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창 이향금(여 1573) 52

이매창(李梅窓). 伏次韓巡相壽宴時韻 (복차한순상수연시운) 한순상의 장수 축하연에 삼가 차운하다.

이매창(李梅窓). 伏次韓巡相壽宴時韻 (복차한순상수연시운) 한순상의 장수 축하연에 삼가 차운하다. 靑鳥飛來盡(청조비래진) 파랑새도 다 날아오지 못하였는데, 江南雁影寒(강남안영한) 강남의 기러기는 그림자가 차갑네. 愁仍芳草綠(수잉방초록) 방초(芳草)가 푸르기에 근심에 겨운데, 恨結落紅殘(한결락홍잔) 한 맺혀 떨어지는 붉은 게 잔인하네. 歸思邊雲去(귀사변운거) 돌아가고픈 생각에 구름 곁에 가고 旅情夢裡歡(여정몽리환) 떠도는 마음은 꿈속에서나 기쁘네. 客窓人不問(객창인불문) 나그네 묵는 방은 사람이 묻지를 않는데, 無語倚危欄(무어의위란) 말없이 높은 난간에 기대네.

李梅窓(이매창). 梨花雨(이화우) 배꽃 비에 흩어지다

李梅窓(이매창). 梨花雨(이화우) 배꽃 비에 흩어지다 李梅窓 劉希慶을 그리워하며 읊은 시 이화우(梨花雨) 흩뿌릴제 울며잡고 이별한 님 춘풍낙엽(秋風落葉)에 저도 날 생각 하는가 천리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노메... 이화는 배꽃이다. 배꽃은 갈래꽃이다. 변덕스런 봄바람이 한바탕 불어제끼면 낱낱이 떨어진 흰 꽃잎들이 마치 빗낟처럼 난분분 허공을 비산한다. 그래서 이화우라 한다.

이매창(李梅窓). 仙遊(선유) 신선으로 노닐며

이매창(李梅窓). 仙遊(선유) 신선으로 노닐며 千載名兜率(천재명도솔) 천 년간 이름난 도솔천인데, 登臨上界通(등림상계통) 올라보니 천상(天上)과 통하네. 晴光生落日(청광생락일) 맑은 빛이 저녁 해에 나오니 秀嶽散芙蓉(수악산부용) 빼어난 큰 산이 연꽃처럼 흩어지네. 龍隱宜深澤(용은의심택) 용이 숨은 마땅히 깊은 못인데, 鶴巢便老松(학소편논송) 학의 둥지가 늙은 소나무에서 편안하네. 笙歌窮峽夜(생가궁협야) 연주와 노래로 산골짝 밤을 지새워 不覺響晨鍾(불각향신종) 울리는 새벽 종소리도 몰랐네. 三山仙境裡(산산선경리) 삼신산 신선들이 사는 곳은 蘭若翠微中(란약취미중) 절이 푸른 숲 안인데, 鶴唳雲深樹(학려운심수) 학이 우는 구름 깊은 나무에 猿啼雪壓峰(원제운압봉) 원숭이 울고 눈이 봉우리를 덮었네. 霞光迷曉月(..

이매창(李梅窓). 伏次韓巡相壽宴時韻 (복차한순상수연시운) 한순상의 장수 축하연에 삼가 차운하다.

이매창(李梅窓). 伏次韓巡相壽宴時韻 (복차한순상수연시운) 한순상의 장수 축하연에 삼가 차운하다. 地接神山近(지접신산근) 땅은 신선이 사는 산과 가까이 닿았고, 溪流弱水通(계류약수통) 계곡은 흘러 약수로 통하네. 遊蜂飛暖日(유봉비난일) 벌이 노닐며 나는 따뜻한 날 新燕語淸風(신연어청풍) 제비가 새로 왔다고 청풍이 알려주네. 妙舞搖花影(묘무요화영) 오묘한 춤에 꽃 그림자 흔들리고 嬌歌響碧空(교가향벽공) 고운 노래가 푸른 하늘에 울리는데, 蟠桃王母壽(반도왕모수) 선도로 서왕모께 헌수(獻壽)하니 都在獻盃中(도재헌배중) 모두 올리는 술잔 속에 있네. 靑鳥飛來盡(청조비래진) 파랑새도 다 날아오지 못하였는데, 江南雁影寒(강남안영한) 강남의 기러기는 그림자가 차갑네. 愁仍芳草綠(수잉방초록) 방초(芳草)가 푸르기에 근심..

이매창(李梅窓). 贈友人(증우인) 벗에게 드림

이매창(李梅窓). 贈友人(증우인) 벗에게 드림 曾聞東海降詩仙(회문동해강시선) 일찍이 듣기로 동해에 시선(詩仙)이 내렸다던데 今見瓊詞意悵然(금견경사의창연) 이제 보니 구슬같은 말씀의 뜻에 한탄하네. 緱嶺遊蹤思幾許(구령유종사기허) 구령에서 노닐던 흔적 얼마쯤일까 생각하니 三淸心事是長篇(삼청심사시장편) 신선이 생각하는 일은 이 긴 문장이네. 壺中歲月無盈缺(호중세월무영결) 술병 속 세월은 차고 이지러짐이 없지만, 塵世靑春負少年(진세청춘부소년) 속세의 청춘은 어린 나이가 짐을 지네. 他日若爲歸紫府(타일약위귀자부) 뒷날에 만약 선계(仙界)로 돌아가려거든 請君謀我玉皇前(청군모아옥황전) 그대의 꾀로 나를 옥황상제 앞에 데려다 주오

이매창(李梅窓). 寫懷(사회) 생각을 적다

이매창(李梅窓). 寫懷(사회) 생각을 적다 結約桃源洞裡仙(결약도원동리선) 도원(桃源)에서 맺은 언약 골에서 신선이 되었는데, 豈知今日事凄然(기지금일사처연) 오늘날 이리도 슬플 줄 어찌 알았으랴. 幽懷暗恨五絃曲(유회암한오현곡) 숨긴 마음 남모르는 한이 오현(五絃)의 가락이니 萬意千思賦一篇(만의선사부일편) 천 가지 만 가지 뜻과 생각을 한 곡조에 싣네. 塵世是非多若海(진세시비다약해) 세상에 시비는 바다같이 많은데, 深閨永夜苦如年(심규영야고여년) 깊은 규방의 긴 밤도 기어코 해가 가네. 藍橋欲暮重回首(람교욕모중회수) 절 다리에 해가 저물어 다시 돌아보니 靑疊雲山隔眼前(청첩운산격안전) 푸른 산이 구름과 겹쳐 눈앞에서 멀어지네

이매창(李梅窓). 籠鶴(롱학) 새장 속의 학

이매창(李梅窓). 籠鶴(롱학) 새장 속의 학 一鎖樊籠歸路隔(일쇄번롱귀로격) 새장에 한번 갇혀 돌아갈 길 막혔으니, 崑崙何處閬風高(곤륜하처랑풍고) 곤륜산 높은 낭풍(閬風)은 어느 곳인가? 靑田日暮蒼空斷(청전일모창공단) 푸른 논에 해지니 푸른 하늘 끊겼는데, 緱嶺月明魂夢勞(구령월명혼몽노) 구령(緱嶺)의 밝은 달은 꿈결에도 고달프네. 瘦影無儔愁獨立(수영무주수독립) 파리한 그림자 짝 없이 수심으로 홀로 섰는데, 昏鴉自得滿林噪(혼아자득만림조) 황혼의 까마귀는 스스로 만족하며 숲 가득 지저귀네. 長毛病翼摧零盡(장수병익최령진) 긴 털에 병든 날개가 꺾여 다 떨어져도 哀淚年年憶九皐(애루년년억구고) 슬피 울며 해마다 깊숙한 물가를 기억하네.

이매창(李梅窓). 愁思(수사) 시름에 겨워

이매창(李梅窓). 愁思(수사) 시름에 겨워 雨後凉風玉簟秋(우후량풍옥점추) 비온 뒤 찬바람이 대자리에 드는데, 一輪明月掛樓頭(일륜명월괘루두) 둥근 밝은 달이 마루 꼭대기에 걸렸네. 洞房終夜寒蛩響(동방종야한공향) 방안은 밤새도록 차갑고 귀뚜라미 우니 擣盡中腸萬斛愁(도진중양만곡수) 마음속 만 가지 근심을 다 찧네. 平生耻學食東家(평생치학식동가) 평생 배움이 부끄러워 집에서 머무는데, 獨愛寒梅映月斜(독애한매영월사) 홀로 사랑하는 겨울 매화에 달이 비스듬히 비추네. 時人不識幽閑意(시인불식유한의) 세상 사람들은 조용히 살려는 뜻을 알지 못하고 指點行人枉自多(지점행인왕자다) 길가며 공연히 손가락질 하는 사람이 많네.

이매창(李梅窓). 春愁(춘수) 봄날의 근심

이매창(李梅窓). 春愁(춘수) 봄날의 근심 長堤春草色凄凄(장제춘초색처처) 긴 뚝의 봄 풀빛이 슬프고 처량하니 舊客還來思欲迷(구객환래사욕미) 옛 손님 다시 오시다 길을 잃었나 생각되네. 故國繁華同樂處(고국번화동락처) 예전에 같이 즐기던 화려한 곳에 滿山明月杜鵑啼(만산명월두견제) 온 산은 달 밝고 두견새만 우네. 曾年此夕瑤池會(회년차석요지회) 지난해 오늘 저녁 아름다운 모임에서 我是樽前歌舞人(아시준전가무인) 나는 술잔 앞에 춤추며 노래 부르는 사람이었지. 宣城舊主今安在(선성구주금안재) 명승(名勝)의 옛 주인 지금 어디에 계시는가? 一砌殘花昔日春(일체잔화석일춘) 섬돌에 남아있는 꽃 그 옛날의 봄이네.

이매창(李梅窓). 絶命詩(절명시) 임종에 남기는 시

이매창(李梅窓). 絶命詩(절명시) 임종에 남기는 시 結約桃園洞裏仙(결약도원동리선) 도원 맹세할 때 신선 같던 이 몸 豈知今日事悽然(개지금일사처연) 오늘날 이리 처연할줄 어찌 알리 坐懷暗恨五絃曲(좌회암한오현곡) 애달픈 심정을 거문고에 실어보니 萬意千事賦一篇(만의천사부일편) 만 가닥 얽힌 사연 한편의 책이네 塵世是非多故海(진세시비다고해) 풍진세상 고해라 시비도 많아 深閨永夜苦如年(심규영야고여년) 홀로 지새는 밤 몇 해인 듯 괴로워 南橋欲暮重回首(남교욕모중회수) 덧없이 지는 해에 머리 돌려 보니 靑疊雲山隔眼前(청첩운산격안전) 구름속에 첩첩 청산 눈을 가리네

이매창(李梅窓). 夜坐(야좌) 밤에 혼자 앉아

이매창(李梅窓). 夜坐(야좌) 밤에 혼자 앉아 西窓竹月影婆娑(서창죽월영파사) : 서창 대숲 달그림자 어른거리고 風動桃園舞落花(풍동도원무낙화) : 복숭아 밭에 바람 부니 낙화가 춤을 추네 猶倚小欄無夢寐(유의소난무몽매) : 여전히 작은 난간에 기대니 잠은 오지 않고 遙聞江渚菜菱歌(요문강저채릉가) : 강가의 마름 캐는 노래소리 아득히 들려오네

이매창(李梅窓). 夜坐(야좌) 밤에 혼자 앉아

이매창(李梅窓). 夜坐(야좌) 밤에 혼자 앉아 西窓竹月影婆娑(서창죽월영파사) : 서창 대숲 달그림자 어른거리고 風動桃園舞落花(풍동도원무낙화) : 복숭아 밭에 바람 부니 낙화가 춤을 추네 猶倚小欄無夢寐(유의소난무몽매) : 여전히 작은 난간에 기대니 잠은 오지 않고 遙聞江渚菜菱歌(요문강저채릉가) : 강가의 마름 캐는 노래소리 아득히 들려오네 風飜羅幕月窺窓(풍번라막월규창) 바람은장막에 펄럭이고 달빛은창을 엿보는데, 抱得秦箏伴一釭(포득진쟁반일공) 가야금을 얻어 껴안고 등불 하나와 짝하네. 愁倚玉欄花影裡(수의옥란화영리) 아름다운 난간에 기대니 근심이 꽃 그림자 속에 있는데, 暗聞蓮唱響西江(암문연창향서강) 가만히들리는 연밥따는노래가서쪽강에울리네.

매 창 이향금. 病 中 (병 중) 병중

매 창 이향금. 病 中 (병 중) 병중 不是傷春病(불시상춘병) 이것은 봄을 슬퍼하는 병이 아니요 只因憶玉郞(지인억옥랑) 다만 임을 그리는 탓일 뿐이네 塵寰多苦累(진환다고루) 티끌 같은 세상 괴로움 하도 많아 孤鶴未歸情(고학미귀정) 외로운 학이 못 떠나는 심정이네 誤被浮虛說(오피부허설) 어쩌다 그릇된 소문이 돌아 還爲衆口喧(환위중구훤) 도리어 여러 입에 오르내리네 空將愁與恨(공장수여한) 부질없는 시름과 한으로 抱病掩紫門(포병엄시문) 병을 안고 사립문 닫네

이매창(李梅窓). 懷故人(회고인) 옛님을 생각하며

이매창(李梅窓). 懷故人(회고인) 옛님을 생각하며 春來人在遠(춘래인재원) 봄은 왔건만 님은 멋곳에 對景意難平(대경의난평) 경치 보아도 마음 편치 않네 鸞鏡朝粧歇(난경조장헐) 거울 보며 아침 단장 마치고 瑤琴月下鳴(요금월하명) 달빛에 거문고 타며 우네 看花新恨起(간화신한기) 꽃 볼수록 설움이 일고 聽燕舊愁生(청연구수생) 제비 울음 들으니 수심만 생기네 夜夜相思夢(야야상사몽) 밤새 님 그리는 꿈 꾸다가 還驚五漏聲(환경오루성) 오경 치는 소리에 놀라 깬 다오

이매창(李梅窓). 尹公碑 (윤공비) 윤공비석

이매창(李梅窓). 尹公碑 (윤공비) 윤공비석 一曲瑤琴怨鷓鴣(일곡요금원자고) 좋은 거문고 한 곡조에 자고새를 원망하는데, 荒碑無語月輪孤(황비무어월륜고) 거친 비석은 말이 없고 둥근 달만 외롭구나. 峴山當日征南石(현산당일정남석) 현산(峴山)의 그날 남쪽을 정벌한 비석에도 亦有佳人墮淚無(적유가인타루무) 아름다운 사람은 있었지만 눈물 흘리진 않았다네.

이매창(李梅窓). 病中愁思(병중수사) 병중에 근심스런 생각

이매창(李梅窓). 病中愁思(병중수사) 병중에 근심스런 생각 空閨養拙病餘身(공규양졸병여신) 독수공방 단점을 숨기니 병이 몸에 남아 長任飢寒四十春(장임기한사십춘) 늘 굶주림과 추위에 맡긴지 사십 년 세월이네. 借問人生能幾許(차문인생능기허) 묻노니 인생은 얼마나 살 수 있을까? 胸懷無日不沾巾(흉회무일부첨건) 가슴속 생각에 눈물 적시지 않는 날이 없네.

이매창(李梅窓). 憶昔(억석) 옛일을 그리며

이매창(李梅窓). 憶昔(억석) 옛일을 그리며 謫下當時壬癸辰(적하당시임계진) 속세에 귀향 올 당시인 임진년과 계사년에 此生愁恨與誰伸(차생수한여수신) 이승의 시름과 한을 누구에게 말했던가? 瑤琴獨彈孤鸞曲(요금독탄고난곡) 아름다운 거문고로 고난곡(孤鸞曲)을 타면서 悵望三淸憶玉人(창망삼청억옥인) 시름없이 바라보며 삼청(三淸)으로 아름다운 그대를 그리네.

이매창(李梅窓). 贈畵人(증화인) 화공에게 드림

이매창(李梅窓). 贈畵人(증화인) 화공에게 드림 手法自然神入妙(수법자연신입묘) 수법이 있는 그대로라 신의 경지에 들었으니, 飛禽走獸落毫端(비금주수락호단) 나는 새와 뛰는 짐승이 붓끝에서 나오네. 煩君爲我靑鸞畵(번군위아청난화) 바쁜 그대가 날 위해 푸른 난새를 그려주니, 長對明銅伴影懽(장대명동반영환) 늘 밝은 거울 대하듯 짝하며 그림을 좋아하리.

이매창(李梅窓). 記懷(기회) 마음을 적는다.

이매창(李梅窓). 記懷(기회) 마음을 적는다. 梅窓風雪共蕭簫(매창풍설공소소) 매화 보는 창가에 눈바람이 함께 쓸쓸한데, 暗恨幽愁倍此宵(암한유수배차소) 남모르는 한과 아득한 근심이 이 밤에 더하네. 他世緱山明月下(타세구산명월하) 내세에는 구산(緱山)의 밝은 달 아래서 鳳簫相訪彩雲衢(봉소상방채운구) 봉황에 퉁소 불며 서로 찾아 고운 구름에 가리라.

이매창(李梅窓). 自恨薄命(자한박명) 기구한 운명을 한탄함

이매창(李梅窓). 自恨薄命(자한박명) 기구한 운명을 한탄함 擧世好竽我操瑟(거세호우아조슬) 온 세상이 피리를 좋아한다지만 나는 거문고를 잡았는데, 此日方知行路難(차일방지행로난) 이날 가는 길이 어렵다는 걸 함께 알았지. 刖足三慙猶未遇(월족삼참유미우) 무슨 죄를 지었기에 아직도 만나질 못하고 있으니 還將璞玉泣荊山(환장박옥읍형산) 어째서 다듬지 않은 옥돌이 형산(荊山)에서 울고 있는가?

이매창(李梅窓). 閨中怨2 (규중원2) 규중에서 서럽다

이매창(李梅窓). 閨中怨2 (규중원2) 규중에서 서럽다 竹院春深曙色遲(죽원춘심서색지) 대숲에 봄깊어 날밝기 더디고 小庭人寂洛花飛(소정인적낙화비) 인적없는 뜰엔 꽃잎만 날리네 瑤爭彈罷江南曲(요쟁탄파강남곡) 옥쟁으로 강남곡 타길 그치고 萬斛愁懷一片詩(만곡수회일편시) 한없는 시름 시 한수 읊네

이매창(李梅窓). 閨中怨1 (규중원1) 규중에서 서럽다

이매창(李梅窓). 閨中怨1 (규중원1) 규중에서 서럽다 瓊花梨花杜宇啼(경화이화두우제) 옥같은 배꽃 피고 두견새 우는데 滿庭蟾影更悽悽(만정섬영경처처) 뜰에 가득한 달빛만 서러 워라 相思欲夢還無寐(상사욕몽환무매) 꿈에서 님 만나려 해도 잠은 않오고 起倚梅窓廳五鷄(기의매창청오계) 일어나 매창 기대니 새벽 닭이 우네

이매창(李梅窓). 春怨 (춘원) 봄을원망함

이매창(李梅窓). 春怨 (춘원) 봄을원망함 竹院春深鳥語多(죽원춘심조어다) 대숲에 봄깊어 새들 지저귐 많고 殘粧含淚捲窓紗(잔장함루권창사) 눈물로 화장 얼룩져 창사를 가렸네 瑤琴彈罷相思曲(요금탄파상사곡) 거문고로 상사곡 연주 마치니 花落東風燕子斜(화락동풍연자사) 새바람에 꽃지고 제비만 비껴 나네

이매창(李梅窓). 登月明庵(등월명암) 월명암에 올라

이매창(李梅窓). 登月明庵(등월명암) 월명암에 올라 卜築蘭若倚半空(복축난약의반공) 하늘에 기대어 절을 지었기에 一聲淸磬徹蒼空(일성청경철창공) 맑은 풍경소리 하늘 멀리 퍼지네 客心恍若登도率(객심황약등도솔) 나그네 마음도 도솔천에 올라온 듯 讀罷黃庭禮赤松(독파황정예적송) 황정경 을 읽고는 적송자 를 뵙네

이매창(李梅窓). 泛舟 (범주) 뱃놀이

이매창(李梅窓). 泛舟 (범주) 뱃놀이 參差山影倒江波(참차산영도강파) : 산 그림자 어른어른 물결에 어리고 垂柳千絲掩酒家(수류천사엄주가) : 늘어선 버들가지 주막을 덮었구나 輕浪風生眠鷺起(경랑풍생면로기) : 바람이는 가벼운 물결에 잠자던 백로 깨우고 漁舟人語隔煙霞(어주인어격연하) : 강 안개 속에서 어부들 이야기 소리 들린다

이매창(李梅窓). 彈琴(탄금) 가야금 타며

이매창(李梅窓). 彈琴(탄금) 가야금 타며 誰憐緣綺訴丹衷(수련연기소단충) : 우리의 사랑 진정에 소호함을 누가 알리오 萬恨千愁一曲中(만한천수일곡중) : 온갖 원한, 갖은 수심 한 곡조에 들어있네 重奏南江春欲暮(중주남강춘욕모) : 강남곡을 거듭 타니 봄날이 저물어 가니 不堪回首泣東風(불감회수읍동풍) : 봄바람 돌아보니 눈물 흘러내림 견딜 수 없네

이매창(李梅窓). 早秋(조추) 초가을

이매창(李梅窓). 早秋(조추) 초가을 千山萬樹葉初飛(천산만수엽초비) : 온 산의 나무마다 단풍져 날리고 雁叫南天帶落暉(안규남천대낙휘) : 지는 햇빛 물든 남녘 하늘에 기러기 운다 長笛一聲何處是(장적일성하처시) : 어지선가 들려오는 긴 한 가닥 피리소리 楚鄕歸客淚沾衣(초향귀객루첨의) : 먼 고향가는 나그네는 눈물이 옷을 적신다