이내 자욱한 고갯마루를 즐기고 聽琴悅朝欣(청금열조흔) 새소리 들으며 아침을 기쁘게 맞이하네 方耽靜中趣(방탐정중취) 바야흐로 고요한 풍치 속으로 빠져드니 自與塵事違(자여진사위) 저절로 속세의 어지러운 일에서 멀어지네

위응물(737) 2023.07.01

韋應物(위응물). 山耕叟(산경수) 늙은 화전민

韋應物(위응물). 山耕叟(산경수) 늙은 화전민 蕭蕭垂白髮(소소수백발) 듬성듬성 남아 있는 하얗게 센 머리털 늘어뜨리고 黙黙詎知情(묵묵거지정) 마무 말 없이 잠잠히 있어도 진실로 그 사정 알겠네 獨放寒林燒(독방한림소) 홀로 낙엽 진 겨울 숲에 불 놓으면서 多尋虎跡行(다심호적행) 많이도 호랑이 자취 찾아왔네 暮歸何處宿(모귀하처숙) 저녁에 돌아와 봐야 어디서 잠잘 것인가 來此空山耕(래차공산경) 이렇게 사람 없는 산속에 와서 밭 갈고 있는 처지에‘’

위응물(737) 2023.06.24

韋應物(위응물). 寄李儋元錫(기이담원석) 동요친구인 이담과 원석에게 보냄

韋應物(위응물). 寄李儋元錫(기이담원석) 동요친구인 이담과 원석에게 보냄 去年花裡逢君別(거년화리봉군별) 꽃피는 지난해 봄 그대들과 이별했는데, 今日花開又一年(금일화개우일년) 오늘 꽃핀 것을 보니 또 한해가 되었네. 世事茫茫難自料(세사망망난자료) 출렁이는 세상 일들 헤아리기 어려운데, 春愁黯黯獨成眠(춘수암암독성면) 암담한 봄 근심 속에 홀로 잠을 청하네. 身多疾病思田里(신다질병사전리) 몸에 병이 많아서 고향으로 가고싶은데, 邑有流亡愧俸錢(읍유류망괴봉전) 못사는 백성 때문에 봉급받기 부끄럽네. 聞道欲來相問訊(문도욕래상문신) 듣자니 안부 알려고 찾아온다고 하는데, 西樓望月幾回圓(서루망월기회원) 누각 위 보름달이 몇 번이나 뜬 뒤일지.

위응물(737) 2023.06.17

韋應物(위응물). 登樓寄王卿(등루기왕경) 누각에 올라 왕경에게 보내다

韋應物(위응물). 登樓寄王卿(등루기왕경) 누각에 올라 왕경에게 보내다 踏閣攀林恨不同(답각반림한부동) 누각을 거닐다 숲속으로 오르면서 함께 오지못한 것을 슬퍼하고 楚雲滄海思無窮(초운창해사무궁) 초 땅의구름과 넓고 큰 바다를 바라보니 그리움만 가없네 數家砧杵秋山下(수가침오추산하) 가을 산 아래 몇몇 집에서 다듬이질 하는 소리 들리는데 一郡荊榛寒雨中(일군형진한우중) 온 고을인 무성한 잡목에 가려진 채 찬비만 내리네

위응물(737) 2023.06.09

韋應物(위응물). 子規啼(자규제) 두견이 우니

韋應物(위응물). 子規啼(자규제) 두견이 우니 高林滴露夏夜淸(고림적로하야청) 키 높은 숲에서 이슬이 방울지어 떨어지니 여름밤차가운데 南山子規啼一聲(남산자규제일성) 남산의 두견이 한 소리로 우네 隣家孀婦抱兒泣(린가상부포아읍) 이웃집 젊은 과부는 애기 안고 흐느끼는데 我獨展轉何時明(아독전전하시명) 나 홀로 이리저리 몸 뒤척이니 날은 언제쯤 밝을까

위응물(737) 2023.06.01

韋應物(위응물). 滁州西澗(저주서간)저주 서쪽 계곡물에서

韋應物(위응물). 滁州西澗(저주서간) 저주 서쪽 계곡물에서 獨憐幽草澗邊生(독련유초간변생) 어여쁘게도 이름 모를 풀이 물가에 자라고 上有黃鸚深樹鳴(상유황붕심수명) 저만치 숲 속에서 꾀꼬리 우네 春潮帶雨晩來急(춘조대우만래급) 저녁 무렵 봄날의 밀물이 비와 함께 몰려오는데 野渡無人舟自橫(야도무인주자횡) 들녘 나루터에는 사람은 없고 배만 널려 있네

위응물(737) 2023.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