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재 이행(1478) 58

容齋 李荇(용재 이행). 溪上獨詠(계상독영) 개울에서 혼자 읊다

容齋 李荇(용재 이행). 溪上獨詠(계상독영) 개울에서 혼자 읊다 飮有淸泉食有蔬(음유청천식유소) : 마실 맑은 샘물과 먹을 나물 있고 洞門重鎖是仙居(동문중쇄시선거) : 골짜기 깊으니 이곳이 곧 신선 사는 곳이네 古松障日何妨偃(고송장일하방언) : 고송이 햇빛 가려주니 어찌 눕는 것이 방해되며 細草如氈不見鋤(세초여전불견서) : 가는 풀들은 융단 같으니 호미질도 필요 없네. 獨嗅石蒲兼賞竹(독후석포겸상죽) : 나 혼자 돌창포 향기 맡고 대나무 감상하며 靜聽山島更觀魚(정청산도갱관어) : 고요히 산새소리 듣다가 물고기 바라보네 百年得失眞兒戱(백년득실진아희) : 인간 평생의 이해득실은 정말 아이들 장난이라 一笑悠悠莫問渠(일소유유막문거) : 유유히 한번 웃어버리고 묻지 마소

용재 이행(1478) 2024.01.01

容齋 李荇(용재 이행). 慽 慽 (척 척) 슬프 도다

容齋 李荇(용재 이행). 慽 慽 (척 척) 슬프 도다 ​ 慽慽高秋氣(척척고추기) 맑은 가을 기운에 슬퍼지고 茫茫落日時(망망낙일시) 아득한 한늘 저편에 해 지누나 又生霜露感(우생상로감) 게다가 또 상로의 느낌이 이니 未盡鳥鳥悲(미진조조비) 불효 자식의 슬픔 다하지 않는구나 眼眚看成黑(안생간성흑) 눈은 병들어 희미해지고 顚毛颯以垂(전모삽이수) 허연 머리털은 헝클어 졌구나 只今方寸志(지금방촌지) 지금 내 마음 한구석 어두운 것은 恐負令名貽(공부영명이) 부모님 명성에 누를 끼칠까 걱정 때문 일세

용재 이행(1478) 2023.12.24

容齋 李荇(용재 이행). 次李善元兄韻(차이선원형운) 이선원 형李善元兄의 시에 차운次韻하다

容齋 李荇(용재 이행). 次李善元兄韻(차이선원형운) 이선원 형李善元兄의 시에 차운次韻하다 世態吾曾識 (세태오회식) 세상 사람들의 마음과 세상 물정을 내 일찍이 알았으니 親情老自加 (친정노자가) 친한 정은 늙을수록 저절로 더하네. 別多相會少 (별다상회소) 이별은 많고 서로 만남은 적었으니 懷抱問如何 (회포문여하) 묻겠는데 형의 마음속에 품은 생각은 어떠하신가.

용재 이행(1478) 2023.12.16

容齋 李荇(용재 이행). 陜川聞子規詩(합천문자규시) 협천에서 자규의 울음소리를 듣고

容齋 李荇(용재 이행). 陜川聞子規詩(합천문자규시) 협천에서 자규의 울음소리를 듣고 江陽春色夜凄凄(강양춘색야처처) : 강 남쪽의 봄 색은 밤이 더욱 처량하여 睡罷無端客意迷(수파무단객의미) : 무단히 잠 깨니, 나그네 생각 어지러워라 萬事不如歸去好(만사불여귀거호) : 만사가 뜻대로 안되니, 돌아감이 좋다는데 隔林頻聽子規啼(격임빈청자규제) : 숲 건너 두견의 울음, 자주 들려오는구나

용재 이행(1478) 2023.12.07

容齋 李荇(용재 이행). 書舍弟采之壁上 2(서사제채지벽상 2) 아우 채지采之의 집 벽에 쓰다

容齋 李荇(용재 이행). 書舍弟采之壁上 2(서사제채지벽상 2) 아우 채지采之의 집 벽에 쓰다 秉燭且看山 (병촉차간산) 촛불을 밝히고 나서 우선 산을 바라보아야 할 것이니 秉燭莫飮酒 (병촉막음주) 촛불을 밝히고 나서 술을 마시지는 말게. 愛酒狂者徒 (애주광자도) 술을 매우 즐기고 좋아하면 미치광이의 무리지만 樂山仁者壽 (락산인자수) 산을 좋아하면 마음이 어진 사람이라 오래 산다네.

용재 이행(1478) 2023.11.29

容齋 李荇(용재 이행). 書舍弟采之壁上 1(서사제채지벽상 1) 아우 采之의 집 벽에 쓰다

容齋 李荇(용재 이행). 書舍弟采之壁上 1(서사제채지벽상 1) 아우 채지采之의 집 벽에 쓰다 卜宅在山麓 (복댁재산록) 산기슭에 살 만한 곳을 가려서 정하니 看山猶未足 (간산유미족) 산을 바라보는 것으로는 오히려 아직 넉넉하지 못하네. 更移畫圖間 (경이화도간) 다시 그림 속에다 집을 옮겨서는 夜夜勤秉燭 (야야근병촉) 밤마다 부지런히 촛불을 밝히네.

용재 이행(1478) 2023.11.20

容齋 李荇(용재 이행). 詠物五絶 5(영물오절 5) 곤충을 소재로 하여 지은 절구 다섯 수

容齋 李荇(용재 이행). 詠物五絶 5(영물오절 5) 곤충을 소재로 하여 지은 절구 다섯 수 螢火不自煖 (형하부자온) 반딧불은 본디 따뜻하지 않으니 空庭風露淸 (공정풍로청) 텅 빈 뜰에 바람과 이슬이 맑고 깨끗하네. 腐草豈能化 (부초기능화) 어찌 개똥벌레가 썩은 풀에서 생겨났을까. 列星應委精 (열성응위정) 하늘에 떠 있는 무수한 별들이 응당 정기精氣를 맡겨 두었으리라.

용재 이행(1478) 2023.11.06

容齋 李荇(용재 이행). 詠物五絶 4(영물오절 4) 곤충을 소재로 하여 지은 절구 다섯 수

容齋 李荇(용재 이행). 詠物五絶 4(영물오절 4) 곤충을 소재로 하여 지은 절구 다섯 수 促織在長夜 (촉직재장야) 귀뚜라미가 기나긴 밤 女功須及時 (여공수급시) 모름지기 길쌈하기에 좋은 때라고 울어 대네. 今年公稅重 (금년공세중) 올해는 나라에 바치는 세금도 무거운데 機上更無絲 (기상경무사) 베틀 위에는 도리어 실이 하나도 없네.

용재 이행(1478) 2023.10.28

容齋 李荇(용재 이행). 詠物五絶 3(영물오절 3) 곤충을 소재로 하여 지은 절구 다섯 수

容齋 李荇(용재 이행). 詠物五絶 3(영물오절 3) 곤충을 소재로 하여 지은 절구 다섯 수 蒼蠅何營營 (창승하영영) 쉬파리가 어찌나 분주하고 바쁘게 날아다니는지 變亂白與黑 (변란백여흑) 흰색과 검은색이 뒤바뀌니 어지럽기만 하네. 我吟止棘詩 (아음지극시) 내가 파리 떼에 대한 시를 읊조리는데 誰使彼蕃殖 (수사피번식) 누가 저것들을 붇고 늘어서 많이 퍼지게 했나.

용재 이행(1478) 2023.10.20

容齋 李荇(용재 이행). 詠物五絶 2(영물오절 2) 곤충을 소재로 하여 지은 절구 다섯 수 (매미)

容齋 李荇(용재 이행). 詠物五絶 2(영물오절 2) 곤충을 소재로 하여 지은 절구 다섯 수 高蟬吸風露 (고선흡풍로) 높은 나무에 붙어 있는 매미는 바람과 이슬을 마시지만 枵腹何曾果 (효복하증과) 굶주려서 빈 배는 언제 배부른 적이 있었던가. 所以天地間 (소이천지간) 이런 까닭에 하늘과 땅 사이에 獨淸者唯我 (독청자유아) 홀로 깨끗한 것은 오직 나뿐이라고 하네.

용재 이행(1478) 2023.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